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1-18 13:11:14

흥왕사의 변


파일:고려 의장기 문양.svg 고려시대 실패한 내란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내란 주도 세력
왕규의 난 <colbgcolor=#ffffff,#670000> 왕규
김훈 최질의 난 김훈, 최질
이자의의 난 이자의
이자겸, 척준경 암살 미수 사건 인종, 지녹연, 안보린
이자겸의 난 이자겸
묘청의 난 묘청
이고의 난 이고
철주민란 철주 농민들
창주민란 창주 농민들
성주민란 성주 농민들
김보당의 난 김보당
제1차 개경승도의 난 개경 승도들
조위총의 난 조위총
석령사의 난 석령사
망이 망소이의 난 망이, 망소이
손청의 난 손청
김순부·김숭의 난 김순부, 김숭
관성현·부성현 농민반란 관성현, 부성현 농민들
관노비의 난 죽동
조원정의 난 조원정
동경민란 이의민
김사미 효심의 난 김사미, 효심
만적의 난 만적
명주 민란 명주 농민들
김준거·김준광의 난 김준거, 김준광
금초의 난 금초
진주민란 진주 노비들
금주 잡족의 난 잡족인들
밀성 관노들의 난 밀성 관노비들
이비 패좌의 난 이비, 패좌
경주 별초군의 난 경주지방 야별초군들
신라부흥모의 동경 사람들
수창궁 사변 희종
최광수의 난 최광수
제2차 개경승도의 난 개경 승도들
이장대의 난 이장대
한순·다지의 난 한순, 다지
충주 노군의 난 충주 노군들
이통의 난 이통
필현보의 난 필현보, 홍복원
이연년 형제의 난 이연년
안열의 난 안열
애도·갈도 민란 애도, 갈도 백성들
원진의 난 원진
최탄의 난 최탄
삼별초의 난 삼별초
강윤명의 난 강윤명
숭겸의 난 숭겸
사용과 김성의 난 사용, 김성
서울 관악산 농민 봉기 서울 관악산 농민들
조일신의 난 조일신
정세운 암살 사건 김용, 안우, 이방실
흥왕사의 변 김용, 기황후
합주 사노들의 난 합주 사노들
김저의 난 김저
참고: 고려시대의 정변 }}}}}}}}}

1. 개요2. 내용3. 흥왕사의 변 공신 명단4. 친위쿠데타 설5. 대중매체에서6. 같이보기

고려사》 <세가> 권제40 공민왕 12년 윤3월 김용이 일으킨 흥왕사의 변란을 진압하다

1363년 윤3월 1일(음) 신미(辛未) ,
1363년 4월 15일(양)
김용이 일으킨 흥왕사의 변란을 진압하다
閏月 辛未朔 夜五鼓, 金鏞密遣其黨五十餘人, 犯行宮, 宿衛皆奔竄, 殺宦者安都赤及僉議評理王梓, 判典校寺事金漢龍, 又殺右政丞洪彦博于其第, 密直使崔瑩, 副使禹磾, 知都僉議安遇慶, 上護軍金長壽等, 自京城, 帥兵詣行宮, 擊賊平之, 長壽死之. 亂定, 王入御康得龍家, 令百官, 宿衛徼巡. 命李仁復·丁贊·禹磾·洪善福, 鞫賊于巡軍.
고려사》권131. <열전> 권제44. 김용이 흥왕사행궁에서 을 시해하려 하다
賊金守·曹連等五十餘人, 夜至行宮興王寺, 斬門者直入. 相呼爲宰臣, 稱帝旨, 殺侍衛漢龍及僉議評理王梓, 文睿府左司尹金台權, 宦者姜元吉, 衛士七八人,> 徑至寢殿. 宦者李剛達, 負王匿太后密室, 賊入寢殿. 宦者安都赤貌類王, 代王臥於寢內, 賊認爲王, 殺之, 踴躍呼萬歲. 旣而知王尙在, 佯言於衆曰, “愼勿驚>動乘輿.” 以其黨四十餘人, 監宮內諸務, 促膳夫進膳, 欲王不疑而出也. 賊分遣其黨入城, 殺留都宰相, 會諸相以祝釐在妙蓮寺聞變, 將如巡軍, 集兵討賊. 賊>先騎已至妙蓮洞口, 政丞柳濯等駷馬, 由閒道, 至巡軍. 鏞獨不赴妙蓮, 先至巡軍集衆, 陽言討賊, 謂諸相曰, “諸公領此兵, 先詣行在, 予亦收散卒繼進.” 濯揣>鏞有異志, 留以觀變. 鏞與其門客巡軍提控華之元相目, 凡賊被執來者, 不訊輒殺以滅口. 亂定, 以討賊, 爲鏞功策爲一等.

