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대륙권 은어에 대한 내용은 Homie 문서 참고하십시오.
🚜 농기구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letter-spacing: -1px; margin:-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 <colbgcolor=#906344><colcolor=#fff> 전통 농기구 | 가래 · 갈퀴 · 곡괭이 · 곰방메 · 괭이 · 극젱이 · 나대 · 나래 · 낫(조선낫) · 넉가래 · 달구지 · 도리깨 · 따비 · 마체테 · 맷돌 · 멍석 · 멍에 · 모종삽 · 물추리막대 · 방아 · 번지 · 삼태기 · 삽 · 쇠스랑 · 써레 · 용골차 · 용두레 · 쟁기 · 지게 · 키 · 호미 · 흙싸개 |
농기계 | 경운기 · 농기계 작업기(로터리 · 베일러 · 집초기) · 스프링클러 · 예초기 · 이앙기 · 조면기 · 콤바인 · 탈곡기 · 트랙터 · 굴착기 · 지게차 | }}}}}}}}} |
[clearfix]
1. 개요
호미는 우리 민족의 전통 농기구로, 주로 논밭을 매는 데 쓰이며, 말뿌리(어원)는 오목하고 길다랗게 패어내는'홈'을 판다고 하여 '홈+이' 이렇게 '호미'가 된 것이다.2. 형태와 용도
주용도나 자연조건(지역토질 등) 등에 따라 약간씩 다른 형태로 나뉜다.- 보습형 논호미: 쟁기의 보습처럼 날끝이 뾰족하고 위는 넓적하다. 자루에 흙이 묻으면 미끄러워 짚이나 베헝겊을 둘러서 쓴다. 경기도, 충청도, 전라도 등지의 평야에서 쓰인다.
- 낫형 밭호미: 낫처럼 날의 길이가 너비보다 길다. 자갈밭이 많은 경상도, 전라도의 산간이나 섬에서 쓰인다.
- 세모형 북부호미: 긴 세모 모양으로 양변에 비해 바닥의 길이가 길다. 한국 호미 중 날과 자루 모두 가장 길다. 보리밭, 옥수수밭, 밀밭 등 밭이랑이 넓은 곳에서 쓰인다. 폭이 좁고 길이가 길어서 흙을 퍼내는 힘은 모자라서 논에는 맞지 않다. 북부 지방에서 주로 쓰인다.
지역에 따라 다르지만 대체로 나무 손잡이에 완만한 곡선으로 꺾어지는 목이 이어지고, 목의 끝에 비대칭 삼각형 삽날이 달린 형태를 따른다. 한반도의 북부 지역은 토양이 척박하여 잡초의 뿌리가 깊게 박히지 않아 무겁고 날이 평평한 호미가 쓰였지만(맨 오른쪽 참조) 일반적으로 농어촌에서 쓰는 호미는 중부 이남 지방에서 쓰는 날렵하고 날카로운 종류가 대부분이다.
제주도에서는 일반적인 형태의 호미가 아닌 날 부분이 아주 가늘게 생긴 ᄀᆞᆯ갱이라고 부르는 도구를 쓴다. 아래아가 입력이 안 되는 경우가 많아 그나마 비슷한 발음인 '골갱이' 라고 표기하는 경우가 흔하다.
용도는 매우 다양하게 잡초 뽑기부터 시작해서 씨앗 심기, 옮겨 심기[1], 북돋기, 흙 파서 뒤집기, 흙덩이 쪼개기, 호미목에 걸어서 당기기 등 어지간한 농사일을 다 감당할 수 있다.
