최근 수정 시각 : 2025-02-20 03:30:55

피겨 스케이팅/기술/점프

||<-4><tablewidth=100%><tablebordercolor=#3c3b6e,#141425><tablebgcolor=#ffffff,#1f2023><bgcolor=#3c3b6e,#141425> 피겨 스케이팅 기술 ||
필수 요소
데스 스파이럴 리프트 스텝 시퀀스 스핀
점프 코레오 시퀀스 트위스트 리프트 아이스 댄스 요소
연결 요소
베스티 스쿼트 스파이럴 스프레드 이글 스플릿 점프
왈리 점프 이나 바우어 캔틸레버

#!wiki style="word-break: keep-all
||<-7><tablealign=center><tablewidth=700px><tablebordercolor=#3c3b6e,#141425><tablebgcolor=#ffffff,#1c1d1f><bgcolor=#3c3b6e,#141425> [[피겨 스케이팅|{{{#white 피겨 스케이팅}}}]] [[피겨 스케이팅/기술/점프|{{{#ffffff 점프}}}]] ||
||<width=14.2857%> {{{#!wiki style="margin: 0px -10px"
[[피겨 스케이팅/기술/악셀 점프|악셀[br](A)]]}}} ||<width=14.2857%> {{{#!wiki style="margin: 0px -10px"
[[피겨 스케이팅/기술/러츠 점프|러츠[br](Lz)]]}}} ||<width=14.2857%> {{{#!wiki style="margin: 0px -10px"
[[피겨 스케이팅/기술/플립 점프|플립[br](F)]]}}} ||<width=14.2857%> {{{#!wiki style="margin: 0px -10px"
[[피겨 스케이팅/기술/룹 점프|룹[br](Lo)]]}}} ||<width=14.2857%> {{{#!wiki style="margin: 0px -10px"
[[피겨 스케이팅/기술/오일러 점프|오일러[br](Eu)]]}}} ||<width=14.2857%> {{{#!wiki style="margin: 0px -10px"
[[피겨 스케이팅/기술/살코 점프|살코[br](S)]]}}} ||<width=14.2857%> {{{#!wiki style="margin: 0px -10px"
[[피겨 스케이팅/기술/토룹 점프|토룹[br](T)]]}}} ||
피겨 스케이팅 점프
파일:2013 세계선수권 33 다중노출.jpg
2013 피겨 스케이팅 세계선수권 대회에서 트리플 러츠-트리플 토룹 컴비네이션 점프를 수행하는 대한민국김연아
유형 필수 요소
1. 개요2. 종류
2.1. 도약 방법에 따른 구분2.2. 남자 선수의 어시스트 여부에 따른 구분2.3. 솔로 점프, 컴비네이션 점프, 시퀀스 점프
3. 평가 방식 및 규칙
3.1. 규정된 점프 수와 종류
3.1.1. 싱글 스케이팅3.1.2. 페어 스케이팅
3.2. 회전의 완성도3.3. 도약의 질3.4. GOE
4. 점수5. 기록6. 5회전(퀸터플) 점프는 가능할 것인가?

[clearfix]

1. 개요

피겨 스케이팅에서 점프는 싱글, 페어에서 수행해야 하는 기술 요소이다.

2. 종류

2.1. 도약 방법에 따른 구분

2.1.1. 토룹(T)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토룹 점프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2.1.2. 살코(S)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살코 점프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2.1.3. 룹(Lo)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룹 점프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2.1.3.1. 오일러(Eu)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오일러 점프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2.1.4. 플립(F)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플립 점프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2.1.5. 러츠(Lz)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러츠 점프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2.1.6. 악셀(A)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악셀 점프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2.2. 남자 선수의 어시스트 여부에 따른 구분

이 구분법은 남자 선수와 여자 선수가 조를 지어 경기하는 페어 스케이팅에만 적용된다.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움직이는 사진 자료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2px -11px"
파일:쉔자오 스로우 트살.gif
파일:수이한 사바사 트토더토더토.gif
스로우 점프
(선쉐 / 자오훙보)
사이드 바이 사이드 점프
(쑤이원징 / 한충)
}}}}}}}}}
싱글 스케이팅처럼 두 선수가 각자 도약을 해서 자신만의 축을 잡고 점프를 뛰는 것을 사이드 바이 사이드 점프라고도 부른다.

남자 선수가 여자 선수의 도약 타이밍에 맞춰 여자 선수를 공중에 던지는 점프로, 남자 선수가 여자 선수를 던지는 행위가 높이와 비거리를 크게 확보해주기 때문에 4회전 점프도 종종 시도한다.

2.3. 솔로 점프, 컴비네이션 점프, 시퀀스 점프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움직이는 사진 자료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2px -11px"
파일:차준환4S.gif
솔로(단독) 점프
(차준환)
파일:김연아트럿트토.gif
파일:일리야 말리닌 트플트악.gif
컴비네이션 점프
(김연아)
시퀀스 점프
(일리야 말리닌)
}}}}}}}}}
솔로 점프(또는 단독 점프): 점프 한번에 1개의 점프만 구사하는 경우에 솔로 점프라 부른다.

