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10-06 04:05:03

환생했는데 제7왕자라 내맘대로 마술을 연마합니다(애니메이션 2기)


파일:환생 7왕자 한국 애니 로고.png

등장인물 발매 현황 코믹스 애니메이션 (1기 2기)
환생했는데 제7왕자라 내맘대로 {{{#!wiki style="text-shadow: 0 0 5px #ec3343, 0 0 5px #ec3343, 0 0 5px #ec3343, 0 0 5px #ec3343, 0 0 5px #ec3343; color: #fffea2; display: inline-block"
<nopad> 파일:환생했는데 제7왕자라 내맘대로 마술을 연마합니다 2기 키 비주얼(한국어).jpg
{{{#fffea2,#fffea2 {{{#!wiki style="margin: 0px -11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작품 정보 ▼
{{{#!wiki style="margin: -5px 0px -11px"
<colbgcolor=#ec3343,#cd1323><colcolor=#fffea2,#fffea2> 장르 환생, 판타지, 하렘
원작 켄쿄나 서클
캐릭터 원안 메루。(メル。)
코미컬라이즈 코쿠자와 요스케(石沢庸介)
감독 타마무라 진(玉村 仁)
시리즈 구성 토즈카 나오키(戸塚直樹)
각본
미술 관리
캐릭터 디자인 니시고리 시게루(錦織 成)
총 작화감독
액션 감독 아베 유이치(アベユーイチ)
색채 설계 오노 마이(小野真依)
촬영 감독 야노 유기(矢野雄木)
편집
음향 감독 타나카 료(田中 亮)
음향 제작 Ai Addiction
음악 R・O・N
음악 제작 란티스
기획 나카요시 하루히토(仲吉治人)
타카시마 유이치로(高島祐一郎)
스에히라 아사(末平アサ)
이토 타카유키(伊藤隆行)
쿠로다 마나부(黒田 学)
마에다 마모리(前田 衛)
이그제큐티브 프로듀서 키쿠가와 히로유키(菊川裕之)
후루카와 신(古川 慎)
이이지마 에미코(飯島江美子)
마츠다 슌스케(松田準典)
이토 나오코(伊藤直子)
치프 프로듀서 아베 켄고(阿部研吾)
아키타 노리유키(秋田規行)
쿠로스 노부히코(黒須信彦)
시게마츠 단(重松 暖)
프로듀서 오다 마코토(小田 誠)
와카바야시 히로카즈(若林寛和)
야마카와 노리오(山川典夫)
츠치하시 진(土橋 陣)
야마자키 치에코(山﨑智恵子)
애니메이션 프로듀서 사쿠라이 츠카사(櫻井 司)
애니메이션 제작 츠무기 아키타 아니메 랩
(つむぎ秋田アニメLab)
제작 제7왕자 제작위원회
방영 기간 파일:일본 국기.svg 2025. 07. 10. ~ 2025. 09. 25.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25. 07. 29. ~ 방영중
방송국 파일:일본 국기.svg 테레비 도쿄 / (목) 00:00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애니박스[1] / (화) 01:00
스트리밍
[[Laftel|
LAFTEL
]]
#!if 링크 != null
[[https://laftel.net/item/|▶]]
#!if 주석 != null
^^^^
#!if 링크1 != null
[[https://laftel.net/item/42938|▶]]
#!if 주석1 != null
^^일반^^
#!if 링크2 != null
, [[https://laftel.net/item/|▶]]
#!if 주석2 != null
^^무삭제^^
편당 러닝타임 24분
화수 12화
시청 등급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파일:15세 이상 시청가 아이콘.svg 15세 이상 시청가 (주제, 폭력성, 선정성)
관련 사이트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
파일:X Corp 아이콘(블랙).svg
}}}}}}}}}}}} ||

1. 개요2. 공개 정보
2.1. PV2.2. 키 비주얼
3. 줄거리4. 등장인물 및 주요 성우진5. 설정6. 주제가
6.1. OP6.2. ED
7. 회차 목록8. 해외 공개
8.1. 대한민국
9. 평가
9.1. 방영 전9.2. 방영 후
10. 기타

1. 개요

일본의 라이트 노벨 환생했는데 제7왕자라 내맘대로 마술을 연마합니다를 원작으로 하는 TV 애니메이션 시리즈 중 제2기. 감독은 타마무라 진, 방영 시기는 2025년 7월.

