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12-27 18:29:16

이상 기체 법칙


'''열역학 · 통계역학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word-break: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기본 개념 <colbgcolor=#FFF,#111><colcolor=#000,#fff>열역학 법칙{열역학 제1법칙(열역학 과정) · 열역학 제2법칙(엔트로피)} · 질량 보존 법칙 · 에너지 · 물질 · 온도(절대영도) · 압력 · (비열 · 열용량) · (일률) · (반응계 · 고립계) · · 밀도 · 기체 법칙{보일 법칙 · 샤를 법칙 · 게이뤼삭 법칙 · 아보가드로 법칙 · 이상 기체 법칙(이상 기체)} · 기체 분자 운동론
통계역학 앙상블 · 분배함수 · 맥스웰-볼츠만 분포 · 페르미-디랙 분포 · 보스-아인슈타인 분포 · 맥스웰-볼츠만 통계 · 페르미-디랙 통계 · 보스-아인슈타인 통계 · 페르미온 응집 · 보스-아인슈타인 응집 · 복잡계(카오스 이론) · 흑체복사 · 브라운 운동 · 역온도 · 위상 공간
열역학 퍼텐셜 내부 에너지 · 엔탈피 · 자유 에너지(헬름홀츠 자유 에너지 · 깁스 자유 에너지) · 란다우 퍼텐셜 · 르장드르 변환
응용 및 현상 현상 가역성 · 화학 퍼텐셜 · 상전이 · 열전달{전도(열전도율 · 전도체) · 대류 · 복사} · 판데르발스 힘 · 열처리 · 열량(칼로리) · 네른스트 식 · 물리화학 둘러보기
열기관 내연기관 · 외연기관 · 열효율(엑서지) · 열교환기(히트펌프) · 카르노 기관 · 영구기관 · 열전 소자
관련 문서 화학 둘러보기 · 스털링 근사 · 전자친화도 · 이온화 에너지 · 응집물질물리학 · 고체물리학 · 기계공학 · 화학공학 · 정보이론 · 맥스웰의 악마 · 볼츠만 두뇌 · 에르고딕 가설 · 브라질너트 효과 }}}}}}}}}

유체역학
Fluid Mechanics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colbgcolor=#0D98BA><colcolor=#fff> 유체와 힘 유체 · 뉴턴 유체 · 비뉴턴 유체(멱법칙 유체 · 오스트발트-드 웰 관계식 · 허쉘-버클리 유체 · 리-아이링 이론) · 압력 · 부력 (아르키메데스의 원리) · 항력 (수직항력 · 스토크스 법칙) · 응력(응용) · 양력 · 표면장력 · · 밀도 · 기체 법칙 (이상 기체 법칙) · 달랑베르의 역설
유체동역학 유동 (압축성 · 탄성 · 점성/점성계수) · 난류 및 층류 · 레이놀즈 수송 정리 (체적 검사)
무차원수 마하 수 · 레이놀즈 수 · 프란틀 수 · 레일리 수 · 그라스호프 수 · 슈미트 수 · 네버러 수 · 프루드 수
방정식 나비에-스토크스 방정식 · 연속 방정식 · 오일러 방정식 · 구성 방정식 · 베르누이 방정식 · 파스칼의 원리 · 브라운 운동 방정식 · 하겐-푸아죄유 법칙 · 글래드스톤-데일 방정식
응용 및 현상 날씨 · 모세관 현상 · 마그누스 효과 · 케이 효과 · 카르만 효과 · 사이펀의 원리 · 대류 현상 · 슬립 스트림 · 최대동압점 · 스탈링 방정식 · 벤추리 효과 · 레인-엠든 방정식 · 엠든-찬드라세카르 방정식 · 라이덴프로스트 효과
유체역학 연구 전산유체역학(CFD) · 풍동 실험 · 차원분석 }}}}}}}}}

기체 법칙
보일 법칙
([math(P \propto {V^{-1}})])
샤를 법칙
([math(V \propto T)])
기체 반응 법칙
([math(V_1:V_2= n_1:n_2)])
아보가드로 법칙
([math(V \propto n)])
이상 기체 법칙
([math(PV=nRT)])
* 기체 반응 법칙은 게이뤼삭 법칙의 다른 이름이다. 다만 이는 샤를의 법칙의 다른 이름이기도 하다.


1. 개요2. 실험적 유도3. 이론적 유도4. 관련 법칙
4.1. 반트 호프의 삼투압 법칙4.2. 삼차 상태 방정식
5. 여담6. 관련문서

1. 개요

이상 기체 법칙(, Ideal gas law)은 이상 기체의 상태를 서술하기 위한 법칙이다.