컴비네이션 점프: 한 번의 점프를 할 때 앞 점프를 착지하자마자 턴이나 스텝 없이 착지한 에지를 유지한 채로 바로 다음 점프를 뛸 수도 있다. 그 한 묶음의 점프를 컴비네이션 점프라고 한다. 6가지 점프 모두 오른쪽 바깥 날로 착지해야 하기 때문에 착지 후 바로 뛸 수 있는 점프는 오른발로 도약하는 점프, 즉 이 상태에서 왼발 톱니로 빙판을 찍는 토룹 점프 아니면 오른쪽 바깥날로 빙판을 눌러 뛰는 룹(혹은 하프룹) 점프일 수밖에 없다. 만약 앞 점프가 하프룹인 경우엔 왼쪽 안쪽 날로 착지하므로 이 상태에서 오른발 톱니로 방핀을 찍는 플립 점프나 왼쪽 안쪽 날로 빙판을 누르는 살코 점프를 뛸 수 있다. 간혹 오른발 아웃에지가 아닌 왼발 인에지로 랜딩한 후 왼발 인에지로 도약하는 플립이나 살코를 연결해서 뛰는 경우가 있긴 하나 흔하지 않다.

남녀 모두 컴비네이션 점프의 뒷점프를 3회전으로 뛰어낼 줄 아는 것이 상위권으로 발돋움하는 필수 덕목이다. 최상위권 남자 선수라면 4회전 점프에 3회전 토룹을 연결해낼 수 있어야하며, 그게 아니라면 3회전 점프에 3회전 룹이라도 연결해야한다. 여자 선수라면 프리에서 뒷 점프가 3회전 토룹인 컴비네이션 점프를 2번 뛰어야 상위권으로 발돋움할 수 있다.[1]

시퀀스 점프: 두 개 또는 세 개의 점프로 구성되며, 첫 점프나 두 번째 점프를 뛴 직후, 후진에서 전진으로 방향을 전환할 때 필요한 스텝 하나만을 연결해[2] 곧바로 악셀 점프로 뛰는 점프를 말한다. 본래 시퀀스 점프는 컴비네이션 점프와 달리 점프 각각의 기초점을 전부 주지 않고 기초점 합의 80%만을 시퀀스 점프의 기초점으로 부여했다. 보통 컴비네이션 점프의 뒷 점프로 트리플 토룹이나 룹을 뛸 수 없는 여자 선수들이 차선책으로 앞 점프+더블 악셀의 시퀀스 점프를 시도하는 경우가 많았으며, 연결 트리플 토룹이 중위권 선수들에게도 흔해진 이후로도 일부 점프에 약점이 있는 선수들이 구사하는 점프로 취급받았다.[3] 2022-23 시즌 이후로 프리 스케이팅에서의 '3번의 컴비네이션 점프' 규정이 조금 변경되어 컴비네이션 점프 중 하나를 시퀀스 점프로 뛸 수 있게 되었으며 온전한 기초점을 받을 수도 있게 되었다.

3. 평가 방식 및 규칙

테크니컬 패널은 선수가 수행한 점프 도약의 옳고 그름, 회전 수 부족 여부를 판단하여 져지들에게 실시간으로 알려준다. 일반적으로는 져지들은 테크니컬 패널의 판단을 근거로 수행 등급을 매기게 되지만 테크니컬 패널의 판단과 다르게 수행 등급을 평가할 권한도 있다.

3.1. 규정된 점프 수와 종류

3.1.1. 싱글 스케이팅

쇼트 프로그램
남녀 싱글 스케이팅의 경우 쇼트 프로그램에서 3번의 점프를 뛰어야한다. 3번 중 1번은 2개의 점프가 포함된 컴비네이션 점프여야하고, 한 번은 단독 악셀 점프여야 하며, 나머지 한 번은 단독 점프여야한다.
쇼트 프로그램에서의 점프 과제를 살펴보면 전부 2회전 이상으로 규정되어 있다. 쇼트 프로그램은 정해진 기술 요소를 수행하는 것을 중시하므로 만일 1회전 이하의 점프를 뛸 경우 그 기술 요소는 0점이 된다. 반드시 2회전 이상의 점프를 뛰어내도록 해야한다. 컴비네이션 점프를 구성하는 두 개의 점프는 같아도 되지만 단독 점프에서 뛸 점프와 종류가 겹치면 안된다.[20]
프리 스케이팅
남녀 싱글 스케이팅의 프리 스케이팅에서는 7번의 점프를 뛰어야하며, 4번은 단독 점프, 2번은 2개의 점프가 포함된 컴비네이션 점프, 1번은 3개의 점프가 포함된 컴비네이션 점프여야한다. 그리하여 뛰어야하는 모든 점프의 수를 세면 11개가 된다.

이때 구성해야 하는 점프 종류에 대한 제한을 두었는데, 이 규정은 '자약 룰'이라는 별명으로 불린다. 1982년 세계선수권 여자 싱글 금메달 리스트 일레인 자약의 이름을 따왔다. 당시 여자 싱글은 극히 일부의 최상위권 선수만이 트리플 러츠, 플립, 룹을 뛰고 상위권 선수들은 트리플 살코와 토룹을 뛰는데 일레인 자약은 4번의 트리플 토룹을 뛰어 우승했다.[21]이 있다.
  1. (2026/27 시즌부터 적용) 회전수에 관계 없이 같은 종류의 점프는 3번까지 뛸 수 있다. [22]
  2. 2회전 점프는 종류별로 2번씩만 가능하다.
  3. 3회전 이상의 점프에서 2개의 동일한 점프만 2번까지 뛸 수 있다.
  4. (2)의 반복된 점프군 중 오직 한 군만 4회전 또는 5회전 점프로 뛸 수 있다.[23]
  5. 같은 이름의 3회전과 4회전, 5회전 점프는 각기 다른 점프로 여겨진다.[24]
  6. 만약 두 개의 같은 점프를 단독으로 수행하면[25][26], 원래 시도한 점프 난이도 점수의 70%만을 받으며 +REP(중복) 표시가 붙는다.
  7. 추가로 뛴 점프는 0점 처리 된다.