2. 공개 정보

  • 2024년 6월 18일, 1기의 최종화 방영 직후 2기의 제작이 결정되었다. #
    • 종영 직후 스핀오프 코믹스인 현대 전이의 제2왕자의 작가 아마미야 케이리가 2기 축전 일러스트를 공개하였다. #
  • 2025년 2월 1일, 만화 외전 에피소드에서 코믹스 18권 판촉과 함께 티저 비주얼이 공개되었다.#
  • 2025년 5월 3일, 만화 외전 에피소드에서 코믹스 19권 판촉과 함께 키 비주얼이 공개되었다.#

2.1. PV

<rowcolor=#fffea2,#fffea2> 티저 PV
<rowcolor=#fffea2,#fffea2> 본 PV

===# CM #===
<rowcolor=#fffea2,#fffea2> 선전 CM

2.2. 키 비주얼

파일:환생했는데 제7왕자라 내맘대로 마술을 연마합니다 2기 티저 비주얼.jpg 파일:환생했는데 제7왕자라 내맘대로 마술을 연마합니다 2기 키 비주얼.jpg
티저 비주얼 키 비주얼

3. 줄거리


로드스트령에서 벌어진 마족 기자룸과의
싸움에서 훌륭하게 승리한 로이드 일행.

마술에 대한 탐구심을 참지 못하는
로이드가 다음으로 눈독을 들인 것은 바로 '신성마술'.

신성마술을 배우기 위해 동료들과 함께 교회를 찾는데…?

화제의 이세계 마술 배틀 판타지 애니메이션이,
드디어 새로운 장 "교회편"에 돌입한다!

애니박스

4. 등장인물 및 주요 성우진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환생했는데 제7왕자라 내맘대로 마술을 연마합니다/등장인물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환생했는데 제7왕자라 내맘대로 마술을 연마합니다/등장인물#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환생했는데 제7왕자라 내맘대로 마술을 연마합니다/등장인물#|]]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rowcolor=#fffea2,#fffea2> 캐릭터 성우
로이드 디 살룸 코이치 마코토
그리모 파이루즈 아이
지리엘 모리쿠보 쇼타로
실파 랑그리스 Lynn
타오 유이파 세키네 아키라
타카하시 리에
알베르트 디 살룸 호리에 슌
흰둥이(시로) 마츠이 에리코
이샤 이와미 마나카
사리아 디 살룸 츠다 미나미
기탄 미야모토 미츠루

5. 설정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환생했는데 제7왕자라 내맘대로 마술을 연마합니다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환생했는데 제7왕자라 내맘대로 마술을 연마합니다#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환생했는데 제7왕자라 내맘대로 마술을 연마합니다#설정|설정]]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6. 주제가

6.1. OP

OP
CALLING†
TV ver.
MV ver.
Full ver.
<colbgcolor=#ec3343,#cd1323><colcolor=#fffea2,#fffea2> 노래 히구치 카에데
작사 안도 사사(安藤紗々)
작곡 미츠마스 하지메(光増ハジメ) (First Call)
편곡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주제가 애니메이션 정보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ec3343,#cd1323><colcolor=#fffea2,#fffea2> 콘티 스즈키 유마(鈴木勇真)
연출
}}}}}}}}} ||

