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f 문서명2 != null
, [[산간닝 변구]]
#!if 문서명3 != null
, [[]]
#!if 문서명4 != null
, [[]]
#!if 문서명5 != null
, [[]]
#!if 문서명6 != null
, [[]]
#!if 문서명7 != null
, [[]]
중국의 역사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font-size: .92em; letter-spacing: -.4px" | 황하 문명 하(夏) | ||||||||
상(商) | |||||||||
서주(西周) | |||||||||
동주(東周) | 춘추전국시대 ( 춘추 | 전국 ) 춘추오패 | 전국칠웅 | ||||||||
초한쟁패기 후초(後楚) | 서초(西楚) | 십팔제후국 | |||||||||
전한(前漢) | |||||||||
신(新) 현한(玄漢) | |||||||||
후한(後漢) | |||||||||
삼국 | 위(魏) | 촉(蜀) | 오(吳) | ||||||
서진(西晉) | |||||||||
동진(東晉) 환초(桓楚) | 오호십육국 전진(前秦) | ||||||||
남북조 | 송(宋) | 북위(北魏) | |||||||
제(齊) | |||||||||
양(梁) 후량(後梁) | |||||||||
수(隋) | |||||||||
당(唐) 무주(武周) | 위연(僞燕) | 황제(黃齊) | |||||||||
오대십국 | 여러 민족 | ||||||||
요(遼) 서요(西遼) | |||||||||
북송(北宋) | |||||||||
남송 (南宋) | 금(金) | ||||||||
몽골 제국 | |||||||||
원(元) 북원(北元) | |||||||||
명(明) 순(順) | 남명(南明) | |||||||||
후금(後金) | 오주(吳周) | 동녕(東寧) 청(淸) 태평천국(太平天國) | |||||||||
중화민국 (中華民國) 군벌세력 | 청황실 소조정 | 임시정부(臨時政府) 북양정부(北洋政府) 중화제국(中華帝國) | 호법정부(護法政府) | ||||||||
중화인민공화국 (中华人民共和国) | }}}}}}}}} |
<colbgcolor=#ee1c25> 소비에트 지구 / 혁명근거지 (1933-1943) 蘇維埃區域 / 革命根據地 | ||
변구 / 항일근거지 (1937~1945) 邊區 / 抗日根據地 | ||
해방구 (1946~1948) 解放區 | ||
| | |
중국공산당 당기 (1942~1996) | 중국공산당 당휘 (1942~1996) | |
만국의 노동자여, 단결하라! 全世界無産者,聯合起來![1] | ||
1927년 ~ 1949년 | ||
성립 이전 | 성립 이후 | |
중화민국 국민정부 | 중화인민공화국 | |
국가 | 인터내셔널가 | |
수도 | 징강산 (1927년 ~ 1930년) 루이진 (1931년 ~ 1934년) 즈단 (1935년) 옌안 (1936년 ~ 1947년) 시바이포 (1947년 ~ 1949년) 베이핑 (1949년) | |
정치체제 | 공산주의, 일당제, 민주집중제 | |
주요 지도자 | 마오쩌둥 | |
군사 | 중국공농홍군 → 중국 인민해방군 | |
공용어 | 중국어 | |
종교 | 무신론 | |
주요 사건 | 1924년 제1차 국공합작 1927년 4.12 상하이 쿠데타, 국공결렬 1930년 초공작전 시작 1931년 중화소비에트공화국 수립 1934년 대장정, 중화소비에트공화국 실질적 멸망 1937년 제2차 국공합작, 산간닝 변구 수립, 중일전쟁 1946년 국공내전 1949년 중국 수립 | |
정당 |
1. 개요
소비에트 지구(蘇維埃區域)는 제1차 국공합작이 파기된 이후, 중국공산당이 중국국민당의 중화민국 국민정부 내에서 수립한 독자적인 정부이다. 이후 중일전쟁 시기에는 변구(邊區), 국공내전 시기에는 해방구(解放區)로 불리지만 이름만 다를 뿐 공산당의 통치 지역이라는 점에서 사실상 모두 같다. 중국 대륙의 중부에 위치하였다. 국외에서는 혁명근거지로 알려져 있으나 국내에서는 소비에트 지구로 더 잘 알려져 있다.2. 역사
2.1. 제1차 국공합작과 중화소비에트공화국까지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중화소비에트공화국#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중화소비에트공화국#|]] 부분을
참고하십시오.1924년 공산당과 국민당은 합작하지만, 장제스가 이끄는 국민혁명군이 북벌 중 일어난 1927년 4.12 상하이 쿠데타로 반공주의 성향의 난징 국민정부를 수립하고, 반쪽짜리 합작을 유지하던 우한 국민정부마저 분공을 결의하면서 완전히 파기되었다. 이에 대한 반발으로 공산당은 추수폭동을 일으켰으나 진압당하고 만다. 이후 북벌을 완료하자 초공작전으로 국부군은 공산당에 대한 본격적인 진압작전을 실시하게 된다. 1931년 공산당은 장시성을 중심으로한 자신들의 점령지에 중화소비에트공화국이라는 국가의 독립을 선포한다. 대장정 이후 중화소비에트공화국은 사실상 멸망하였지만, 일본의 심화되는 중국 침략과 시안 사건으로 일단은 화북분리공작을 피고 있던 일본 제국과 맞서 싸우기로 하고 제2차 국공합작을 맺었다.
2.2. 제2차 국공합작과 산간닝 변구, 국공내전까지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산간닝 변구#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산간닝 변구#|]] 부분을
참고하십시오.제2차 국공합작으로 공산당은 합법적으로 산간닝 변구라는 작은 영토를 얻었고, 이를 기반으로 점차 공산당 근거지인 해방구를 늘려간다. 1945년 일본 제국은 패망하고 잠깐 동안은 공산당과 국민정부는 화평교섭회담을 개최하는 등 외견상의 평화가 유지되었으나, 실제로는 공산당과 국민당 모두 싸움을 준비하던 상황이었고 그 사이 홍군은 소련의 군정 치하에 있는 만주에서 소련의 도움으로 관동군의 무기로 무장해 군사력을 강화했다. 결국 장제스는 1946년 6월 국공합작을 깨고 소비에트 지구를 침공하면서 제2차 국공내전이 일어났다. 초반에는 국민혁명군이 우세했으나, 1947년 하반기부터 밀리기 시작하였다. 1948년에는 홍군을 중국인민해방군으로 개칭하였다. 1949년에는 공산당은 중국 대륙의 대부분을 장악하고 국민정부는 대만으로 피신한다. 이후 공산당은 중국을 수립하였다.
3. 군사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중국공농홍군#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중국공농홍군#|]] 부분을
참고하십시오.당군으로 중국공농홍군이 있었고 1948년 중국인민해방군으로 개칭된다.
[1] 직역: 전세계무산자, 단결기래(일어나 오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