3.1.2. 페어 스케이팅

쇼트 프로그램
페어 스케이팅의 경우 쇼트 프로그램에서 한 번의 단독 사이드 바이 사이드 점프와 한 번의 스로우 점프를 뛴다.
  • 주니어
    • 사이드 바이 사이드 점프 1회
      • 더블 악셀 또는 더블 러츠/플립[2024-25시즌]/룹 중 시즌 별로 돌아가며 정해주는 점프
    • 스로우 점프 한 번
  • 시니어
    • 사이드 바이 사이드 점프 1회
      • 더블 또는 트리플 단독 점프(종류 무관)
    • 스로우 점프 1회
      • 더블 또는 트리플 점프(종류 무관)

프리 스케이팅
페어 스케이팅의 프리 스케이팅에서는 2번의 사이드 바이 사이드 점프와 2번의 스로우 점프를 뛴다. 2번의 사이드 바이 사이드 점프 중 하나는 단독 점프, 나머지 하나는 3개의 점프가 포함된 컴비네이션 점프를 수행해야 한다. 시니어와 주니어 사이에 차이는 없다.
  • 사이드 바이 사이드 점프 2회
    • 단독 점프 1회
    • 컴비네이션 점프 1회(단독 점프와는 다른 점프로 구성하되, 컴비네이션 점프를 구성하는 각 점프 중 두 개까지는 같은 점프를 허용)
  • 서로 다른(회전 수를 다르게 하거나 도약 종류를 다르게 하여) 스로우 점프 2회

3.2. 회전의 완성도

6가지 점프 모두 착지할 때 모든 회전이 완료되는 기준선과 3/4 바퀴의 기준선 사이가 이루는 사분원의 안쪽 공간으로 착지하여야한다. 회전수가 이보다 부족하면 불안해지고, 심지어는 넘어짐을 유발하기도 한다. 넘어지지 않고 심판진의 눈을 잘 속여냈다 하더라도 그 점프는 목표 회전수를 채우지 못했으므로 제 난이도로는 완성해내지 못한 점프로 보고 이를 규제하고 있다. 따라서 1/4바퀴를 회전 수 부족의 판단의 기준으로 삼는다. 실제로 공중에서 도는 양을 측정하는 것과는 조금 다른데, 모든 점프는 도약 과정에서 빙판에서 조금은 돌게 되기 때문이다. 토 점프 중 골반이 열린 채로 뛰는 토룹은 1/2 내외로 빙판에서 돌고 뜨며, 엣지 점프 중 살코, 룹의 경우에는 1/2바퀴 가량을 지치면서 토룹보다도 더 많이 돌고 뜬다. 그 외 악셀은 1/4 이상을, 플립과 러츠는 1/4에 못미치는 양을 빙판에서 돌게 된다. 이는 정상적인 현상이다. 따라서 스케이트 날의 방향, 토 점프의 경우 토를 찍는 타이밍, 엣지 점프의 경우 모멘텀 전환을 기준으로 잡고 회전수를 계산하게 된다. 회전이 부족할 때와 마찬가지로 회전이 과할 때도 같은 현상을 유발한다. 이때의 기준 역시 1/4로 잡는다.
  • 다운그레이드 (Down Grade): 회전이 완료되어야할 지점에서 1/2 바퀴 이상 모자라게 되면 다운그레이드 판정이 내려진다. 프로토콜에서는 점프 옆에 <<로 표기한다. 만약 선수가 트리플 악셀을 계획하였으나 회전을 2.7 바퀴 정도만 수행하였다면 한 등급 아래인 더블 악셀의 기초점이 부여 된다.[29] 단, 어디까지나 기초점만 내려가는 것으로 기술 시도 자체는 인정되며 따라서 자약룰에는 영향을 주지 않는다. 또한 '기술을 실패' 한것이기 때문에 테크니컬 패널들은 GOE(Grade Of Execution) 감점을 부과하여야 한다.
  • 언더로테이티드 (Under Rotated): 2010~2011 시즌부터 도입된 룰로, 회전수가 1/4 이상~1/2 미만으로 모자랄 시[30] '기초점의 80%를 인정하여 점수를 부과하는' 룰이다.[31] 프로토콜에는 '<'로 나타낸다. 예를들어 선수가 트리플 악셀을 계획하였으나 회전을 3.1바퀴 정도만 수행하였다면 언더로테이티드 판정을 받아 프로토콜에 3A<로 표기되며, 2019-2020 시즌 기준, 6.4[32]점을 부여받게 된다. 단, 다운그레이드와 달리 GOE에서 의무적으로 감점이 주어지지는 않는다.
  • 오버로테이티드 (Over Rotated): 기준 회전수보다 1/4 바퀴 이상을 더 회전하면 내리는 판정이다. 시도한 점프의 회전수에 1을 더한 점프를 다운그레이드로 뛰었다고 처리한다. 가령 3Lo를 계획하고 세 바퀴 반을 뛴다면 4Lo<< 판정을 받아 3Lo 기초점+GOE 최하점을 받게 된다.
  • 쿼터 랜딩 점프: 2020-2021 시즌부터 도입된 룰로, 회전 수의 1/4 지점에 걸쳐 착지를 하는 경우이다. 점프 옆에 q를 표시하여 쿼터 랜딩임을 나타낸다. 과거에는 1/4선에 걸치는 수준도 회전을 완료한 것으로 판단했으나 기준선에 걸치는 수준도 언더 로테이티드로 보게 되면서 똑같이 1/4 지점에 걸쳐 착지해도 테크니컬 패널진마다 다른 판정을 내려 논란이 빚어졌다. 이에 따라 2020-2021 시즌 부터는 선수가 1/4 지점에 걸쳐 랜딩을 하게 된다면 쿼터 랜딩 판정을 내리는 룰이 신설되었으며, 기초점은 정상 수행 점프와 동일하게 인정 받는다. 대신 심판들이 GOE를 통해 점수를 삭감한다.