6.2. ED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Meteor(미사키 나코)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Meteor(미사키 나코)#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Meteor(미사키 나코)#|]]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ED
Meteor
TV ver.
MV ver.
Full ver.
<colbgcolor=#ec3343,#cd1323><colcolor=#fffea2,#fffea2> 노래 미사키 나코[2]
작사 키스케(喜介)
작곡 BOUNCEBACK (Blue Bird's Nest)
편곡 쿠라우치 타츠야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주제가 애니메이션 정보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ec3343,#cd1323><colcolor=#fffea2,#fffea2> 콘티 스마 키도리(すまきどり)
연출
원화
촬영
편집
}}}}}}}}} ||

7. 회차 목록

  • 전화 각본: 토즈카 나오키(戸塚直樹)
<rowcolor=#fffea2,#fffea2> 회차 제목[3] 콘티 연출 작화감독 방영일
제13화[4] 入信します!
입교하겠습니다!
타마무라 진
(玉村 仁)
아베 유이치[A]
(アベユーイチ)
니시고리 시게루
(錦織 成)
日: 2025.07.10.
韓: 2025.07.29.
제14화 ジリエルの御業
지리엘의 위업
日: 2025.07.17.
韓: 2025.08.05.
제15화 グール退治
구울 퇴치
日:2025.07.24.
韓: 2025.08.12.
제16화 シビル・ウォー
시빌 워
日:2025.07.31.
韓: 2025.08.19.
제17화 教会の秘密
교회의 비밀
日:2025.08.07.
韓: 2025.08.26.
제18화 イーシャの想い
이샤의 마음
니시고리 시게루
STUDIO MASSKET
日:2025.08.14.
韓: 2025.09.02.
제19화 大聖誕祭
대성탄제
日:2025.08.21.
韓: 2025.09.09.
제20화 襲来
습격
日: 2025.08.28.
韓: 2025.09.16.
제21화 月とトンカツ
달과 돈까스
日: 2025.09.04.
韓: 2025.09.23.
제22화 黒竜
흑룡
日: 2025.09.11.
韓: 2025.09.30.
제23화 天上決戦
천상결전
타마무라 진
아베 유이치
히가시노 테츠오
(東野鉄男)
STUDIO MASSKET 日: 2025.09.18.
韓: 2025.10.07.
제24화 光の中で
빛 속에서
타마무라 진
아베 유이치[A]
니시고리 시게루
STUDIO MASSKET
日: 2025.09.25.
韓: 2025.

8. 해외 공개

8.1. 대한민국

1기와 마찬가지로 KT스튜디오지니에서 수입하여 애니박스위탁 방영 으로 7월 29일부터 매주 화요일 오전 1시에 자막으로 방영된다.

9. 평가

9.1. 방영 전

전작인 1기가 연출력 및 적절한 3D 렌더링을 활용해 준수한 퀼리티를 낸 데다, 코믹스가 본격적인 인지도를 얻게 된 게 바로 이번 2기에서 다룰 예정인 대성탄제 편인 만큼 1기 수준으로 제작만 한다면 무난하게 상위권 흥행을 낼 것이란 전망이다.

우려되는 점으로 대성탄제 편에서 가장 많이 다루게 될 음악 관련 요소가 꼽히는데 예측이 어려운 부분이라 두고 봐야 한다는 의견이 다수.

선행 공개된 오프닝은 1기 못지않게 나왔으나, 코믹스 작가가 입원으로 인해 애니 방영 기간 동안 휴재를 하게 되면서 강제로 배수진이 쳐지고 말았다.

9.2. 방영 후

1기와 같은 제작진이 참여한 만큼 부분적으로는 높은 퀄리티를 보여주었지만, 전체적으로는 1기에 비해 부족하다는 것이 일반적이다. 대표적으로 14화의 지리엘전의 액션씬이 13화에서 선행공개로 기대치를 끌어올린 것에 비해 역동성이 부족했던 편이었다. 그리모가 확성기를 든 시점에서 사실상 개그신이 되었지만 다만 이에 대한 설명은 가능한데, 1기의 연출과 액션이 호평을 받은 이유 중 하나는 제작사 및 감독의 강점인 3D와 CG 연출이 로이드의 전투 스타일과 탁월한 궁합을 이루었기 때문이다.[7]

