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3-08 13:22:24

2003 대구 하계 유니버시아드

파일:FISU 엠블럼.svg 역대 하계 세계대학경기대회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rowcolor=#373a3c> 1회 2회 3회 4회 5회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1959 토리노
파일:불가리아 인민 공화국 국기(1948-1967).svg
1961 소피아
파일:브라질 국기(1960-1968).svg
1963 포트알레그레
파일:헝가리 국기.svg
1965 부다페스트
파일:일본 국기.svg
1967 도쿄
<rowcolor=#373a3c> 6회 7회 8회 9회 10회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1970 토리노
파일:소련 국기.svg
1973 모스크바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1975 로마
파일:불가리아 인민 공화국 국기(1971–1990).svg
1977 소피아
파일:멕시코 국기.svg
1979 멕시코시티
<rowcolor=#373a3c> 11회 12회 13회 14회 15회
파일:루마니아 사회주의 공화국 국기.svg
1981 부쿠레슈티
파일:캐나다 국기.svg
1983 에드먼튼
파일:일본 국기.svg
1985 고베
파일: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공화국 국기.svg
1987 자그레브
파일:독일 정부기.svg
1989 뒤스부르크
<rowcolor=#373a3c> 16회 17회 18회 19회 20회
파일:영국 국기.svg
1991 셰필드
파일:미국 국기.svg
1993 버팔로
파일:일본 국기.svg
1995 후쿠오카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1997 시칠리아
파일:스페인 국기.svg
1999 팔마
<rowcolor=#373a3c> 21회 22회 23회 24회 25회
파일:중국 국기.svg
2001 베이징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03 대구
파일:튀르키예 국기.svg
2005 이즈미르
파일:태국 국기.svg
2007 방콕
파일:세르비아 공화국 국기.svg
2009 베오그라드
<rowcolor=#373a3c> 26회 27회 28회 29회 30회
파일:중국 국기.svg
2011 선전
파일:러시아 국기.svg
2013 카잔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15 광주
파일:중화 타이베이 올림픽기.svg
2017 타이베이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2019 나폴리
<rowcolor=#373a3c> 31회 32회 33회 34회 35회
파일:중국 국기.svg
2021 청두
파일:독일 국기.svg
2025 라인-루르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27 충청
파일:미국 국기.svg
2029 노스캐롤라이나
파일:국기.svg
미정
<rowcolor=#373a3c> 둘러보기 : 역대 동계 세계대학경기대회 }}}}}}}}}
제22회 하계 유니버시아드
XXII Summer Universiade
파일:2003daegu.jpg
대회 기간 2003년 8월 21일 ~ 8월 31일
개최 국가/도시 대한민국/대구광역시
참가국 174개국
경기 종목 13종목
개회 선언자 노무현
대한민국 대통령
주경기장 대구월드컵경기장
마스코트 파일:2003dguniv.jpg
드리미

1. 개요2. 종목 및 경기장3. 역대 조직위원장4. 이모저모5. 관련 문서

[clearfix]

1. 개요

2003년, 1997 무주·전주 동계 유니버시아드 개최 이후 6년 만에 대한민국 대구광역시에서 개최된 하계 유니버시아드 대회. 개회 연설은 노무현 대통령이 하였다. 174개국 4,179명의 선수가 참가한 대회.

한국에서 개최된 두 번째 유니버시아드이다. 하계로 한정하면 첫 번째.

주제가는 보아가 부른 '함께 내일로'였다.

2. 종목 및 경기장

당시 안내 기사

3. 역대 조직위원장

조직위원장은 대구시장이 도맡아 했다.

4. 이모저모

  • 종합 1위는 중국, 종합 2위는 러시아, 종합 3위가 개최국 대한민국, 종합 4위는 우크라이나이었다.
  • 2002 부산 아시안 게임에 이어 북한보이콧을 하지 않고 공식적으로 참가하였다.
  • 대회 6개월 전 대구 지하철 참사가 터지자 대구시와 지역사회에선 개최에 지장이 생길까 봐 우려를 표하기도 했다.
  • 주 경기장은 대구스타디움을 사용하였다.
  • 선수촌은 북구 동변동에 지었으며 대회가 종료된 후 분양되었다.[5]
  • 대회의 슬로건은 Dream for Unity, 그것을 향한 5가지 목표는 Dream, Advance, Equalize, Green, Unite인데 이 알파벳의 앞글자다들 아시다시피...
  • 대회 7일째인 8월 28일, 북한 응원단과 선수단 파견을 기념해 경기장 인근에 2000년 남북정상회담 당시 김대중 대통령과 김정일 국방위원장이 서로 손잡고 있는 사진이 담긴 현수막을 걸어 두었는데 이게 그만 비가 내려 젖어버리고 말았다. 마침 응원을 마치고 숙소로 가던 북한 응원단이 비에 젖은 김정일 사진을 보고 장군님신성한 사진이 비에 젖는 걸 볼 수 없다며 버스를 세워 내린 뒤 긴급히 현수막을 철거하는 소동이 벌어지기도 했다. 네이버 뉴스 기사(SBS 8 뉴스) MBC 뉴스데스크 KBS 뉴스 9
    • 북한 출신 주성하 기자의 후일담에 따르면, 이후 이런 행동에 대해서 북한 측 관계자가 사석에서 "애들이 뭘 모르고 한 행동"이라고 해명하였다고 한다. 사실 초상화에 대한 이런 과잉 충성에 대해서는 김정일이 오히려 오버하지 말라고 처벌한 전례가 있다는 것(...)# 사실 독재국가에서 과잉충성으로 일을 그르치는 일은 흔한 일이니 이상할 것까지야 없다.
  • 당시 개막식과 폐막식의 매스게임을 다수 편성 하였는데, 부채춤등의 공연은 계명대학교 여학생들이, 거대한 기를 들고 전력 질주 뛰어다니는 극한의 매스게임은 포항의 해병대 1사단 장병들이, 해병대와는 다른 작품인데 역시 거대한 기를 들고 뭐하는지거리야! 전력 질주를 하는 작품과(...) 디지털 북을 들고 달리는(...) 2개의 공연은세상에 인근의 201명의 특공여단 장병들이 담당하였다.
  • 폐막식의 공연은 상기 매스게임에 참여한 인원들과 가수 보아가 함께 공연하였다.

5. 관련 문서




[1] 1986 서울 아시안 게임, 1988 서울 올림픽 당시 축구 경기 일부가 열렸던 곳이기도 하다.[2] 경주시민운동장[D] 두류공원 내 소재[D] [5] 이에 맞추어 동변초등학교와 동변중학교가 개교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