페어 스케이팅에서는 유니슨(Unison)을 중시하기 때문에 사이드 바이 사이드 점프에서 두 선수의 점프를 따로 평가하지 않는다. 아이스 댄스 종목은 남녀 선수의 수행을 따로 평가하는 항목이 많아 프로토콜(채점표)에 '(기술 기호)W[33](여자 선수의 레벨) + (기술 기호)M[34](남자 선수의 레벨)'로 표기되는 경우가 많다. 그러나 페어 스케이팅의 사이드 바이 사이드 점프는 유니슨이 중요하기 때문에 그럴 필요 없이 프로토콜에 점프 하나만이 기록된다. 두 사람 모두가 기술을 성공해야하며, 만일 한 사람이라도 기술을 실패했다면 수행이 좋지 않은 사람의 수행 내용을 반영한다. 가령 한 선수가 롱 에지 판정을 받았다면 다른 선수가 아무리 깔끔하게 성공했어도 얄짤 없이 그 점프는 롱 에지로 판정한다.

3.3. 도약의 질

착지를 성공했는지, 회전을 알맞게 채웠는지에 못지 않게 도약도 중요한 요소 중 하나이므로 선수의 점프 도약 방식에 대해서 규제가 이루어지고 있다.
  • 롱 에지 (wrong-edge): 플립과 러츠에만 있는 심사 기준이다. 플립은 후방 인에지로, 러츠는 후방 아웃에지로 도약해야하나 이를 지키지 못했을 경우 롱 에지라 하여 점프 옆에 'e' 마크를 붙이며, 점프의 기초점을 80%만 부여한다.[35] 애매한 경우 어텐션[36]이라 하여 '!'마크를 붙이지만 기초점을 깎지는 않고 GOE를 낮춰서 부과한다. 두 점프의 에지에 대한 내용은 각 점프 문서를 참고하면 된다. 롱 에지 여부는 cheated take-off와 달리 슬로우 화면을 반복해서 본 뒤 평가한다.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플립 점프의 에지 자세한 내용은 플립 점프 문서
    번 문단을
    참고하십시오.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러츠 점프의 에지 자세한 내용은 러츠 점프 문서
    번 문단을
    참고하십시오.

프리로테이션 (pre-rotation)이란, 선수가 도약 과정에서 불필요하게 '상체가 회전 방향 쪽으로 미리 도는 것'을 의미한다. 프리로테이션이 있으면 회전이 빨리 시작된다는 큰 이점이 있고, 점프의 높이를 덜 확보해도 되어 회전를 충족하는 데에 있어 매우 유리해진다. 그러나 프리로테이션의 양상에 따라서 비틀린 공중 자세를 유발하거나 점프의 성공률이 떨어지는 현상까지 유발하기도 하므로 명백한 규제 대상이 된다. 어깨가 약간 먼저 돌아가있는 정도마저 일일히 규제할 수는 없다. 그러나 프리로테이션이 과해짐에 따라 나타나는 각종 나쁜 현상에 대한 규정은 일단 존재한다.
  • 다운그레이드(down-grade): 프리로테이션이 과해지면 뒤로 도약해야할 점프를 앞으로 뛴다거나, 악셀을 뒤로 뛰는 일이 발생하는데, 이 경우 cheated take-off라 부른다. 이런 점프는 사실상 반 바퀴이상 덜 돌게 되므로 반 바퀴 이상 모자라게 랜딩했을 때 다운 그레이드[37] 판정을 내리는 것과 마찬가지로 다운 그레이드 판정을 내리도록 규정되어 있다. 고로 트리플 토룹을 앞으로 도약했다면 다운그레이드 판정을 받아 3T<로 표기되고 더블 토룹의 기초점을 받는다.
    주로 골반이 미리 열린 상태로 도약이 이루어지는 토룹 점프에서 이런 일이 흔한데, 이렇게 되면 '토 악셀' 또는 '토 왈츠'라 하여 도약이 매우 느려지고 악셀 처럼 왼발로 빙판을 눌렀다가 폴짝 몸을 던지는 듯한 점프가 관찰된다.[38] cheated take-off가 의심될 경우 테크니컬 패널[39]은 1배속으로만 해당 점프를 돌려볼 수 있다.[40]