[math(PV=Nk_{\rm B}T=nRT)]로 나타내어지며, '이상기체 상태 방정식'으로 부른다.[1] 보일의 법칙, 샤를의 법칙, 아보가드로의 법칙 등을 집대성한 법칙이다. 어디까지나 이상 기체를 서술하는 법칙이니만큼 이상 기체가 아닌 실기체에 이 법칙을 적용하면 오차가 생기나, 일상적인 상황, 즉 [math(\rm1\,bar = 100\,000\,Pa)] 부근의 압력 또는 [math(\rm50\,\degree\!C)] 미만 정도의 온도에서는 사실상 그 오차를 무시할 수 있어서 기초적인 수준의 학부 실험에서 쓰이고 있다. 이 법칙의 등장과 함께 기체에 관한 연구는 큰 성장을 이룩하여 기체 분자 운동론 등 세기에 남을 이론이 만들어지게 되었다. 현대에는 비교적 간단한 반데르발스 식부터 현장에서 많이 쓰이는 펑-로빈슨(Peng-Robinson) 방정식까지 실제 기체의 상태를 좀 더 정확하게 서술하는 방정식[2]이 등장한 상태이다.

몇몇(혹은 대부분의) 학생들은 이 법칙을 그저 그런 법칙, 혹은 시험에 많이 출제되는 법칙(...) 정도로 생각하기도 한다. 그러나 이 법칙은 이상기체의 정적인 상태를 완전히 설명[3]한다는 점에서 그 의의가 상상 이상으로 크다. 생각해 보자. 다른 상(고체, 액체 등)들은 그 상태를 완전히 설명할 수 있는 법칙이 없다. 그러나 기체는? 비록 이상 기체라는 제약이 붙지만 [math(P)], [math(V)], [math(n)], [math(T)] 겨우 네 가지 변수만을 가진 이상 기체 법칙으로 그 상태를 완벽히 서술할 수 있다. 게다가 그 법칙이 실기체에도 꽤나 잘 들어맞는다! 이 법칙이 왜 시험에 그토록 많이 출제되었는지 그 이유를 생각해 보고, 물리학도나 화학도라면 한 번쯤 그 의미를 되새겨보는 것도 좋을 것이다.

고등학교 과학의 물화생지 모든 과목에서 조금씩이나마 건드리는 몇 안 되는 부분이다.[4] 물론 생명과학에서 직접적으로 쓰이진 않고 삼투압에서 이상용액이 이상기체와 같은 움직임을 보이기 때문에...

과학도들이 고등학교 시절부터 지겹게 보는 것과는 다르게, 그 역사가 기원전까지 내려가는 수학이나 수백 년 된 여타 물리학 법칙에 비해 대략 백오십 년이 조금 넘은 비교적 최신 학문이다. 현재도 많은 학자들이 투입되어, 실기체의 상태를 좀 더 정확하게 서술하려는 노력은 지금도 계속되고 있다.[5]

2. 실험적 유도

이상 기체 법칙은 아래 네 법칙에서 유도된다.
자세히 설명하자면,
[math(V \propto \dfrac1P)]
(일정한 온도, 일정량의 기체에서 성립하는 보일 법칙)
[math(V \propto T)]
(일정한 압력, 일정량의 기체에서 성립하는 샤를 법칙)
[math(V \propto n)]
(일정한 온도, 일정한 압력에서 성립하는 아보가드로 법칙)

여기에서 [math(n)]은 기체 분자의 물질량(몰수)에 해당한다. (물론 물질량은 단순하게 기체 입자의 개수 [math(N)]를 아보가드로 수로 나눈 것일 뿐이므로 [math(V \propto N)]이기도 하다.) 이 세 가지 법칙을 한 식으로 결합하면,
[math(V \propto \dfrac{nT}P)]
이 관계식에 비례상수 [math(R)][6]을 도입하여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math(PV=nRT=Nk_{\rm B}T)]
* [math(N)]: 기체 분자 수
* [math(n)]: 기체 분자의 물질량
* [math(k_{\rm B})]: 볼츠만 상수
이 방정식을 이상 기체 상태 방정식이라고 하며, 이상 기체를 효과적으로 기술할 수 있는 상태 방정식이다. 이 기체 방정식은 기체 분자 운동론의 기본이 되는 식으로, 이 식에서 보일의 법칙, 샤를의 법칙, 보일-샤를의 법칙 및 아보가드로의 법칙 등을 쉽게 추론할 수 있으며, 기체의 분자량을 구하는 등의 일도 가능하다.