날카로운 호미는 하고자 한다면 사람도 죽일 수 있다. 농경시대를 살아오신 주변 노인이 있다면 호미로 사람이 다친 일이 있냐고 여쭤보자. 수많은 증언들이 쏟아질 것이다. 심지어는 아마존닷컴 리뷰에도 "대장간에서 갓 나온 듯 실제로 보면 훨씬 굵고 튼튼하며 환상적으로 쉽게 화단 정리를 할 수 있고, 무엇보다 좀비가 덤비면 후려쳐서 목도 딸 수 있을 것 같다."는 찰진 평도 있다. 힘을 쓰는 방향이 다를 뿐 호미는 단검 수준의 무기가 될 수도 있다. 그래서 호미는 괭이, 낫, 쇠스랑, 도끼 등과 함께 민란, 농민봉기 묘사에 빠지지 않는 단골손님. 당연히 평생 매일같이 써온 농민들의 손에 자주 들린다.
발굴용 도구로도 쓰인다. 날이 평평한 호미를 발굴현장의 지층(문화층)의 흙을 깎고 정리하는 데 사용한다.
3. 역사
집약농법, 그러니까 조그마한 땅에서 집중적으로 농경을 펼쳐 생산량을 늘리게 된 때에, 땅을 조금씩 파고 덮고, 모양도 잡고, 제초작업도 할 수 있게끔 말 그대로 정원 손질을 하듯이 농사를 지어야 하게 돼서 등장하게 된 농기구다. 토지의 지력이 그리 좋지 않아 넓은 땅에서 경작을 해야 할 때는 사용되지 않다가, 나중에 토지의 지력 또는 생산력이 향상됨에 따라 쓰임새가 급격히 증가하였다.한민족 금속공학의 정수라고 불릴 만한 농사 도구로, 경험에 의해 오로지 인체공학적으로 최적화하여 만든 나머지 구조공학적으로는 최악의 디자인이다. 힘이 가해지는 방향이 비스듬한데다 날이 비대칭이고, 연결부가 가늘고 직각으로 휘었기 때문에 겉보기만으로는 튼튼함을 기대할 수가 없다. 한국 말고 다른 나라에 호미 같은 농기구가 없는 이유이기도 하다. 하지만 누군가는 현실적 필요 때문에 불굴의 기술집약 노가다로 그러한 구조적 약점을 씹고 어거지로 튼튼하게 만들어낸 것이 호미다.
호미의 조상으로 볼 수 있는 농기구 유물은 서울 구의동 유적이나 창녕 교동 3호분 등지에서 보이지만 이때는 보습의 파생형에 가깝다. 남북국시대 안압지 유물에서 본격적으로 낫 형태를 보이기 시작하지만, 오늘날과 같이 삼각형 형태를 딴 호미 유물이 실제로 출토되는 것은 빨라도 고려 시대 이후부터다. 중국 강남지역의 농사법이 많이 도입되었던 시기인데, 강남은 물론 중국의 다른 지역에서도 호미 유물이 출토된 적은 없다. 이 무렵에 중국의 농기구를 수입하면서 같이 들여왔는지, 아니면 독자적으로 만들었는지는 농학자마다 의견이 분분하다. 이처럼 호미의 정확한 유래는 알 수 없으나, 시대가 흐르고 나서는 중국과 일본에는 없고 한국에만 있는 고유의 농기구가 되었다. 고려시대부터 호미의 모습이 보이니 호미의 역사는 꽤 깊다.
다만, 일본에서 한손으로 쓰는 김메기(제초)용 농기구 중에 한 손으로 쓰는(片手) 쿠사케즈리(くさけずり 草削り)라는 것이 있어서 한국의 호미와 그 생김새와 쓰임이 거의 동일한 것이 있다.일본 농기구회사 쇼핑몰 차이가 있다면 한국 호미쪽이 자루가 더 짧고, 철물부가 더 길고 굴곡지게 설계되어있다.
4. 해외
의외로 외국에서는 개인 정원, 혹은 텃밭을 가꾸는 사람들에게 많이 팔리는 한류 열풍의 농기구이기도 하다. 2019년에 이런 사실이 뒤늦게 언론에 보도되면서 작은 화제가 되었다.(# # 올리버쌤 리뷰). 그 이유는 간단한데, 한국 말고 다른 국가에는 호미 같은 소형 다목적 농기구가 없었기 때문이다.