프리로테이션을 '공중으로 뜨기 전 빙판에서 도는 정도'를 의미하는 경우가 있는데, 이는 올바르지 못한 정의이다. 이때의 프리로테이션은 일명 '비비기'로 통한다. 미리(pre) 돈다는(rotate) 표현의 특성상 빙판에서 완전히 떨어지기 전까지 도는 현상으로 잘못 해석된 것이 시작인데, 오해가 오랫동안 지속되어 피겨를 향유하는 계층 사이에서는 의미가 달라지고 있는 용어이다. '엣지 점프 치고 프리로테이션이 적다'라는 표현을 쓴다거나, '토 점프인데 엣지로 반 바퀴를 비비고 올라간다'라는 표현을 쓴다면 그때의 프리로테이션은 '빙판에서 도는 양'이라는 의미로 쓰인 것이다.
  • 풀 블레이드 (whole blade): 토 점프에서 말하는 잘못된 의미의 프리로테이션이 과해져서 1/2가 넘어가면 정식 용어로 풀 블레이드(whole blade)라고 하는데, 풀 블레이드라는 용어는 팬들 사이에서도 흔히 쓰인다. 잘못된 의미의 프리로테이션의 양이 과하면 토 점프임에도 엣지 점프처럼 블레이드를 이용하는 것처럼 보인다하여 실제로 블레이드를 이용하는 것은 아니지만 겉으로 보이는 현상을 설명하기 위해 풀 블레이드라는 용어가 만들어졌다. 이 현상의 본질은, 토를 찍어 도약의 도움을 받는 정도를 넘어서다보니 공중에서 축이 만들어져야할 점프임에도 토가 빙판에 남아 오래 돌면서 빙판 위에서 축을 만들어버림으로써 발생한다. 따라서 본질을 설명한 용어로 토 피봇팅이(toe-pivoting)이라는 용어가 새로 등장했지만 이 용어는 전문가들 외에는 잘 쓰지 않으며 ISU에서도 풀 블레이드라고 표현하고 있다.
    풀 블레이드로 점프와 아닌 점프 간의 난이도 격차는 매우 크다. 풀 블레이드는 기술들간의 개성을 없앨 뿐더러[41] 빙판에 토픽이 오래 머물러버리면서 토픽을 빙판에 내려침으로써 받을 수 있는 힘의 크기를 줄여버리기 때문에[42] 자연히 점프 높이에서 손해를 본다. 신체의 능력을 효율적으로 사용하지 못하고 편법을 써서 회전만을 이뤄내는 형태의 점프를 결코 권장할 수 없으므로 ISU에서는 이런 도약을 문제 삼고 있으나 아직 테크니컬 패널 단위로 규제하고 있지는 않고 져지들이 GOE를 통해 -2~-4의 감점을 부과하도록[43] 규정에서 명시하고 있다. 그러나 현실에서 적용된 경우가 아예 없다.[44]

페어 스케이팅에서는 회전 평가와 마찬가지로 두 사람 모두가 올바르게 도약해야한다. 한 사람이라도 롱 엣지로 뛰면 다른 사람이 바른 엣지로 뛰었는지는 중요하게 여기지 않고 무조건 롱엣지 점프로 간주한다.

3.4. GOE

져지들은 GOE(Grade of Execution)를 통해 점프의 수행 등급을 -5부터 5까지의 정수로 매기는 역할을 한다. 정해진 기준에 따라 져지들이 GOE를 평가하면 GOE의 평균값을 환산하여[45] 기술 점수에 보탠다.
가산 항목
아래 6개의 항목 중 하나를 만족할 때마다 GOE에 +1을 한다. GOE에서 +4~+5를 부여할 경우 볼드체로 강조한 1~3번 항목이 해당 점프에서 무조건 보여야한다.
  1. 점프 또는 컴비네이션 점프의 모든 점프 요소를 아주 높고 아주 멀리 뛰어냄.
  2. 좋은 도약과 좋은 착지.
  3. 힘을 들이지 않은 것처럼 보임(점프를 리듬감 있게 뛰어낸 경우를 포함함).
  4. 점프 직전에 스텝이나 턴, 또는 창의적인 도입을 사용함.
  5. 도약부터 착지까지 훌륭한 공중 자세/축을 보임
  6. 음악과 맞아떨어지는 점프

흔치 않은 공중자세로 뛴 후 무사히 착지하면 가산점을 받았다. 가장 흔한 예로 점프 뛸 때 머리 위로 손을 들어 올리는 타노 점프[46]가 있다. 양손으로 수행하는 타노 점프는 리폰(rippon) 점프[47] 또는 리폰 타노 점프라고도 한다.
파일:유영 공중 자세.jpg 파일:브라이언 보이타노 타노 점프.jpg 파일:김예림의 리폰 타노.jpg
일반적인 공중자세
(유영)
리폰 타노
(김예림)
그러나 타노 점프가 가산점을 위해 남용되자 더이상 변별력이 없다고 판단한 ISU측에서 더이상 GOE 가점 요소로 보지 않게 되었다.
감산 항목
음수의 GOE를 주어 완전히 감점하는 것과는 다르며, 위의 가점 요소에서 계산된 GOE에서 감산을 진행한다. GOE 하락 요인 중 여러 개를 만족할 경우 감산을 추가로 진행한다.

