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체역학 Fluid Mechanics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 <colbgcolor=#0D98BA><colcolor=#fff> 유체와 힘 | 유체 · 뉴턴 유체 · 비뉴턴 유체(멱법칙 유체 · 오스트발트-드 웰 관계식 · 허쉘-버클리 유체 · 리-아이링 이론) · 압력 · 부력 (아르키메데스의 원리) · 항력 (수직항력 · 스토크스 법칙) · 응력(응용) · 양력 · 표면장력 · 상 · 밀도 · 기체 법칙 (이상 기체 법칙) · 달랑베르의 역설 |
유체동역학 | 유동 (압축성 · 탄성 · 점성/점성계수) · 난류 및 층류 · 레이놀즈 수송 정리 (체적 검사) | |
무차원수 | 마하 수 · 레이놀즈 수 · 프란틀 수 · 레일리 수 · 그라스호프 수 · 슈미트 수 · 네버러 수 · 프루드 수 | |
방정식 | 나비에-스토크스 방정식 · 연속 방정식 · 오일러 방정식 · 구성 방정식 · 베르누이 방정식 · 파스칼의 원리 · 브라운 운동 방정식 · 하겐-푸아죄유 법칙 · 글래드스톤-데일 방정식 | |
응용 및 현상 | 날씨 · 모세관 현상 · 마그누스 효과 · 케이 효과 · 카르만 효과 · 사이펀의 원리 · 대류 현상 · 슬립 스트림 · 최대동압점 · 스탈링 방정식 · 벤추리 효과 · 레인-엠든 방정식 · 엠든-찬드라세카르 방정식 · 라이덴프로스트 효과 | |
유체역학 연구 | 전산유체역학(CFD) · 풍동 실험 · 차원분석 | }}}}}}}}} |
1. 개요
하겐-푸아죄유 법칙(Hagen–Poiseuille's law)은 독일의 물리학자 고틀리프 하겐과 프랑스의 물리학자 장 푸아죄유가 압력과 뉴턴 유체의 부피 유속에 관한 상관관계를 설명하기 위해 1840년에 발표한 법칙이다.2. 정의
원통형 계에서 뉴턴 유체의 흐름이 층류임을 가정할 때 뉴턴유체의 부피 유속 [math(Q)]는 다음과 같다.[math(\displaystyle Q=\dfrac{πr^4}{8η}\dfrac{\partial P}{\partial x})]
좀더 쉬운 표현으로 쓰자면,
[math(\displaystyle ΔP=\dfrac{8ηLQ}{πr^4})]
[math(\partial P)]는 압력 변화량, [math(η)]는 유체 점성 밀도이다.
2.1. 유도
길이 AB, 반지름이 r인 원통을 가정하자. 원통 양끝에 적용되는 압력 차이가 [math(P \pm \frac{\partial P}{\partial x}Δx)]로 쓸수 있음을 상기하자, 계산 편의상 길이 AB를 L이라고 한다.<colbgcolor=#efefef,#555555> 위치 A의 유체 압력 | [math(\displaystyle P_A=P+\frac{\partial P}{\partial L}\frac{ΔL}{2})] |
위치 B의 유체 압력 | [math(\displaystyle P_B=P-\frac{\partial P}{\partial L}\frac{ΔL}{2})] |
원통 내부에서의 힘의 평형은 아래와 같으므로,[1]
[math(P_{A}ΔA-P_{B}ΔA+F_{shear}=0)]
따라서,
[math(\displaystyle \begin{aligned} (P+\frac{\partial P}{\partial L}\frac{ΔL}{2})ΔA-(P-\frac{\partial P}{\partial L}\frac{ΔL}{2})ΔA+τΔA’=0 \end{aligned})] |
[math(\begin{aligned} \displaystyle \dfrac{\partial P}{\partial L}ΔL(πr^2)+τ(2πrΔL)=0\\ r\frac{\partial P}{\partial L} = 2τ \end{aligned})] |
아래의 뉴턴 점성 법칙을 상기하면,
[math(\displaystyle τ=η\dfrac{du}{dr})]
[math(\displaystyle \frac{du}{dr}=\frac{r}{2η}\frac{\partial P}{\partial L})]
[math(\displaystyle \int du = \int \frac{r}{2η}\frac{\partial P}{\partial L}dr)], [math(\displaystyle u=\frac{R^{2}-r^2}{4η}\frac{\partial P}{\partial L})]
다음의 유속의 정의에 의해서,
[math(\displaystyle u= \frac{Q}{A}, Q=\int u dA)]
[math(\displaystyle Q=\int_{0}^{R} \frac{R^{2}-r^2}{4η}\frac{\partial P}{\partial L}2πrdr)]
[math(\displaystyle =\frac{2π}{4η}\frac{\partial P}{\partial L}\int_{0}^{R} (rR^{2}-r^3)dr)]
[math(\displaystyle =\frac{π}{2η}\frac{\partial P}{\partial L}\frac{R^{4}}{4})]
[math(\displaystyle =\dfrac{πr^4}{8η}\dfrac{\partial P}{\partial x})]
가 정의된다.
3. 관련 문서
*달시-바이스바하식*베르누이 정리
[1] 여기서 A는 미소환상면적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