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포항 hwapo Port | 花浦港 | |
<colcolor=#fff> 국가 | <colbgcolor=#fff,#1f2023> |
소재지 | 전라남도 순천시 별량면 학산리 805-1 |
개항(지정) | 1972년 3월 7일 |
관리 | 순천시장 |
1. 개요
화포항은 순천만바다쪽 전라남도 순천시 별량면 학산리에 위치한 어항이다. 1972년 3월 7일 지방어항으로 지정하여 관리하고 있다. 시설관리자는 순천시장이다.2. 연혁
마을 사람들은 마을 앞 바닷가에 진달래꽃이 만발한 것 같아 화포라 부르게 되었다고 하며, 뒷산이 소가 우는 형국이라 하여 '쇠우리', '쇠리'라고 했다고 한다. 화포는 바다쪽으로 튀어 나간 '곶등에 있는 개' 즉 '곶등 갯마을'이란 듯을 가지고 있다.3. 어항 구역
본 항의 어항구역은 다음과 같다.수역: 별량면 학산리 화포꽃등 끝 기점에서 동측으로 100m, 동기점에서 남방향으로 200m, 동지점 서방으로 200m 지점에서 육상 150m 선내 구역(20,800m2)
- 어항 시설: 물량장 125m, 방파제 111m
- 기본 계획: 물량장 160m, 방파제 410m
- 정비 계획: 물량장 160m, 방파제 410m
- 주요 어종: 문절망둥어, 숭어, 짱뚱어, 낙지, 게
4. 현황
순천 관내에서 가장 큰 어항이고 2018년말, 어촌뉴딜 300 사업에 선정되어 순천만 해양관광 블루벨트 조성으로 지역균형발전, 해양인프라 현대화, 어업인 소득창출등 다양한 효과를 가져올 것으로 기대했다. 도로교통으로는 순천시내에서 화포항으로 오가는 직진도로가 없어 2번 국도 별량면 상림사거리를 거쳐 우명항을 통과해야 도착할수 있어 너무나 불편하다.
이곳은 유네스코 생물권보전지역으로 건너 와온해변에서 시작하는 남도 삼백 리 길 가운데 2번째 코스이자 남파랑 일부이기도 하고 예로부터 꼬막과 낙지, 짱뚱어 등의 중요한 어족자원들이 풍부한 어촌마을이다. 뻘이 깨끗한 이곳에서 잡히는 낙지는 대표적인 세발낙지로 명성이 자자하다. 또한, 이곳은 순천만으로 날아드는 철새는 황새, 흑두루미, 저어새, 검은머리갈매기 등 70여 종에 달해 생태 박물관으로 손꼽히는 곳이기도 하다. 화포마을 뒤편의 봉화산(235.9m)은 일출과 일몰을 동시에 감상할 수 있으며, 순천만의 경관이 한눈에 보이는 정상에는 고흥 마복산에서 타오른 봉화를 순천에 전하던 봉화터가 아직 그대로 남아있다. 바다 너머로 보이는 동쪽 땅은 여수반도, 서쪽은 고흥반도이다. 주변에는 창산항, 우명항, 와온항등이 인접되어 있다.
5. 둘러보기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tablewidth=100%><tablebgcolor=#ffffff,#191919><colbgcolor=#443F4D><colcolor=#ffffff> 철도 | 무궁화호 S-train | 전라선 | 순천역, 구례구역 |
경전선 | 순천역 | |||
도로 | 고속도로 | | ||
국도 | 2번 · 15번 · 17번 · 18번 · 22번 · 27번 | |||
지방도 | 22번 · 58번 · 840번 · 857번 · 863번 | |||
버스 | 시내버스 | 순천시 시내버스 | ||
광양 990, 991 · 여수 330 | ||||
시외 ㆍ 고속버스 | 순천종합버스터미널, 곡천정류장, 주암공용버스터미널, 송광사공용버스터미널 | |||
시외 ㆍ 고속버스 노선 | ||||
전라남도의 교통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