페어 스케이팅에서 두 사람 중 한 사람만 하기한 실수를 했을 때 곧바로 감산을 적용하게 된다. 그러나 둘 모두가 같은 실수를 했다고 하여 두 배로 감산하지는 않으며 한 사람만 실수했을 때와 똑같이 감산한다

실수를 했거나 테크니컬 패널들이 회전 수 부족 또는 엣지 문제를 적발한 경우에 GOE를 깎도록 지시하고 있으며, 테크니컬 패널진이 기술적 결함을 지적하지 못했을 때에는 져지들에게 감산 권한을 부여하고 있다.
||<table align=center><tablewidth=700><table bordercolor=#3c3b6e,#141425><rowbgcolor=#3c3b6e,#141425><rowcolor=white,white><width=55%> GOE 하락 요인 ||<width=150px> 감산해야할 GOE 양 ||<width=75px> GOE 최댓값 제한 ||
(쇼트 프로그램) 요구 기술이 아닌 기술을 수행했거나 * 표시가 된 기술 -5[48] 없음
넘어짐 -5 +2
두 발 착지 -3~-4
스텝 아웃[49]
다운그레이드 (<<)
언더로테이티드 (<) -2~-3 없음
쿼터 랜딩 (q) -2
(컴비네이션/시퀀스 점프) 복수의 점프 요소에서 쿼터 랜딩하였을 때 (q 여러 개) -3~-4 +2
1/4 미만으로 덜 돌았을 때 (q 마크 없음) -1 없음
롱 에지 (e) -2~-4 +2
명확하지 않은 에지 (!) -1~-2 없음
명확하지 않은 에지 (! 마크 없는 경우) -1
poor take-off[50] -2~-4
스텝 오버 때문에 수행한 오일러 -1~-3
(컴비네이션/시퀀스 점프) 점프 사이에 에지 체인지가 있을 때[A] -1~-2
(컴비네이션/시퀀스 점프) 점프 사이에 쓰리턴 두 개[A] -2~-3
좋지 못한 속도, 높이, 비거리 또는 공중 자세 -1~-3
착지 후 두 손을 짚음 -2~-3
(착지 후나 컴비네이션/시퀀스 점프의 점프 요소 사이에) 한 손을 짚거나 한 발이 닿음 -1~-2
(컴비네이션/시퀀스 점프) 점프 요소 사이에 플로우[53], 방향, 리듬의 상실 -1~-3
견고하지 않은 착지 (나쁜 자세, 롱 에지, 스크래치 등)
점프 준비가 길 때
(프리 스케이팅) (컴비네이션/시퀀스 점프에서) 기초점이 없는 점프 (* 기호 없음) -3~-4[54]

4. 점수

싱글선수 기준 정상 수행 점프 점수
종류 / 회전수 1회전 2회전 3회전 4회전 5회전[55]
토룹(T) 0.4 1.3 4.2 9.5 14.0
살코(S) 0.4 1.3 4.3 9.7 14.0
룹(Lo) 0.5 1.7 4.9 10.5 14.0
오일러(Eu)[56] 0.5[57] - - - -
플립(F) 0.5 1.8 5.3 11.0 14.0
러츠(Lz) 0.6 2.1 5.9 11.5 14.0
악셀(A) 1.1 3.3 8.0 12.5 -
페어선수 기준 정상 수행 스로우 점프 점수
종류 / 회전수 2회전 3회전 4회전
토룹(T), 살코(S) 2.5 4.4 6.5
룹(Lo) 2.8 5.0 7.0
플립(F), 러츠(Lz) 3.0 5.3 7.5
악셀(A) 4.0 6.0 -

5. 기록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피겨 스케이팅/점프 기록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점프 최초 성공자
기술명 남자 선수 연도 여자 선수 연도
1T 파일:미국 국기.svg 브루스 메이프스 1920년대 N/A
1S 파일:스웨덴 국기.svg 울리히 살코 1909 파일:미국 국기.svg 테레사 웰드 1920
1Lo 파일:독일 제국 국기.svg 베르너 리트베르거 [58] N/A
1Lz 파일:오스트리아 제국 국기.svg 알로이스 러츠 1913 N/A
1A 파일:노르웨이 국기.svg 악셀 페울센 1882 파일:노르웨이 국기.svg 소냐 헤니 1920년대 초반
2S N/A 1920년대 파일:영국 국기.svg 세실리아 콜레지 1936EC
2Lz N/A 1920년대 파일:체코 국기.svg 알레나 브르자뇨바 1949EC
2A 파일:미국 국기.svg 딕 버튼 1948OG 파일:미국 국기.svg 캐럴 하이스 1953
3T 파일:미국 국기.svg 토머스 리츠 1964WC N/A
3S 파일:미국 국기.svg 로널드 로버트슨 1955WC N/A [59]
3Lo 파일:미국 국기.svg 리처드 버튼 1952OG 파일:동독 국기.svg 가브리엘 세이페르트 1968
3F N/A 파일:동독 국기.svg 카타리나 비트
파일:독일 국기.svg 마누엘라 루벤
1981EC
3Lz 파일:캐나다 자치령 국기.svg 도널드 잭슨 1962WC 파일:스위스 국기.svg 데니스 비엘만 1978EC
3A 파일:캐나다 국기.svg 번 테일러 1978WC 파일:일본 국기.svg 이토 미도리 1988GP
4T 파일:캐나다 국기.svg 커트 브라우닝 1988WC 파일:러시아 국기.svg 알렉산드라 트루소바 2018WJC
4S 파일:미국 국기.svg 티모시 괴벨 1998JGPF 파일:일본 국기.svg 안도 미키 2002JGPF
4Lo 파일:일본 국기.svg 하뉴 유즈루 2016CS 파일:러시아 국기.svg 아델리야 페트로시안 2022국내[60]
4F 파일:일본 국기.svg 우노 쇼마 2016팀 챌린지 컵 파일:러시아 국기.svg 알렉산드라 트루소바 2019GPF
4Lz 파일:미국 국기.svg 브랜던 므로즈 2011GP 파일:러시아 국기.svg 안나 셰르바코바
파일:러시아 국기.svg 알렉산드라 트루소바
2018국내[61]
2018JGP
4A 파일:미국 국기.svg 일리야 말리닌 2022CS -

6. 5회전(퀸터플) 점프는 가능할 것인가?