1. 개요

고려 후기의 군사반란.

1363년(공민왕 12년)김용개경 인근 사찰인 흥왕사를 침범하여 공민왕을 시해하려고 한 사건이다.

2. 내용

흥왕사의 변이 일어나기 2년 전인 1361년(공민왕 10년) 홍건적의 준동으로 공민왕복주(現 안동시)로 피난을 갔다. 다행히 김용정세운, 최영 등의 활약으로 홍건적을 물리칠 수 있었고, 이후 공민왕은 폐허가 된 개경으로 돌아와 궁궐이 복구되기 전까지 잠시 흥왕사에 머무르게 되었다.

하지만 고려의 중앙군인 상호군을 이끌던 김용은 부원배 기철과 내통한 바가 있었던데다 함께 공을 세웠던 정세운을 시기했고, 이 탓에 1362년 왕의 조서를 위조하여 기어코 그를 암살했다. 심지어 실행범이었던 안우 등도 누명을 씌워 추가로 암살하기까지 했다.

그런데 이런 사실들이 들통날 위기에 처하자, 김용은 야밤에 병사 50여 명을 이끌고 개경 인근 사찰인 흥왕사의 행궁(行宮)에 잠시 머무르고 있었던 공민왕을 시해하기 위해 몰래 침입했다. 하지만 이때 왕의 모습과 흡사했던 안도치공민왕으로 변장하여 대신 희생했다.
환관 이강달이 왕을 업고 창문을 통해 나가 도망가서 대비의 밀실에 이르러 담요를 뒤집어씌워 숨기고, 공주가 그 문 앞에 앉아 있었다. 도적들이 왕의 침전에 들어갔는데, 환관 안도치가 왕과 비슷하게 생겼기 때문에 스스로 왕을 대신하고자 하여 마침내 침대에 누워있었으므로 적이 그를 왕이라고 생각하고 죽이고는 날뛰면서 만세를 불렀다.
《고려사》 <공민왕 세가> 공민왕 12년 윤3월 1일
다행히 그 직후 최영이 군대를 이끌고 흥왕사 경내로 들어와 김용의 군대를 토벌하면서 반란은 평정되었다.

3. 흥왕사의 변 공신 명단

삼사우사(三司右使) 이성서(李成瑞), 지도첨의(知都僉議) 안우경(安遇慶), 밀직사(密直使) 최영(崔瑩), 밀직부사(密直副使) 우제(禹磾)·한휘(韓暉), 개성윤(開城尹) 양백익(梁伯益), 전리판서(典理判書) 오인택(吳仁澤), 판도판서(版圖判書) 김한진(金漢眞), 문예부사윤(文睿府司尹) 김서(金湑), 우부대언(右副代言) 유계조(柳繼祖), 상호군(上護軍) 양백연(楊伯淵)·김유(金庾), 판소부시사(判小府寺事) 김지서(金之瑞), 판전의시사(判典醫寺事) 이춘영(李春英), 사재령(司宰令) 이분(李芬), 호군(護軍) 이용길(李龍吉)을 일등공신으로 삼았다.

판도판서(版圖判書) 최용우(崔龍雨), 전공판서(典工判書) 이양(李陽), 대호군(大護軍) 권희(權禧)·이득림(李得霖), 전객령(典客令) 전보(全甫), 판도총랑(版圖摠郞) 문천기(文天起)·박양길(朴良吉), 친종호군(親從護軍) 이송(李松), 삼사부사(三司副使) 공테무르(孔帖木兒), 통례문부사(通禮門副使) 조신좌(趙臣佐), 호군(護軍) 최담(崔潭), 중랑장(中郞將) 김안수(金安壽),전 호군(護軍) 김사혁(金斯革)을 이등공신으로 삼았다.

