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11-08 15:03:25

해니벌 햄린

<colcolor=#0d1635>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 linear-gradient(to right, #ececec, #fff 20%, #fff 80%, #ececec)"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8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초대 제2대 제3대 제4대
존 애덤스 토머스 제퍼슨 에런 버 조지 클린턴
제5대 제6대 제7대 제8대
엘브리지 게리 대니얼 D. 톰킨스 존 C. 칼훈 마틴 밴 뷰런
제9대 제10대 제11대 제12대
리처드 멘터 존슨 존 타일러 조지 M. 댈러스 밀러드 필모어
제13대 제14대 제15대 제16대
윌리엄 R. 킹 존 C. 브레킨리지 해니벌 햄린 앤드루 존슨
제17대 제18대 제19대 제20대
스카일러 콜팩스 헨리 윌슨 윌리엄 A. 휠러 체스터 A. 아서
제21대 제22대 제23대 제24대
토머스 A. 헨드릭스 리바이 P. 모턴 애들레이 E. 스티븐슨 개릿 A. 호바트
제25대 제26대 제27대 제28대
시어도어 루스벨트 찰스 W. 페어뱅크스 제임스 S. 셔먼 토머스 R. 마셜
제29대 제30대 제31대 제32대
캘빈 쿨리지 찰스 G. 도스 찰스 커티스 존 낸스 가너
제33대 제34대 제35대 제36대
헨리 A. 월리스 해리 S. 트루먼 앨번 W. 바클리 리처드 닉슨
제37대 제38대 제39대 제40대
린든 B. 존슨 휴버트 험프리 스피로 애그뉴 제럴드 포드
제41대 제42대 제43대 제44대
넬슨 록펠러 월터 먼데일 조지 H. W. 부시 댄 퀘일
제45대 제46대 제47대 제48대
앨 고어 딕 체니 조 바이든 마이크 펜스
제49대 제50대
카멀라 해리스 J. D. 밴스
}}}}}}}}}}}}

<colbgcolor=#ececec,#fff><colcolor=#0d1635>
미합중국 제15대 부통령
해니벌 햄린
Hannibal Hamlin
파일:Hannibal_Hamlin,_photo_portrait_seated,_c1860-65.jpg
출생 1809년 8월 27일
미국 매사추세츠 주[1] 파리
사망 1891년 7월 4일 (향년 81세)
미국 메인 주 뱅고어
재임기간 제15대 부통령
1861년 3월 4일 ~ 1865년 3월 4일
서명 파일:해니벌 햄린 서명.svg
배우자 새라 에머리 (1833~1855)
엘렌 에머리 (1856~)[2]
자녀 6명
종교 유니테리언
정당

(~1856)


(1856~1891)
의원 선수 2 (하원)
5 (상원)

1. 개요2. 선거 이력

[clearfix]

1. 개요

미국의 제15대 부통령이다. 민주당 소속으로 메인 주의 주 하원의원, 연방 하원의원, 연방 상원의원, 주지사[3]를 역임했으며 노예제에 반대하여 1856년에 공화당이 창당되자 이적했다. 1860년 대선에서 에이브러햄 링컨의 러닝메이트로 지명되어 미국 부통령에 선출되었다.

햄린의 지명은 특히나 링컨이 공화당의 통합된 지지를 얻는데 크게 작용했는데 중서부 일리노이 출신이었던 링컨이 대선에서 북동부 지역인 매사추세츠, 메인 등에서 이탈표 없이 안정적으로 선거인단을 확보해 승리할 수 있었던 배경에 메인 주지사까지 지낸 햄린의 공이 있었기 때문.

다만 행정부에서의 역할이 크진 않았는데, 본인이 부통령이라는 역할보다는 겸임하는 상원의장이라는 역할에 좀 더 충실했기 때문이다. 실제로 노예 해방 선언이나 흑인들의 무장을 강력하게 촉구했지만 본인이 여기 직접 영향력을 발휘하진 못했다.

사실 조지프 후커를 포토맥군 사령관으로 임명하도록 압박을 넣었다가 후커가 어처구니 없는 실책을 한 탓에 챈슬러스빌 전투에서 로버트 E. 리가 이끄는 북버지니아군에게 대패하는 참사가 일어나기도 했던 점을 생각하면 전시 부통령으로서는 어울리지 않는 부분도 있던듯 하다.

1864년 대선에서는 링컨이 분열된 국가를 통합한다는 의미로 남부 출신임에도 연방에 잔류했던 민주당원인 앤드루 존슨을 러닝메이트로 지명하면서 재선 도전엔 나서지 못했다.

남북전쟁 전후에는 공화당 급진파의 일원으로 활동하였으며, 1869년에 상원의원으로 복귀하여 1881년까지 재임했다. 1881~1882년 동안 주스페인 공사를 역임한 후 공직에서 은퇴했고 1891년 독립기념일(7월 4일)에 사망했다.

2. 선거 이력

연도 선거 종류 선거구 소속 정당 득표수 (득표율, 필요시 선거인단) 당선 여부 비고
1840 미국 연방하원의원 선거 메인주 제8구

7,115 (47.50%) 낙선 (2위)
1841 미국 연방상원의원 선거 메인 1 (0.50%) 낙선 (3위)
1843 미국 연방하원의원 선거 메인주 제8구 4,638 (54.61%) 당선 (1위) 초선
1844 미국 연방하원의원 선거 6,874 (52.55%) 재선
1848 미국 연방상원의원 보궐선거 메인 92 (67.15%) 초선
1851 미국 연방상원의원 선거 단독후보 무투표 재선[4]
1856 미국 주지사 선거

69,574 (58.07%) 당선 (1위) 초선[5]
1857 미국 연방상원의원 선거 단독후보 무투표 3선[6]
1860 미국 부통령 선거[A] 미합중국 1,866,452 (39.88%, 180명) 당선 (1위) 초선
1869 미국 연방상원의원 선거 메인 146 (80.66%) 4선
1875 미국 연방상원의원 선거 단독후보 무투표 5선


[1] 현재 메인 주.[2] 전처의 이복누이.[3] 상원에 복귀하기 위해 한달여만에 사임했다.[4] 1857.1.7. 메인주지사 취임을 위해 사직[5] 1857.2.26. 미국 상원의원 선거 출마를 위해 사직[6] 1861.1.17. 미국 부통령 되기 위해 사직[A] 대통령 후보는 에이브러햄 링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