이는 국뽕에 의한 자화자찬이 결코 아니다. 유튜브나 구글에서 'Homi' 내지는 'Easy Digger' 등으로 검색해 보면 영어권 사람들이 호미를 정원 취미자의 필수도구라고 선전하는 영상과 포스팅이 흔하게 나온다. 영상의 연도를 봐도 굉장히 오래된 것부터 최근 것까지 매우 다양하다. 특히 두툼한 쇳날의 거친 맛에 뒤뜰을 가꾸는 미국인들이 좋아한다고 한다. 명칭도 로마자로 homi, ho-mi라고 표기하고 발음도 '호미'라고 한다. 아무래도 받침도 없고 이중모음도 없는 단어라, 서구권 사람들에게 생소한 한국어라도 발음하기 쉬운 것이 이유인 듯. 'Easy Digger'는 호미가 삼각날 덕에 특히 좁고 깊은 구덩이를 쉽게 파기에 매우 유용해서 붙은 이름이다. 사실, 호미는 모종삽보다 휘두르는 힘이 덜 들어서 땅을 파기에도 좋다.
호미가 한국 말고는 제대로 구할 곳이 없다 보니 이런 나라들에서는 전량 수입을 해야 해서 아마존 등지에서 한국보다 훨씬 비싼 가격에 판매된다. 미국이나 다른 나라에서 만들기엔 노하우도 전무하고, 오리지널 생산국인 한국에서는 소규모 대장간에서 수제로 생산하여 동네 철물점 같은 곳에서나 팔기 때문이다.
그래서 품질이 좋은 호미도 한국에서는 비싸봐야 만 원이면 살 수 있는 반면에, 외국에서는 프리미엄에 배송비까지 붙어서 하나에 30달러(대략 3만 원)가 넘게도 파는 것이다. 중국산은 가격이 싸지만, 금방 망가지기 때문에 한국산이 인기라고 한다. 한국에서 수요가 낮아져 먹고 살기 힘들었던 대장간들이 "해외수출로 좀 살 만해졌다" 같은 말까지 나올 정도다. 세계시장 주름잡는 한국산 호미 영상 참조. 허영만의 만화 식객에서 실제로 대장간에서 있었던 일을 취재한 이야기가 있는데, 한국말을 좀 하는 외국 백인 여성이 대장간에 파는 호미를 사갈 때 2000년대 중반 값으로 만 원 정도 달라고 하자 놀라면서 "이렇게 좋은 게 왜 이리 싸요!" 라면서 오히려 두 배인 2만 원을 흔쾌히 내어줬다고 한다.
2020년에는 아마존에서 유명해진 호미를 생산한 대장간에서 캐나다와 영국 수출, 미국 코스트코와 계약을 맺었다고 한다.# 사실 대장간에서 수제 호미를 만드는 사람들은 얼마 전까지 그야말로 죽을 맛이었다. 이유인즉슨 사람들이 농어촌을 떠나 도시로 이동하는 이촌향도 현상 때문에 시간이 갈수록 구매해줄 사람이 없었기 때문이다. 그런데 이런 상황에 외국에서 호미 붐이 벌어지는 덕분에 수요가 급격히 늘어 영세 수공업자들이 한숨 트게 되었다는 일화도 존재한다.
이쯤 되면 자연스럽게 대량의 값싼 중국산 짝퉁이 널리 퍼질만도 하지만 호미는 다른 제품에 비해 그 수가 많지 않다. 이유는 원조 한국산의 품질이 워낙 뛰어나서다. 물론 한국에서는 중국산을 싼 맛에 쓰는 경우도 있지만, 이렇게 해외수출까지 하는 호미는 금방 망가지고 질적으로도 차이가 너무 나서 충분히 메리트가 있다. 땅에 여러 번 파는 행위를 반복하는 농기구 특성상 내구도가 약하면 금방 망가져버려서 좋은 것과 아닌 것의 차이가 많이 난다. 중국산 호미를 써본 사람은 알겠지만, 원래 중국인들은 호미를 별로 필요로 하지 않아 제대로 만들 줄을 모르기 때문에 거푸집을 이용한 주조 형태로 대량생산을 하게 되는데, 이럴 경우 쇠를 두들기고 눌러서 만드는 단조 방식으로 제작하는 국산 호미에 비해 중국산은 강도가 떨어져 목이 쉽게 부러지는 등 문제가 많다. 게다가 중국산은 싼 맛에 만든답시고 싸구려 철(흔히 말하는 똥철)을 사용해서 더 품질이 조악한데, 한국 대장간은 적어도 고철일지언정 차량에 들어가는 판 스프링 폐기부품 같은 걸 단조해서 만들기 때문어 기본적으로 굉장히 튼튼하다.
