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f top2 != null
, [[]][[]]
#!if top3 != null
, [[]][[]]
#!if top4 != null
, [[]][[]]
#!if top5 != null
, [[]][[]]
#!if top6 != null
,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1982 | 1983 | 1984 | | 1986 | 1987 | 1988 | 1989 | 1990 | 1991 |
1992 | 1993 | 1994 | 1995 | 1996 | 1997 | 1998 | 1999 | 2000 | 2001 | |
2002 | 2003 | 2004 | 2005 | 2006 | 2007 | 2008 | 2009 | 2010 | 2011 | |
2012 | 2013 | 2014 | 2015 | 2016 | 2017 | 2018 | 2019 | 2020 | 2021 | |
2022 | 2023 | 2024 | 2025 |
1993년 한국프로야구 포스트시즌 | ||
1993 KBO 준플레이오프 | 1993 KBO 플레이오프 | 1993 KBO 한국시리즈 |
1. 개요
1993년 프로야구 포스트시즌은 10월 2일부터 10월 26일까지 열렸으며 1위 해태 타이거즈, 2위 삼성 라이온즈, 3위 OB 베어스, 4위 LG 트윈스가 참여하였다.특이사항으로는 해태가 당시 KBO 최다승 타이 기록을 세우며 우승했다는 점[1], 그리고 서울 2팀이 가을야구에 사상 처음 동반진출했다는 점이 있다. 여기에 투고타저였던 이 시즌에서 매우 강한 타격을 자랑하던 삼성이 2위를 차지하기도 했다. 그리고 지난해 한국시리즈 우승팀과 준우승팀(정규시즌 우승팀)이었던 롯데 자이언츠와 빙그레 이글스가 6위, 5위로 포스트시즌에 진출하지 못했다.
이 해 포스트시즌은 준플레이오프, 플레이오프, 한국시리즈 모두 최종전[2] 까지 간 유일한 시즌으로 모든 시리즈에서 명승부를 펼친 역대 최고의 포스트시즌이라 할 수 있다.[3][4] 준플레이오프에서는 프로야구 포스트시즌 사상 처음으로 잠실 시리즈가 열렸다. 치열한 투수전 끝에 2승 1패로 LG가 플레이오프에 진출했다.[5] 그리고 플레이오프에서는 접전 끝에 삼성이 LG를 누르고 한국시리즈에 진출했다.
그렿게 해서 1위 해태 타이거즈와 플레이오프 승자인 2위 삼성 라이온즈간에 한국시리즈가 열렸다. 자세한 내용은 1993년 한국시리즈 항목 참조.
2. 준플레이오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KBO 준플레이오프/1993년#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KBO 준플레이오프/1993년#|]][[KBO 준플레이오프/1993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3. 플레이오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KBO 플레이오프/1993년#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KBO 플레이오프/1993년#|]][[KBO 플레이오프/1993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4. 한국시리즈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1993년 한국시리즈#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1993년 한국시리즈#|]][[1993년 한국시리즈#|]] 부분을
참고하십시오.5. 관련 문서
[1] 다음해 LG가 81승으로 KBO 최다승 타이 기록을 세우며 우승했다.[2] 여기에서 한국시리즈는 6차전까지 해태가 “3승 1무 2패인데 어떻게 최종전이냐?”라고 할 수 있는데, 한국프로야구 포스트시즌 시리즈 최종전은 3승 3패까지 간 시점이 아니라 무조건 7차전이 최종전이기 때문에 한국시리즈도 최종전까지 간 것이 맞다.[3] 이와 비견되는 최고의 포스트시즌으로는 2010년, 2013년 등을 들 수 있는데 2010년은 한국시리즈가, 2013년은 플레이오프가 맥이 빠졌다.[4] 이 때문에 축구계에서는 대한민국이 1994 FIFA 월드컵 미국에 천신만고 끝에 기적적으로 진출하자 축구에 관심을 불러오기 위해서 일부러 경기를 어렵게 했다는 음모론이 돌기도 했다. 이유는 사우디아라비아와 경기에서 1:0으로 이기고 있다가 종료 5분전에 골 먹혀서 비기고, 이라크에겐 2:1로 이기고 있다가 종료 2분전에 골 먹혀서 비기고 일본에게 1:0으로 지는 바람에 탈락 직전까지 갔기 때문이다. 어디까지나 음모론일 뿐이므로 걸러 들을 필요는 있다.[5] 특히 이 해 준플레이오프의 OB(.172)와 LG(.191)는 포스트시즌에서 두 팀 모두 1할대 타율을 기록한 유일한 사례다. 이 때가 굉장한 투고타저였음을 보여주는 지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