참고로 위의 식에서 [math(nRT)]와 [math(Nk_{\rm B}T)] 두 가지 형태로 표현되어 있는데, 이 식을 이용하는 방식이 다르기 때문이다. 특히 주로 물리학과 화학에서 쓰는 방법이 다른데, 물리학에서는 개개의 입자가 어떻게 되는지에 관해서 관심이 있는 경우가 더 많기 때문에 입자의 개수가 바로 표현되는 [math(Nk_{\rm B}T)]를 쓰는 경우가 많은 데 비해서, 화학에서는 물질량을 이용해서 거시적으로 어떤 현상이 발생하는지에 관심을 갖는 경우가 더 많이 때문에 [math(Nk_{\rm B}T)]는 있는지도 모르는 수준으로 거의 [math(nRT)]만 사용한다. 대학교 과정 이후에서 분명히 같은 부분인데 물리학도와 화학도 사이에 커뮤니케이션이 안될때는문제 풀려고 찾다가 솔루션을 구했는데 표기법이 다르다던가 이 부분을 생각하면 된다.

압력에 대하여 정리하면 다음과 같은 형태로 표현될 수 있다. 주로 통계역학이나 천체물리학에서 선호하는 형태이다.
[math(P=nk_{\rm B}T=\frac{ρRT}{μ})]
* [math(n)]: 기체 분자의 개수밀도
* [math(ρ)]: 기체의 밀도
* [math(μ)]: 기체의 평균 분자량[7]

이 법칙은 기체 분자가 자체 크기가 없고, 서로 인/척력이 없으며[8][9], 완전 탄성운동을 한다는 허구의 가정 하에 수립되는 법칙(기체 분자 운동론)이므로 실제와 미세한 오차가 있지만, 대기압 부근에서는 거의 모든 기체에 대해서 잘 맞으며, 압력이 낮아질수록, 온도가 높을수록, 무극성이면서 분자량이 낮을수록 더 정확하게 성립힌다(헬륨이 이상 기체에 제일 가깝다는 이야기가 바로 이것.). (기체 분자 운동론 문서의 3번째 문단 참고.)[10] 이러한 이상 기체 법칙은 실험으로 측정한 거시적 행동과 구성 분자의 구조 및 상호작용을 연결한 최초의 예이다.

3. 이론적 유도

위의 유도방식은 실험결과를 종합한 결과이다. 보다 엄밀한 유도는 통계역학적 접근이 필요하다.

4. 관련 법칙

4.1. 반트 호프의 삼투압 법칙

이상 기체 상태 방정식과 비슷한 식으로 [math(\varPi V=nRT)]라는 식이 있다. [math(\varPi)](대문자 파이)는 삼투압이다.

고등학교나 대학 1학년 수준의 교재에서는 [math(\varPi = CRT)]로 표현하기도 한다. 여기서 [math(C)]는 용액의 몰농도를 의미한다. 두 방정식이 각각 기체와 액체에 대한 것이어서 서로 연관성이 적은데도 불구하고 그 꼴이 매우 유사하다는 것은 상당히 흥미로운 부분이다. 이는 두 현상이 본질적으로 엔트로피라는 동일한 열역학적 근원을 가지기 때문이다.

입자 간 상호 작용을 간단하게나마 적용한 꼴은 반데르발스 식이라고 부르며[11], 그 식은 [math({\left\{P+a{\left(\dfrac nV\right)}^2\right\}}(V-bn)=nRT)]이다. [math(a)], [math(b)]는 반데르발스 상수인데 [math(a)]는 분자의 인력에, [math(b)]는 분자의 자체 부피에 비례하는 상수로서 기체마다 다른 값을 가지며, 실제 기체가 이상 기체의 거동에서 얼마나 벗어나는가를 나타내는 척도가 된다. 이상 기체의 경우 [math(a=b=0)]이다.

4.2. 삼차 상태 방정식

상전이를 설명하려면 이것을 사용해야 한다. 이상 기체가 아닌 실제 기체에서 사용되는 방정식이다. 실제 기체 상태 방정식이라고도 한다. 냉전 기간동안 급격하게 발전한 학문중 하나인데. 고작 50년간 학부수준에서 추가될 방정식만 3개가 추가된 상황으로 현재도 해당식이 없던 시절에 학부를 마친 교수들이 남아 있는 상황이다.

주요 식으로는 다음이 있다.
  • 반데르발스 방정식: 식이 간단해서 학부에서 다루지만, 현장에서는 부정확성 때문에 폐기되었다.
  • 소아베-레틀리히-퀑(Soave-Redlich-Kwong) 방정식 (1949): 레틀리히-퀑 계열의 상태방정식은 반데르발스 방정식을 수정한 것이다. 과거 잠깐 산업 현장에서 사용되었지만 폐기되었다. 2010년대에는 대학원에서 많이 사용한다.
  • 펑-로빈슨(Peng-Robinson) 방정식 (1976): 고압에서 기상-액상 시스템의 상거동(phase behavior)을 다룰 때 사용하는 식. 고압, 고온을 다루는 정유사 등의 산업에서 많이 쓰인다. 상온 근처에서는 실험값보다 밀도를 낮게 예측한다는 단점이 있다 (이때는 PRBM식 등 다른 식을 고려해보아야 함).
  • 비리얼(Virial) 방정식: 통계역학 관련해서 중요한 식.