EBS 극한직업에 나온 장인의 말에 의하면 "국산 호미를 하나 쓸 때 외국산은 서너 개를 쓴다" 라고 한다. 품질 차이가 압도적이라 해외에서는 20~30달러를 주고서라도 써도 평생 쓸 수 있을 만큼 남는 장사인 것이다.
아직도 호미 대다수는 한국에서 대장간에서 가내 수공업으로 만든다. 이것이 짝퉁이나 저질스러운 호미의 수가 많지 않은 근본적인 이유다. 지역마다 만드는 사람마다 기술의 노하우와 제조법이 다른데, 심지어 같은 사람이 만들어도 조금씩 질적인 차이가 있다 보니 제대로 된 기술이 없으면 이도저도 아니게 되어서 흉내도 못 내는 것이다. 물론 장인의 숙련도가 몇십 년 단위로 높으면 이런 차이점도 보기 힘들다. 이 때문에 대량의 중국산 호미가 외국 시장을 쉽게 점령할 수 없다.
구조 자체는 간단함에도 불구하고 손잡이에서 이어지는 미묘한 목의 곡선과 비대칭으로 이어지는 삽날을 형성할 기술력이 어느 정도 필요한데 비해 수요는 적으니 영세 대장간의 소규모 공급에 의존해야 한다. 재료로는 주로 상용차량 서스펜션에 쓰이는 6150 합금강 판스프링을 가열한 다음 공압해머와 망치로 무지막지하게 두들겨 모양을 잡고, 손잡이용 목재도 좋은 것으로 쓰고 불에 달군 호미 몸체를 관통시킨 뒤 튀어나온 끝부분을 망치로 구부리는 방식으로 달기에 무지하게 튼튼하다.
이렇게 한국산의 호미가 명성이 세계적으로 높아진 것을 인식했는지 2021년, 문재인 전 대통령의 오스트리아 국빈 방문 당시, 김정숙이 빈 대학교 식물원에 방문하여, 식물원에서 근무하는 연구원들의 이름을 각인한 호미를 선물로 증정했다고 한다.
재미있는 사실은, 호미 붐이 일어난 것이 어제 오늘만의 일이 아니라는 것이다. 일제강점기 때도 비슷한 사례가 있다. 일본의 농업연구원들이 낙후된 조선의 농업 기술을 개선하고 근대적 농기구들을 전파하겠다는 목적으로 조선으로 들어가 조선의 농기구들과 농촌 작업 현장을 확인한 일이 있었다. 이 농업연구원들은 호미나 조선낫 등 조선의 농기구들이 상당히 효율성이 높고 오히려 서양식 근대 농기구들이 조선의 농사 현장에서는 효율이 상당히 안 좋다는 사실을 확인하고는 놀라워했다고 한다. 이후 오히려 조선 농기구들을 참고해 농기구들을 개량하기도 했다고 전해지기도 한다.