반면 2기는 로이드가 아닌 조연들의 육탄전이 주를 이루었기 때문에 이러한 제작진의 강점을 제대로 살리기 어려웠다고 볼 수 있다. 실제로 14화에서 칠변천이 처음 등장하는 씬은, 일반적인 작화로는 상당한 공력이 필요했을 장면을 3D로 구현하여 원본의 임팩트와 스케일을 완벽하게 재현해냈으나, 히로인즈 VS 시빌 워나 기탄 VS 바빌론 때에는 1기때만큼 퀄리티가 나왔지만, 칠변천 때와 비교한다면 조연 측의 파트인 만큼 상대적으로 아쉬울 수밖에 없다. 더욱이 다른 애니메이션이라면 감독이 자기가 약한 연출 파트는 그 부분에 강한 연출가를 따로 섭외해 콘티를 대신 그리게 하거나 해서 보완했을 텐데, 본작은 제작진행 없이 감독이 전체 화수의 콘티를 그리고 연출까지 크게 관여하는 제작 시스템이기 때문에 감독 본인의 연출적 한계를 극복하기가 어려웠을 것이다.

그럼에도 성당 내에서의 로이드 VS 기탄이나 타오 VS 샤크라, 실파 VS 아나스타샤 등 대성탄제 편 액션신이 준수하게 나왔기 때문에[8] 로이드와 기탄의 전투를 다룬 최종결전만큼은 높은 수준의 퀄리티가 나오기를 기대하였으나, 이전 회차와 비교해 큰 차이가 없거나 오히려 일부분은 퀄리티가 저하되었다. 이는 23화의 상당 부분이 기탄의 과거 회상으로 채워져 있었기 때문에 내려진 선택으로 보이지만, 시즌의 클라이맥스라 할 수 있는 최종전의 완성도가 기대에 미치지 못한 점은 분명 아쉬운 부분이다.

그래도 최종전의 나머지 절반 분량과 결착, 에필로그를 다룬 24화는 2기 전체를 통틀어 가장 높은 수준의 작화와 연출을 선보이면서, 이를 통해 유종의 미는 거두었다고 평가할 수 있다.

10. 기타

  • 1기 때와 마찬가지로 예고편이 제공된다.
    {{{#!folding 예고편 담당 캐릭터 [▼]
    君は魔術の深淵を目撃する

    그대는 마술의 심연을 목격한다
  • 14화: 지리엘
  • 15화: 사리아 디 살룸
  • 16화: 이샤
  • 17화: 시빌 워
  • 18화: 바빌론
  • 19화: 신부 허벌 Herbal(데인 교회 신부)
  • 20화: 기탄(교황 버전)
  • 21화: 낙화권의 샤크라
  • 22화: 아나스타샤
  • 23화: 그리타로
  • 24화: 기탄(수수께께 신부 버전)
}}}
[1] KT스튜디오지니 판권 위탁방영.[2] 라미 역[3] 한국어 번역 제목은 정식 방영사인 애니박스 방영판을 기준으로 한다.[4] 1기에서 화수를 이어 간다.[A] 액션[A] [7] 실제로 1기의 전투 장면은 대부분 로이드가 담당했는데, 로이드는 정지 상태에서 마술을 사용하는 경우가 많아 CG만으로도 전투 연출을 효과적으로 구현할 수 있었다. 또한 로이드와 기자룸의 전투 장면 역시 3D로 구현된 성을 중심에 배치하여, 최소한의 작화만으로도 역동적인 구도를 연출할 수 있었다.[8] 이 부분은 코믹스 연재 당시인 2021년 연말에 차세대 만화대상에서 8위에 들었다고 만화가가 정줄놓고 풀컬러 전력전개를 가하던 시기에 나온 것이었다.(코믹스 75.5화 / 인형의 혼잣말 9화에서 밝혔다.) 즉, 못만들면 비난의 화살을 피하기 어려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