점점 시간이 지나면서, 특히 남자 피겨 종목에서는 4회전 점프가 사실상 필수 기술이 되자, 일각에서는 5회전(퀸터플) 점프(Quintuple jump)가 과연 나올 것인가라는 의문이 제기되었다.

미국의 유명한 대중과학 잡지 '사이언티픽 아메리칸'(Scientific American)에서는 만약 피겨 스케이팅 선수가 5회전 점프를 하려면 체공시간을 0.72초~0.75초로 늘려야 한다고 분석했다. 일반적으로 피겨 스케이팅 선수가 가장 오랫동안 유지하는 체공 시간이 0.6초~0.7초이다. 거기에다가 인간의 신체가 5회전 점프에서 발생하는 각운동량 등을 버텨내야하는데 이게 현재 인간의 신체상으로는 불가능하다. 이것을 분당 회전수(rpm)으로 환산하면, 평균 400~500rpm을 인간의 몸이 버텨야 한다는 뜻이 된다. 쿼드러플 점프의 경우 평균 rpm값이 340이고, 순간최대값이 420~440임을 생각하면 너무나도 빠르게 몸을 회전시켜야한다.[62] 이는 각운동량 보존 법칙에 의해 쉽게 알 수 있다. 이 때문에 아직까지는 인간이 5회전 점프를 해낼 수 있을 가능성은 거의 없다고 보고 있다.

