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wiki style="color: #FFF; 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전쟁·분쟁 | 교전국 | |
<colbgcolor=#000096> 신해혁명 ,1911 ~ 1912, | | ||
계축전쟁 ,1913, | | ||
호국전쟁 ,1915 ~ 1916, | | ||
호법전쟁 ,1917 ~ 1918, | | ||
제1차 세계 대전 ,1917 ~ 1918, | | ||
러시아 내전 ,1918 ~ 1920, | | ||
외몽골 출병 ,1919, | | ||
국민혁명 ,1926 ~ 1928, | | ||
제1차 국공내전 ,1927 ~ 1936, | <colbgcolor=#000096> 초공작전 ,1930 ~ 1934, | | |
반장전쟁 ,1929 ~ 1930, | | ||
중국-티베트 전쟁 ,1930 ~ 1932, | | ||
만주사변 ,1931 ~ 1932, | | ||
영릉가 전투 ,1932, | | ||
제1차 상하이 사변 ,1932, | | ||
쌍성보 전투 ,1932, | | ||
열하사변 ,1933, | | ||
경박호 전투 ,1933, | | ||
사도하자 전투 ,1933, | | ||
흥경성 전투 ,1933, | | ||
동경성 전투 ,1933, | | ||
대전자령 전투 ,1933, | | ||
복건사변 ,1934, | | ||
쿠물반란 ,1931~1934, | | ||
신강 침공 ,1934, | | ||
1937년 신강 전쟁 ,1937, | | ||
제2차 세계 대전 ,1937 ~ 1945, | 중일전쟁 ,1937 ~ 1945, | | |
태평양 전쟁 ,1941 ~ 1945, | | ||
이저사변 ,1944 ~ 1946, | | ||
제2차 국공내전 ,1946 ~ 1950, | | ||
제1차 대만 해협 위기 ,1954 ~ 1955, | | ||
진먼 포격전 ,1958, | | ||
중국-버마 국경작전 ,1960 ~ 1961, | | ||
베트남 전쟁 ,1965 ~ 1973, | | ||
태국 공산반란 ,1965 ~ 1967, | 태국 공산당 | ||
캄보디아 내전 ,1967 ~ 1975, | | ||
대막계획 ,1979 ~ 1990, | | ||
제3차 대만 해협 위기 ,1995 ~ 1996, | | }}}}}}}}} |
쿠물 반란 Кумульское восстание 哈密暴動 Kumul Rebellion | ||
신장 전쟁의 일부 | ||
| ||
징집된 투르크 군인들 | ||
기간 | ||
1931년 2월 ~ 1934년 4월 | ||
장소 | ||
중국 신장 | ||
교전 국가 및 세력 | ||
마가 군벌[1] 쿠물 칸국 |
신강 군벌
|
|
지원 국가 및 세력 | ||
[2] |
청년 투르크 | |
지휘관 | ||
|
|
|
병력 | ||
약 10000명의 중국인 무슬림 기병과 보병 약 15000명의 중국군 수천 명의 쿠물 칸국 충성파 | 수천 명의 러시아 백군 및 적군 신강 군대 | 동튀르키스탄군 키르기즈 반군 무자헤딘 |
결과 | ||
신장 전쟁에서 더 많은 전투가 발생함,소련의 신장 간섭 |
1. 개요
현재 중국 신장에 일어난 반란이다.2. 배경
1928년 11월 17일, 국민정부가 승인함에 따라 진수런은 공식적으로 신강의 지배자가 되었다.하지만 진수런의 통치는 과격하고 무능했다. 진수런은 집권 초기부터 통화량을 1억 4500만 량으로 폭증시켰으며 기존 세금을 증세하는 한편 가축 도축세를 비롯하여 새로운 세금을 대거 신설했다. 그리고 금, 옥, 양가죽을 비롯한 주요 산업들을 사익을 위해 독점하고 이렇게 모은 재산을 베이징에 저축하였는데 당시 신강성을 여행하던 영국인 피터 플레밍은 진수런을 들어 "탐욕스러움이 행정적 재능에 의해 충분히 뒷받침되지 못한 관료."라고 그를 비판했다.진수런의 또 다른 학정은 양쩡신이 세심하게 관리해돈 소수민족들의 불만을 폭발시킨 것이었다. 진수런은 신강성 무슬림들의 메카 성지 순례를 금지(!)하였으며 기존의 비한족 엘리트들을 숙청하고 한족 관료들로 무리하게 대체하려 했다. 또한 산악지역의 몽골과 키르기스족 유목민들에게 한족 관리들의 통제를 받을 것을 명령했고 기존 종교 지도자들의 권리를 부정해버렸다. 또한 양쩡신이 용인해왔던 신강성의 작은 칸국들을 모조리 폐지했다. 당시 하미 칸국의 칸은 막수드 샤였는데 막수드 샤가 1930년 사망하자 진수런은 하미 칸국을 폐지하고 하미, 이허, 이우 3개 행정구역을 새로 설치하였다. 막수드 샤가 위구르족에게 가혹한 노역과 무거운 세금을 물리던 폭군이었기 때문에 위구르인들은 처음에는 진수런의 지배를 환영하였으나 진수런은 이들의 기대에 농업세를 2배로 늘리는 것으로 보답했고 위구르 농부들이 휴경하고 있던 농지들을 몰수하여 한족 이민자들에게 주었다. 또한 한족 이민자들에게 농기구와 종자를 무상으로 공급하고 2년간 세금을 면제하는 등 적극적인 한족 이민을 추진했고 위구르족을 사막의 황무지로 내몰았다.