물론 그렇다고 다른 나라가 한국보다 농업기술이 뒤떨어져서 호미 같은 도구를 발명하지 못했다고 해석하면 곤란하다. 애초에 논농사를 주로 짓는 아시아 문화권과 밭농사를 주로 짓는 서구권의 농기술이 같을 수 없다. 따라서 동아시아 특히 한반도의 기후와 토질과 주요 재배 작물들에는 이런 것이 필요했고, 필요에 따라 한반도 사람들이 발명한 것이다. 세계사를 보면 이렇게 필요에 따라 그 나라에서만 발달된 특유의 기술이 의외로 많다. 그래서 쟁기도 한나라 시절 중국에서 가장 먼저 만들어졌지만, 질적으로 개선된 형태로는 서양권에서 만들어져서 개량되었다.
4.1. 이유
다른 여러 국가들, 특히 미국이나 유럽은 농사를 지을 만한 농지가 광활하기에 농작물을 대량으로 재배하는 것이 발달했다. 한국이나 일본과는 비교가 안 될 정도로 농장의 규모가 커서 농약을 헬리콥터나 비행기로 뿌릴 지경이다. 이런 상황에서 굳이 소량생산재배를 할 이유가 없으므로 여기에 특화된 농기구가 발달할 틈이 없었다.반면에 한반도는 평지가 적고 산악지대가 많아 농지가 그리 넓지 않다. 대표적으로 한국에서는 전라도 지역이 '지평선이 보인다'고 한반도의 곡창지대라고 불리지만, 유럽이나 미국, 심지어 가까운 중국이나 일본에서도 지평선이 보임은 그다지 특이한 일이 아니다. 과장 좀 보태서 농사 좀 짓는다 하는 곳에서는 지평선 안 보이기가 더 힘들 정도. 그리고 호남 평야도 근현대부터 곡창지대가 되었지, 고대-중세에는 뻘밭에, 염해로 농사 짓기가 오히려 산과 산 사이 계곡보다 더 힘든 땅이었다. 전통적으로 한반도의 곡창지대는 호남이 아닌 서북지역의 황해도와 평안도 서부의 평야지대였다. 삼남지역에서는 충청도가 지금의 전라도 역할을 했었으며 전라도가 지금과 같은 곡창지대가 된 것은 고려시대 이후였다.
이렇다 보니 한반도에서는 산악지대의 좁은 토지도 최대한 활용해야 했다. 그렇다 보니 좁고 작은 밭에서 작업할 수 있는 도구가 필요한데, 이런 작업방식에는 필연적으로 인력이 많이 필요하다. 품앗이 같은 이웃사촌 문화가 발달했음도 농업 환경과 연관이 있다. 작업을 수월하게 하려면 사람이 많이 필요하므로 이웃끼리 서로 도와주어야 했다. 이런 상황에서 여자나 아이 등 근력이 약한 사람도 사용할 수 있도록 소량재배용 농기구가 발달하였다. 결국 작은 땅에서 농사짓는 데 적합하며 남녀노소 쓸 수 있는, 여러 가지 작업에 사용 가능한 조그마한 농기구가 자연스레 발달했다. 호미 외에 조선낫도 비슷한 경우다.
호미의 원래 목적에 맞춰 분석하자면, 사실 호미는 소량 생산에 알맞은 '농기구'가 아니라 잡초를 제거하는 제초용 도구이다.
한반도의 환경은 제초를 하지 않으면 수확량이 사실상 無가 될 수도 있기에 제초에 힘쓰느라 나온 도구가 호미다. 한반도의 여름은 동남아시아의 정글처럼 고온다습하고 비가 집중적으로 내리기 때문에 잡초가 매우 공격적으로 자라는 반면, 주로 외국에서 식용을 목적으로 도입된 작물은 한반도의 여름 장마에 몸살을 앓는다. 게다가 토양 자체도 척박하기 때문에 제초를 하지 않으면 작물이 잡초에게 잡아먹힌다. 유럽이나 미국의 곡창 지대와는 달리 한반도는 잡초와 작물이 공생하기가 힘들다. 중국이나 일본을 비롯한 여러 나라에도 이러한 제초용 도구가 없지야 않지만, 호미 이상의 다목적 제초 도구는 출현하지 않았다.