[1] 과거 김연아 선수가 2009/10시즌까지 트리플 플립+트리플 토룹 혹은 트리플 러츠+트리플 토룹과 더블 악셀+트리플 토룹을 프리에서 구사하였으며, 이 시기에 트리플 토룹을 이렇게 연결해내는 선수는 상위권에서도 정말 드물었기 때문에 기술 점수에서 큰 우위를 점했다. 연결 트리플 토룹이 중위권 선수들에게도 필수로 여겨지기 시작한 시기가 얼마지나지 않아 시작되었으나 역사가 그리 오래되지 않았다. 2021년 기준 연결 트리플 룹을 구성에 넣어오는 선수들이 러시아를 중심으로 여럿 등장했다. 그러나 시간이 갈수록 해당 선수들 또한 연결 룹을 구사하지 않게 되었으며, 기량 하락 또는 은퇴 수순을 밟았다.[2] 오른발잡이의 모든 점프는 오른발 후진 아웃에지로 랜딩하므로 전진 아웃에지로 도약하는 악셀을 뛰기 위해서는 모호크 스텝 하나가 반드시 필요하다.[3] 남자 선수들 중 다른 기술적 도전을 위해 시퀀스 점프를 구사하는 경우가 있긴 했다. 이 경우 새로 도전하는 기술로 얻어내는 점수가 시퀀스 점프로 손해보는 기술점보다 더 높다.[2024-25과제] [쿼드러플불가] [트리플악셀불가] [7] 더블-더블, 더블-트리플, 트리플-더블, 트리플-트리플.[쿼드러플불가] [2024-25과제] [쿼드러플불가] [쿼드러플불가] [쿼드러플불가] [쿼드러플불가] [쿼드러플불가] [퀸터플불가] [쿼드러플불가] [17] 더블-트리플, 트리플-더블, 트리플-트리플, 트리플-쿼드러플, 쿼드러플-더블, 쿼드러플-트리플.[더블-더블불가] [쿼드러플-쿼드러플불가] [20] 예를 들어 남자 싱글 스케이터가 단독 점프로 쿼드러플 살코를 뛰고서 컴비네이션 점프로 트리플 토룹-트리플 토룹을 뛰는 것은 아무런 제약이 없다. 그러나 쿼드러플 토룹을 단독 점프로 뛰고서 컴비네이션 점프로 쿼드러플 토룹-더블 룹을 뛰면 안된다.[21] 일레인 자약은 당시 3번의 트리플 토룹과 최소 1번 이상의 트리플 토왈리 점프를 시도했던 것으로 보인다. 토왈리 점프는 토룹과 도약이 거의 비슷한 점프로 오른쪽 안쪽 날로 후진하다가 왼쪽 톱니로 빙판을 치는 동작으로 도움닫기를 하여 뛰는 점프를 말한다. 그러나 일레인 자약의 토왈리 점프는 도약 방식이 토룹과 거의 다를 바가 없어 4번의 토룹으로 간주되었다. 사실 일레인 자약 말고도 모든 선수의 토왈리가 토룹과 구분하기 어려웠기에 토왈리 점프는 토룹 점프로 통합되었다. 통합이 된 것이기 때문에 토왈리 점프를 뛰었다 하더라도 플립이나 러츠처럼 롱 엣지 판정을 부여하는 일 없이 그냥 토룹 점프로 간주하며 감점도 없다.[22] 즉, 2026/27 시즌부터 4T+3T, 4T, 3Lz+3T는 불가능하다.[23] 예시로, 반복할 점프가 살코와 플립이라면 살코 반복은 트리플, 플립 반복은 쿼드러플로 구성할 수 있다. 3S,4F,4F+1Eu+3S 와 같이 구성해야 함.[24] 즉, 4T+3T, 4T+1Eu+3S 구성이 가능하다.[25] 2번 뛴 경우 한 번은 컴비네이션이나 시퀀스 점프의 일부여야 한다.[26] 단, 더블 악셀 및 2회전 이하의 점프는 단독으로 두 번 수행해도 무방하다.[2024-25시즌] [2024-25시즌과제] [29] 단, 5회전 점프에 다운그레이드 판정이 내려질 경우, 점프 종류에 관계 없이 쿼드러플 토룹 기초점인 9.5점이 부여된다. 예를 들어, 5Lz<<와 5T<<의 기초점은 모두 4T 기초점인 9.5점이다.[30] 도입 초기에는 1/4 초과(기존의 다운그레이드 판별 기준)~1/2 이하 모자랄 경우로 정의했다. 한때는 실패한 점프에도 중간점을 부여한다 하여 '중간점 룰'이라 불리기도 했다.[31] 만일 롱엣지와 언더 로테이티드 판정을 함께 받았다면 기초점의 60%를 인정해준다.[32] 트리플 악셀의 기초점은 8.0, 더블 악셀의 기초점은 3.3[33] Woman[34] Man[35] 언더로테이티드 판정과 롱 에지 판정을 모두 받은 경우에는 기초점의 60%를 받는다.[36] 말 그대로 에지 사용을 조심하라는 뜻이다.[37] 회전 수 부족 문단 참고.[38] 노비스 시절~주니어 데뷔 시기, 토룹 점프를 교정하기 이전의 아사다 마오의 토룹 점프가 이러했으며, 그 외 아사다 마이, 나카노 유카리의 토룹 점프도 토 악셀에 가까웠다.[39] 기술 요소의 레벨을 책정하는 심판진이다.[40] 그 외 엣지 점프에서 프리로테이션이 있다면 점프 자체를 제대로 뛰어 내기가 어려워져서 그리 흔하지 않다. 플립과 러츠에서의 프리로테이션이 과하면 회전을 시작해내기 어려운 두 점프의 특징을 많이 없앤 채로 점프를 시작하게 되어 난이도를 크게 낮출 수 있긴 하다. 그러나 난이도를 낮추어도 두 점프는 매우 어려운 것이 현실이며, 골반이 완전히 닫혀있다는 특성 때문에 뒤로 도약하는 일은 물리적으로 발생하지 않는다. 그 대신 상체에 비해 하체가 쉽게 회전하지 못해서 도약할 때 몸이 불편하게 휘거나 꼬이고, 이를 바로잡을 추가적인 운동 능력이 필요하게 되어 복잡한 기술적 문제가 발생한다. 또한 과한 프리로테이션의 영향으로 토를 통한 도움닫기를 엉망으로 하게 될 가능성이 현저히 높고, 그래서 또 다른 속임수를 쓰는 문제를 야기한다.[41] 플립과 러츠에서의 풀 블레이드는 룹 점프와의 경계를 없앤다. 토룹에서는 악셀 또는 홉과의 경계를 없앤다.[42] 운동량-충격량 및 충격력 참고.[43] unclear tale-off 중에서도 poor take-off로 간주하여 이같은 GOE를 부여해야한다.[44] 너무 많은 선수들이 풀 블레이드 문제를 안고 있어 풀 블레이드를 본격적으로 평가할 경우 상위권 선수들도 남아나질 않는다.[45] 기초점 + (GOE X 팩터) = 기술 점수[46] 1988 캘거리 동계올림픽 남자 싱글 금메달리스트 브라이언 보이타노의 이름을 땄다.[47] 미국의 피겨 스케이팅 선수 아담 리폰의 이름을 땄다.[48] 져지들이 -5를 누르도록 지시만 할 뿐 기초점 자체가 없어 실제 점수에 반영되지는 않는다.[49] 착지 후 중심을 잃으며 떨어져야하는 쪽 발(프리풋) 빙판에 닿고 더 나아가 중심까지 반대 발로 이동했을 때를 말한다.[50] 풀 블레이드, 테크니컬 패널이 적발하지 못한 cheated take off 등[A] 착지가 흔들리면 발생하는 현상이기 때문이다.[A] [53] 착지 후 스케이팅 에지가 유려하게 빙판 위를 흘러가는지 아닌지를 의미하는 용어이다.[54] 기초점을 아예 못받았다면 져지들이 -3~-4를 누르도록 지시만 할 뿐 실제 점수에 반영되지는 않는다.[55] 2024/25 시즌부터 5회전 점수가 추가되었다.[56] 기존의 하프룹 점프가 2018/19 시즌부터 오일러 점프로 불리며, 1회전 밖에 없다.[57] 2026/27 시즌부터 점수가 부여되지 않는 대신, 점프 횟수에 포함되지 않는다.[58] 추측[59] 판명되지 않음. 다음은 확인된 기록. 헬리 셍스트슈미드 & 자나 므라즈코바 1961 유럽 선수권, 페트라 버카 1962 캐나다 선수권 & 1965 세계 선수권[60] 러시아 선수권, 비공인 대회이나 ISU는 이것을 최초 랜딩으로 소개한다.[61] 러시안 컵, 비공인 대회이나 ISU는 이것을 최초 랜딩으로 병기하여 소개한다.[62] 랜딩 시 선수의 무릎과 발목 관절에 가해지는 충격은 둘째치더라도 이렇게 빨리 회전하면 혈관에도 무리가 온다. 매일매일 계속해서 연습, 훈련을 반복하는 선수들은 내출혈 등 부상을 입을 가능성이 높다.


파일:CC-white.svg 이 문단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118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단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118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