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9-28 12:01:29

2025 발로란트 마스터스 토론토/결산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2025 발로란트 마스터스 토론토
{{{#!wiki style="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205deg, #bdc0e8, #bdb7e8 33%, #b7b0ea 33%, #8769d2 66%, #8261cd 66%, #4e269a)"
{{{#!wiki style="padding: 1px; background-image: conic-gradient(at calc(100% - 30px) calc(100% - 30px), transparent 120deg, #6F4ACC 120deg 140deg, transparent 140deg), conic-gradient(at calc(100% - 28px) calc(100% - 15px), transparent 120deg, #6F4ACC 120deg 140deg, transparent 140deg), conic-gradient(at 30px 30px, transparent 300deg, #dee5ff 300deg 320deg, transparent 320deg), conic-gradient(at 28px 15px, transparent 300deg, #dee5ff 300deg 320deg, transparent 320deg)"
<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transparent><tablebgcolor=transparent> 파일:발로란트 챔피언스 투어 심볼 화이트.svg 2025 발로란트 마스터스 토론토
경기 일정
}}}}}} ||
스위스
(6/8~6/12)
R1 R2 R3
플레이오프
(6/14~6/23)
상위조 하위조
결승
결산

1. 결과
1.1. 세부 결과
2. 일차별 요약3. 주요 기록
3.1. 결승 MVP3.2. 에이스3.3. 맵 선택 및 거부
3.3.1. 선택 횟수 및 승률3.3.2. 거부 횟수
3.4. 요원 선택
3.4.1. 메타에 대한 평가
3.4.1.1. 타격대3.4.1.2. 척후대3.4.1.3. 감시자3.4.1.4. 전략가
4. 리그별 분석
4.1. 파일:VCT Pacific 심볼.svg Pacific (아시아-태평양)
4.1.1. 7-8위 1시드 파일:Rex Regum Qeon 로고.svg Rex Regum Qeon4.1.2. 5-6위 2시드 파일:Gen.G 로고 심플.svg Gen.G4.1.3. 우승 3시드 파일:Paper Rex 로고.svg Paper Rex
4.2. 파일:VCT EMEA 심볼.svg EMEA (유럽, 중동, 아프리카)
4.2.1. 준우승 1시드 파일:Fnatic 로고.svg Fnatic4.2.2. 11-12위 2시드 파일:팀 헤레틱스 로고.svg Team Heretics4.2.3. 9-10위 3시드 파일:Team Liquid 로고 2023 블루.svg Team Liquid
4.3. 파일:VCT CN 심볼.svg CN (중국)
4.3.1. 7-8위 1시드 파일:380px-XLG_China_2024_allmode.png XLG Esports4.3.2. 9-10위 2시드 파일:Bilibili Gaming 로고 2022.svg Bilibili Gaming4.3.3. 3위 3시드 파일:울버햄튼 원더러스 FC 로고.svg Wolves Esports
4.4. 파일:VCT Americas 심볼.svg Americas (아메리카)
4.4.1. 4위 1시드 파일:G2 Esports 로고.svg G2 Esports4.4.2. 5-6위 2시드 파일:Sentinels 로고.svg Sentinels4.4.3. 11-12위 3시드 파일:Made in Brazil 로고.svg MIBR

1. 결과

||<-10><tablewidth=100%><tablebgcolor=white,#1c1d1f><tablebordercolor=#6F4ACC,#6F4ACC><bgcolor=#6F4ACC,#6F4ACC>
||<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6F4ACC,#6F4ACC><rowbgcolor=#6F4ACC,#6F4ACC> 파일:발로란트 챔피언스 투어 심볼 화이트.svg||2025 마스터스 토론토
챔피언 ||
||
파일:Paper Rex 로고.svg파일:Paper Rex 로고 white.svg
순위표
<rowcolor=#6F4ACC,#6F4ACC>
순위
라운드
기본 상금
비고
챔피언십 포인트
1위 파일:Paper Rex 로고.svg파일:Paper Rex 로고 white.svg PRX 17 13 4 214-173 (+41) $350,000 우승 7
2위 파일:Fnatic 로고.svg FNC 19 11 8 223-196 (+27) $200,000 준우승 5
3위 파일:울버햄튼 원더러스 FC 로고.svg WOL 16 9 7 174-175 (-1) $125,000 결승 진출전 4
4위 파일:G2 Esports 로고.svg파일:G2 Esports 로고 화이트.svg G2 9 4 5 104-94 (+10) $75,000 하위조 준결승 3
5-6위 파일:Gen.G 로고 심플.svg파일:Gen.G 로고 심플 화이트.svg GEN 12 7 5 141-114 (+27) $50,000 하위조 R2 2
파일:Sentinels 로고.svg SEN 12 7 5 130-119 (+11)
7-8위 파일:XLG China 2024 allmode.png XLG 4 0 4 23-52 (-29) $35,000 하위조 R1 0
파일:Rex Regum Qeon 로고.svg RRQ 5 1 4 42-58 (-16)
9-10위 파일:Bilibili Gaming 로고 2022.svg BLG 8 3 5 82-97 (-15) $25,000 스위스 R3 0
파일:Team Liquid 로고 2023 블루.svg파일:Team Liquid 로고 2023.svg TL 8 4 4 94-93 (+1)
11-12위 파일:팀 헤레틱스 로고.svg TH 4 0 4 29-52 (-23) $15,000 스위스 R2 0
파일:Made in Brazil 로고.svg파일:Made in Brazil 로고 화이트.svg MIBR 4 0 4 19-52 (-33)