4. 친위쿠데타 설

임용한이 자신의 저서 《전쟁과 역사 3-전란의 시대》에서 세운 가설로, 이 사건은 공민왕이 김용을 이용해 일으킨 친위 쿠데타로 보고 있으며 정세운, 안우, 김득배, 이방실 등 군부 실력자들[1]과 홍언박 같은 부담스러운 원로 대신들을 김용을 이용해 숙청하고 난 후 모든 책임을 김용에게 뒤집어 씌워 김용을 제거한 것으로 보인다고 주장한다. 모든 것이 공민왕의 음모였다는 설이다.[2]

훗날 신돈도 이렇게 공민왕에게 이용당해 악역을 맡은 후 그에게 버림받아 숙청당했으며 홍륜[3]최만생이 공민왕을 암살한 것도 공민왕이 신하를 악역으로 이용하고 나서 팽하는 짓에 당하기 전에 선수를 치자는 심정이었을 것으로 추측하는 견해이다.

다만 추측의 영역일 뿐이며 주장을 뒷받침할만한 사료가 딱히 없다는 것이 치명적인 맹점이다. 김용 사후 최측근 세력이 크게 사라진 공민왕의 권력 기반은 당시 공민왕 입장에서도 너무 부실한 게 뻔했으므로[4] 그 동기야 공민왕 탓이든 아니든 간에 흥왕사의 변만큼은 김용 본인이 일으킨 반란이었을 가능성이 높다고 보는 쪽이 더 많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75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75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5. 대중매체에서

KBS 대하드라마 《개국》에서 중요사건으로 묘사되었다. 해당 사건 이전에 김용의 어명 위조에 따른 안우 · 김득배 · 이방실에 의한 정세운 제거, 이후 이 세사람을 제거하는 김용의 주도면밀한 면모를 보여줬다. 공민왕을 시해하기 위한 김용의 치밀한 계획 과정이 나오고, 배신한 김용의 측근에 의해 최영의 진압군이 도착함으로써 반란은 실패한다.

MBC 사극 《신돈》에서 묘사된다. 작중에서는 정세운도 공민왕의 충신으로 묘사되고, 환관 안도치도 공민왕이 강릉대군으로 연경에 머물 때부터 모셨던 충복으로 묘사되는 만큼, 이 두 사람의 죽음으로 공민왕은 신돈 이외에 전적으로 믿을 만한 신하가 없게 되었다.

KBS 대하드라마 《정도전》에서는 공민왕이 잠시 언급한다. 이인임과 더불어 내시들마저 내쫓으라는 정도전에게, '과인이 흥왕사에서 김용에게 죽을 뻔 했을때, 과인의 옷을 입고 대신 죽은 자가 내시 안도적이고, 과인을 업고 뛰었던 자가 내시 이강달이다. 너희 유자라는 자들이 편당을 짓고 노닥거릴때, 목숨을 바쳐 과인을 구한게 하나같이 저 천한 내시들이다. 근데 그들을 없애라?' 라며 반문한다.

SBS 퓨전 사극 《육룡이 나르샤》에서는 흥왕사의 변 당시 길태미가 홀로 반란군에 맞서 70명을 몰살시킨 적이 있다는 식으로 잠깐 언급된다. 또한 작중 정도전역성혁명 사상을 결심하는 데 영향을 받은 사건으로 회상한다. 홍건적으로부터 개경을 탈환했던 정세운, 안우, 김득배, 이방실이 김용의 이간질에 의해 숙청당하고, 이 사건 속에서 자기가 살리기로 약속했던 아이들이 아사해버렸기 때문이다. 또한 총사령관 정세운을 포함한 나머지 3명의 장수를 숙청하는 것을 스승인 이색 또한 묵인했기 때문에 정도전은 개혁에 반대하는 이색을 적대하는 데 망설이지 않게 되었다.

6. 같이보기


[1] 정세운 암살사건에서 위조된 왕명을 이용해 그를 암살한 것이 김용의 의도인지 공민왕의 의도인지는 확실하지 않지만 김용은 여러 번 왕명을 위조한 적이 있으므로 김용의 의도였을 확률이 높다.[2] 비슷한 사례로 북한 김정일이 벌인 심화조 사건이 있다. 사회안전성 정치국장 채문덕을 내세워 자신의 세습에 반대하는 간부들을 죽인 후 채문덕에게 모든 책임을 뒤집어씌워 채문덕도 죽였다.[3] 홍언박의 손자[4] (이 설이 맞다는 가정하에) 김용을 통해 제거한 세력 중에 하나가 또 다른 측근이자 호종공신이었던 정세운이었다. 공민왕 입장에선 김용을 활용해 정세운 등을 제거하는 것이 껄끄러운 정적을 뿌리 뽑는 동시에 권력 기반의 절반 정도를 날려버리는 큰 모험이었던 셈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