3. 전개
.1931년 2월, 하미(쿠물)의 샤오푸 마을 징세관 겸 경찰서장 장씨가 위구르인 미녀를 강제로 자신의 아내로 삼으려고 들자 분노한 위구르인들이 중국인 경찰들을 살해하고 폭동을 일으켰다. 그리고 100가구 상당의 한족들을 학살하였다. 진수런은 여단장 웅발유를 파견하여 하미를 도로 장악했으나 보복으로 닥치는대로 위구르인들을 학살하여 민심을 폭발시켰다. 한족들에게 항복해봐야 죽음 밖에 없다는 것을 알게 된 위구르족들은 너도나도 무기를 들고 저항하기 시작했고 막수드 칸의 대신이었던 호자 니야즈와 율바르스 칸이 가세함에 따라 소요는 곧 1931년 하미에서 위구르인들이 대규모로 봉기하는 사태로 이어졌다. 여기에 카자흐족, 키르기스족, 회족을 비롯한 소수민족들이 가세하였다.호자 니야즈와 율바르스 칸이 하미 칸국의 복고를 주장하며 일으킨 반란은 이들이 감숙성 군벌 마중잉의 도움을 요청하면서 조직적인 반란으로 커졌다. 감숙성의 야심가이며 국민혁명군 36사단장이었던 마중잉은 10대의 나이에도 엄청난 위세를 떨치는 야심가였고 율바르스 칸의 요청으로 신강성을 정복하여 새로운 발판을 마련하기 위해 신강으로 진출하였다. 국민정부는 위구르족 반란을 진압하기는커녕 이들에게 수정공서주임 자리를 내줌으로 오히려 이들을 인정하는 모습을 보였고 1933년 시점에는 우루무치까지 위험해졌다.
진수런은 사태를 만회하기 위해 난징 국민정부에 비서인 노효조를 파견하여 상교참모 성스차이를 신강성의 육군군관학교 교장 겸 독판공서 참모주임으로 임명하여 신강성의 군관 훈련 시스템을 개혁하고 마중잉을 상대하기 위한 전법을 연구하게 하였다. 신강성의 연고가 없던 성스차이는 진수런의 신임 하에 순식간에 신강성 최고의 군사 실력자로 거듭나게 되었다.
소련은 신강 지역을 잃고 싶지 않아서 소련은 신강 군벌을 지원했다. 하지만 여러 전쟁에서 키르기즈 반군이 나오고 위구르인들이 독립을 위해 봉기를 일으키는 등 망할 뻔했지만 결과적으로는 신강 군벌 세력이 이겼다 대신 소련의 지원 이전 신강 군벌은 수도 신강성까지 밀려 거의 멸망할때 쯤에 소련이 도와준거여서 이후 소련의 영향력이 매우 강해졌다.
4. 관련 문서
놀랍게도 모두 쿠물 반란에 일부분이다][1] 반란에 참여하는 마가군들은 모두 중화민국에 충성하는 마가군들이었다.[2] 쿠물 칸국만 지원[3] 튀르키예인이며 소련의 요원으로 활동하다가 중국에 들어와 범투란주의를 믿는 튀르크 사람들과 위구르를 독립하게 하려고 노력했다.[4] 쿠물 칸국의 장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