그러다가 시간이 지나 산업화가 이루어진 뒤, 한국에서는 농업기술이 발달하고 농사에 종사하는 인구 비율이 줄어들면서 호미나 낫의 사용률이 많이 줄어들었다. 한편 외국에서는 가드닝(gardening), 즉 자기 집이나 근처 마당에 텃밭을 꾸미는 취미가 퍼지면서 소량재배용 농기구의 수요가 생겼다. 문제는 위에 나왔듯이 세계의 많은 지역에서는 농업이 대량재배에 특화된 방향으로만 발달한 탓에 소량재배용 농기구가 발달하질 않았다는 점이다. 앞마당에 브로콜리를 심겠다고 트랙터를 쓸 수는 없는 노릇. 물론 정원 가꾸기용 도구가 있긴 하지만 대부분 원예용이라 농사짓기에 사용하기에는 좀 불편했다. 원예할 때 주로 쓰는 모종삽은 식물을 화분에 옮겨 심거나 적당히 땅을 파기는 쉽지만 밭고랑을 갈고 잡초를 제거하기는 힘들다. 한 번 모종삽으로 잡초를 뽑으려 해보면 금방 이해가 갈 것이다.
그런데 이 요구사항에 호미가 딱 맞아떨어진 것이다. 앞서 설명한 '작은 땅에서 농사 짓는 데 적합하고 남녀노소 누구나 쓸 수 있으며, 한 손에 잡히고, 여러 가지 작업에 사용 가능한 농기구'라는 모든 조건이 일치한다.
5. 매체에서
- 마비노기에서는 농기구로 낫과 함께 등장한다. 호미로는 감자와 조개, 꽃을 캘 수 있다. 가격은 320골드이며, 유저들도 블랙스미스 스킬이 F랭크여도 만들 수 있어서 스킬을 습득하자마자 제작 가능하다.# 호미가 국제적으로 알려지기 전에 나온 게임이다 보니 영문 명칭은 "Weeding Hoe"이다.
- 드라마 불멸의 이순신에서 해전 중 특정 병사가 호미로 일본군을 처치하는 장면이 나온다.
- 위의 드라마를 보고 모티브를 얻었는 것인지 아니면 조선낫의 무기화에 모티브를 얻었을 것인가로도 추정되는 국뽕 작가의 첫 데뷔작 9전단 1941에서 신생 대한민국 국군의 제식 장비로 갖추어 야전삽과 같은 활용인 참호 파기를 묘사하고 있다.
此岳尓 菜採須兒 家吉閑 名告紗根
(このをかに なつますこ いへきかな なのらさね)
虛見津 山跡乃國者 押奈戶手 吾許曾居
(そらみつ やまとのくには おしなべて われこそをれ)
師吉名倍手 吾己曾座 我許背齒告目 家呼毛名雄母
(しきなべて われこそませ われこそはのらめ いへをもなをも) ||이 언덕에서 / 나물 캐는 애 / 집안 말해요 / 이름 말해요
(소라미츠)[2] / 야마토란 나라는 / 모두 통틀어 / 내가 다스리네
모두 통틀어 / 내가 지배하네 / 짐이야말로 밝힐까[3] / 집안도 내 이름도 ||이연숙(2012), '한국어역 만엽집 1'. 원문의 글자수를 반영하여 번역하였다.||
일본 고전 시집 만요슈의 제1수는 호미와 바구니(こも)가 주된 시어이다. '호미'로 번역된 일본어 단어 ふくし(布久思, 夫君志)는 오늘날 자주 쓰이는 말은 아닌데, 호미와 유사하게 흙을 파는 데 쓰는 쓰던 도구였다고 한다. 위에서는 '호멩이'라는 방언형으로 번역되었는데, 이는 와카의 음수율을 맞추기 위해서 3음절 단어를 고른 것으로 보인다.
5.1. 캐릭터명
- 엘리먼트 헌터의 등장 인물 호미 난디
- 미루타이츠의 등장인물: 미루타이츠 2.3 문단 참고.
6. 인명
- Yng & Rich Records 소속 아티스트 호미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