5. 여담

물리학이나 화학을 공부한 사람이 [math(PV=nRT)]를 아주 유심히 본다면 의문점이 올 것이다. 왜냐하면 [math(F=Gdfrac{Mm}{r^2})]의 [math(G)]나 [math(E_k=dfrac32k_{rm B}T)]의 [math(\dfrac32)][math(k_{rm B})]처럼 공식은 대부분 상수를 맨앞에 적는데 반해, [math(PV=nRT)]의 우변 [math(nRT)]에서 상수인 [math(R)](기체 상수)가 변수인 [math(n)](물질량)과 [math(T)](절대온도)의 사이에 위치해 있기 때문이다. 이 이유는 잘 알 수 없지만, 아마 읽기 쉽게 하려고 바꾸지 않았나 싶다. 아르엔티보다는 엔아르티가 더 읽기 쉬우니. 알파벳 순으로 배열했다는 설도 있다.

[math(PV=nRT)]에서 [math(nRT)] 부분을 제대로 정렬하지 않고 쓰면 [math(nTR)](...)이라 가끔 공대개그의 일부로 쓰인다. 실제로 이런 식으로 공식을 외우는 사람들도 드물지 않게 볼 수 있다.

6. 관련문서


[1] 중등교육과정에서는 흔히 '피부는 노랗다'로 외워봤을 것이다.[2] 학부 저레벨 수준의 초보적인 실험을 제외한다면 현장에서 쓰임직한 방정식들로는 전술한 펑-로빈슨 방정식 말고도 소아베-레틀리히-퀑(Soave-Redlich-Kwang) 방정식, 디터리치(Dieterici) 방정식, 비리얼(virial) 방정식, 베르누이 정리, 나비에-스토크스 방정식 등이 있다. 후자 두 개는 열역학보다는 유체역학 쪽이지만.[3] 동적인 상태는 유체역학으로 설명해야 하며, 이쪽은 액체보다 기체가 훨씬 어려우며 그나마도 완전하지 않다.[4] 물리학의 역학 파트, 화학II 전반에서 자주 다룬다.[5] 위에 언급된 펑-로빈슨 방정식도 1976년에 나와서 고작 40여년 정도밖에 되지 않았고, 발견자인 펑딩위(彭定宇; Péng Dìng-Yǔ)는 2021년까지 서스캐처원 대학교 교수로 재직했다.(현재는 명예교수) 중국 대륙 출신의 외성인으로 국공내전 시기에 대만으로 건너가 국립타이완대학을 졸업한 후 미시간 대학교에서 박사학위를 취득했다. 여담이지만 학생들의 펑딩위 교수의 대한 평은 연구 말고는 생각하는 게 없다는 식으로 명성에 비해 굉장히 좋지 않다.(...)[6] 이 [math(R)]를 이상 기체 상수 또는 짧게 기체 상수라고도 하며, 아보가드로 수만큼은 아니지만 꽤나 많이 쓰이는 상수이므로 화학도라면 값을 숙지하고 있는 것이 좋다. 고등학교 과정에서는 그 값을 몰라도 무방하다.[7] 천체물리학에서 완전 전리된 플라즈마를 다룰 때는 전자와 핵을 모두 입자 개수로 세되 전자의 질량은 무시하고, 평균분자량을 수소는 1/2, 헬륨은 4/3, 기타 중원소(금속)는 2로 잡는다.[8] 뉴턴 역학을 공부한 사람이라면 알겠지만, 서로 다른 물체가 힘을 작용하지 않는다는 이야기는 그 두 물체가 서로의 운동에 전혀 간섭하지 않는다는 이야기이다.[9] 인/척력이 있다는 것은 해당 기체에 점성이 있다는 것과 동치이고, 이는 곧 압축성 나비에-스토크스 방정식으로 식을 기술해야 함을 의미한다.[10] 후에 네덜란드의 물리학자 반데르발스가 이상 기체 상태 방정식에 기체 분자 자체의 부피와 인/척력까지 고려한 반데르발스 식을 고안해 내었다. 물론 이 식이 완벽한 것은 아니며 실제 기체에 대해 이상 기체 방정식보다는 조금 더 잘 설명할 수 있다. 대신 복잡하다. 사실 반데르발스 식도 잘 안 맞아서 최초로 고안된 실제 기체 상태 방정식 정도의 의미만 가지고 있다. 요즘은 펑-로빈슨 상태 방정식 등을 사용한다.[11] 반데르발스 힘의 그 사람이다.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