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그 앰블럼 |
[clearfix]
1. 개요
- 리그기간: 2000년 7월 24일 ~ 2000년 11월 1일
- 24강: 2000년 7월 24일 ~ 2000년 9월 1일
- 16강 와일드카드: 2000년 9월 4일 ~ 2000년 9월 6일
- 16강: 2000년 9월 11일 ~ 2000년 10월 4일
- 16강 재경기: 2000년 10월 6일
- 8강: 2000년 10월 9일 ~ 2000년 10월 18일
- 4강: 2000년 10월 23일 ~ 2000년 10월 24일
- 3-4위전: 2000년 10월 30일
- 결승전: 2000년 11월 1일[1]
- 조 편성
- 우승 김동수, 준우승 봉준구, 3위 박찬문, 4위 김상훈
- 특이사항
- 대회 중간에 후원사가 게임맥스[3]에서 프리챌로 변경.[4]
- 이기석이 개인 사정으로 예선에 불참하면서 쌈장 이기석 시대 종말 및 김동수, 봉준구 등 여러 선수들의 이름을 알리게 되는 계기. 반면 전 시즌 우승자인 기욤 패트리와 4위인 변성철은 8강에서 탈락, 준우승자인 강도경과 3위 최인규는 16강에서 탈락하며 전대회와 마찬가지로 시드 배정자 전원이 4강에 들지 못했다.
- 스타리그 최초로 모든 경기에서 한 종족(프로토스)만 사용해서 우승
- 기욤 패트리가 8강 마지막 박찬문 선수와의 경기에서 4강 진출이 좌절되자 GG도 치지 않고 나가버렸다.
- 포털 사이트의 최초 스폰
- 온게임넷에서 주관한 최초의 리그.
- 최초로 서울 삼성동 코엑스몰의 메가 웹 스테이션에서 매주 화요일에 현장 녹화방송.
- 최초로 24강 체제 진행. 6개조 4인 풀리그로 진행 후 각 조 1, 2위는 바로 16강 직행. 각 조 3위는 와일드카드전 진출.
- 와일드카드전의 경우 각 조 3위끼리 6강 1:1 단판 토너먼트를 진행해서 승자는 16강에 진출한다. 패자 3명은 풀리그방식으로 1명만 16강에 진출한다.
- 16강 이후는 전 대회와 동일하게 진행된다. 단, 4강전이 3판 2선승제로 변경되었다.
- 스타리그 사상 최초의 4저그조 탄생(24강 4조)[5]
- 로얄로드(첫 대회 진출에 우승)와 가을의 전설(가을이 되면 프로토스가 우승한다는 징크스)의 시작.
- 스타크래프트: 브루드 워 개인리그 사상 유일무이하게 테란이 16강 이전에서 전멸.[6]
- 김동수, 전태규, 최우범의 스타리그 데뷔.
- 입상 선수가 차기 리그 시드를 받지 못함(왕중왕전의 우승/준우승자에게 시드 배정).
- 최초로 스튜디오가 아닌 외부에서 결승 진행(결승장소: 서울 연세대학교 백주년기념관). 이후 결승전에 관중몰이가 시작
- 브루드 워로 진행된 양대 개인리그 사상 첫 5전제 3:0 셧아웃이 나온 대회이자 스타리그 사상 프로토스가 유일하게 3:0 셧아웃으로 우승 및 저그 상대로 우승[7][8]
- 양대리그 최초이자 마지막으로 결승전이 화요일에 열림[9]
- 스타리그 사상 최초의 몰수패(봉준구 VS 신성철의 24강 6조 경기와 24강 4조 재경기의 박찬문, 봉준구가 지각하고 이후 박찬문이 개인사정으로 불참하면서 몰수패 처리되었다. 이는 4년 후 NHN 한게임배 온게임넷 스타리그 03~04 에서도 똑같은 상황이 나왔다. 다만, 몰수패라 하더라도 24강 전적은 적용이 되나 전적 관리상 승률과 연승은 적용되지 않는다.)
- 김대기, 변성철, 봉준구의 마지막 스타리그
- 김동준, 이효민의 스타리그 데뷔이자 마지막 스타리그
- 우승자 상금 2,000만원, 준우승자 상금 500만원, 3위 상금 300만원
- VOD 목록[10]
1조 | 창석준, 김대기, 박효민, 기욤 패트리 |
2조 | 신우진, 강도경, 김규형, 전태규 |
3조 | 최인규, 문상헌[2], 오삼택, 김동수 |
4조 | 변성철, 이명진, 박찬문, 박현준 |
5조 | 김상훈, 최수범, 김완철, 도진광 |
6조 | 신성철, 김동준, 봉준구, 장경호 |
자세한 대진은 2000 프리챌배 온게임넷 스타리그/대진표를 참고.
2. 사용 맵
2000 프리챌배 온게임넷 스타리그 맵 | ||||
블레이즈 | 정글 스토리 | 아방가르드 | 스페이스 오디세이 | 다크 스톤 |
3. 온게임넷의 출범
2000년 하나로통신배 스타리그에서 열악한 환경에도 흥행에 성공하면서 드디어 주관한 스타리그. '온게임넷 스타리그'의 타이틀을 가진 최초의 리그이다.[11]99 프로게이머 코리아 오픈, 2000 하나로통신배 투니버스 스타리그의 흥행에 힘입어 드디어 2000년 7월 24일 온게임넷이 개국, 투니버스에서 독립된 스타리그는 그 개국일에 맞추어 리그가 시작되었다.[12]
4. 가을의 전설의 시작
스타리그 1회 진출자이며 프로토스인 김동수가 당시 아트록스, 킹덤 언더 파이어 등의 여러 게임 리그에서 활약했던 봉준구를 결승전에서 세트 스코어 3:0 이기고 우승[13]하며 후에 온게임넷에서 뼛골까지 우려먹는 로얄로드와 가을의 전설 떡밥을 낳은 리그이기도 하다.[14]다만 24강 체제가 굉장한 논란이 됐었는데 와일드 카드전까지 치르려니 리그가 두 배 정도 길어지는 바람에 전 대회들과 비교해 여러모로 실패한(?) 리그란 인식이 짙다. 더군다나 저그 유저의 비중이 너무 높아 저저전이 다수 진행된것도 컸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프로토스가 우승했다는 이유(!) 하나만으로 가을의 전설이 된 리그.[15] 또한 이후 스타1 양대 리그, 스타크래프트 프로리그, 팀리그, 위너스 리그, KT-KTF 프리미어 리그 등 주요 대회에서의 언제나 개최되었던 외부 장소에서의 결승전 진행도 이 대회에서부터 시작되었다. 다만 해당 결승전은 생방송이 아닌 하루전 녹화로 진행되었다.
리그 종료 이후 우승자가 아닌 99 PKO와 하나로통신배 스타리그, 프리챌배 스타리그의 입상자들을 모아 왕중왕전을 개최, 이 대회의 우승자에게 차기리그 시드를 배정해 시드 배정에 대해 논란이 일었다. 또 왕중왕전의 우승자 또한 스타리그 우승자와 같이 대우해야 하는가에 대해서도 많은 이견이 있었으나 결국 온게임넷에서 왕중왕전을 단순한 이벤트전으로 정의하며 왕중왕전에 대한 논란은 일단락되었다.[16]
[1] 결승전은 방송 전날에 경기가 진행된다.[2] 신주영, 변성철, 쌈장 이기석의 매니저로 알려진 임영수 등과 함께 소설 스타크래프트를 집필한 적이 있다. (2권만 담당)[3] 정일훈 캐스터의 회사로, VOD 서비스로 유명하였다. 이후 이 회사가 프리챌로 인수되면서 자동으로 바뀐 것.[4] 16강부터 변경[5] 이후 EVER 스타리그 2008에서 오랜만에 재현된다.[6] 반대편 피디팝 MSL에서도 테란이 8강에 단 한 선수도 진출하지 못했지만 그래도 16강까지는 진출했었다.[7] 다만 위에 언급된 것처럼 결승전 2경기에서는 봉준구가 프로토스로 플레이를 했기에 순수한 프로토스 vs 저그 기록은 아니다.[8] MSL에서는 3.3 혁명이 유일하다.[9] 다만, 결승전 중계은 수요일에 녹화방영했다.[10] 각 라운드별 재경기와 결승전의 VOD는 존재하지 않는다. 여기서 볼 수 있다. 온게임넷에서 실수로 넣지 않은 것인지는 알 수 없으나 유튜브에 "김동수 봉준구" 라고 검색을 하면 해당 경기가 있다. 앞에 영상은 3차전만 올린 것이다. 이유는 마지막 경기이기 때문.[11] 이 타이틀은 NHN 한게임배까지 사용하다가 질레트부터 '스타리그'로 명칭을 변경했다.[12] 다만 이 대회는 투니버스에서도 동시에 중계해줬다. 다음 대회부터 완전히 온게임넷에서 중계한다.[13] 다만 봉준구의 경우 결승전 2경기에서는 저그가 아닌 프로토스로 플레이를 했다.[14] 그리고 정확히 8년 후인 2008년 11월 1일 송병구가 인크루트 스타리그 2008에서 정명훈을 꺾고 우승을 차지하며 가을의 전설을 이어갔다.[15] 그도 그럴것이 이 당시 4강에 올라온 선수들의 종족분포를 보면 세명이 모두 저그였고, 김동수 혼자만 프로토스였다. 무려 다전제로 이들을 모두 뚫고 올라왔으니 전설이 될 법도 하다.[16] 하지만, 이후 많은 논란을 야기 시켜 팬들에게 왕중왕전 따위 왜 하냐고 엄청나게 까였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