1.1. 세부 결과

<rowcolor=#6F4ACC,#6F4ACC>
순위
R1 상대
R2 상대
R3 상대
1 파일:Sentinels 로고.svg SEN 2 0 파일:울버햄튼 원더러스 FC 로고.svg 파일:Bilibili Gaming 로고 2022.svg -
1 파일:Gen.G 로고 심플.svg파일:Gen.G 로고 심플 화이트.svg GEN 2 0 파일:Made in Brazil 로고.svg파일:Made in Brazil 로고 화이트.svg 파일:Paper Rex 로고.svg파일:Paper Rex 로고 white.svg -
3 파일:울버햄튼 원더러스 FC 로고.svg WOL 2 1 파일:Sentinels 로고.svg 파일:팀 헤레틱스 로고.svg 파일:Bilibili Gaming 로고 2022.svg
3 파일:Paper Rex 로고.svg파일:Paper Rex 로고 white.svg PRX 2 1 파일:팀 헤레틱스 로고.svg 파일:Gen.G 로고 심플.svg파일:Gen.G 로고 심플 화이트.svg 파일:Team Liquid 로고 2023 블루.svg파일:Team Liquid 로고 2023.svg
5 파일:Bilibili Gaming 로고 2022.svg BLG 1 2 파일:Team Liquid 로고 2023 블루.svg파일:Team Liquid 로고 2023.svg 파일:Sentinels 로고.svg 파일:울버햄튼 원더러스 FC 로고.svg
5 파일:Team Liquid 로고 2023 블루.svg파일:Team Liquid 로고 2023.svg TL 1 2 파일:Bilibili Gaming 로고 2022.svg 파일:Made in Brazil 로고.svg파일:Made in Brazil 로고 화이트.svg 파일:Paper Rex 로고.svg파일:Paper Rex 로고 white.svg
7 파일:팀 헤레틱스 로고.svg TH 0 2 파일:Paper Rex 로고.svg파일:Paper Rex 로고 white.svg 파일:울버햄튼 원더러스 FC 로고.svg -
7 파일:Made in Brazil 로고.svg파일:Made in Brazil 로고 화이트.svg MIBR 0 2 파일:Gen.G 로고 심플.svg파일:Gen.G 로고 심플 화이트.svg 파일:Team Liquid 로고 2023 블루.svg파일:Team Liquid 로고 2023.svg -
<keepall>
초록색: 라운드 승리 및 플레이오프 진출
빨간색: 라운드 패배 및 탈락

{{{#!wiki style="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195deg, #bdc0e8, #bdb7e8 33%, #b7b0ea 33%, #8769d2 66%, #8261cd 66%, #4e269a)"
{{{#!wiki style="padding: 1px; background-image: conic-gradient(at calc(100% - 30px) calc(100% - 30px), transparent 120deg, #6F4ACC 120deg 140deg, transparent 140deg), conic-gradient(at calc(100% - 28px) calc(100% - 15px), transparent 120deg, #6F4ACC 120deg 140deg, transparent 140deg), conic-gradient(at 30px 30px, transparent 300deg, #dee5ff 300deg 320deg, transparent 320deg), conic-gradient(at 28px 15px, transparent 300deg, #dee5ff 300deg 320deg, transparent 320deg)"
<table align=center><tablebordercolor=transparent><tablebgcolor=transparent> 파일:발로란트 챔피언스 투어 심볼 화이트.svg 2025 발로란트 마스터스 토론토
플레이오프 대진표
}}}}}} ||
<rowcolor=#6F4ACC,#6F4ACC>
1라운드
2라운드
결승 직행전 / 하위조 준결승
결승 진출전 (Bo5)
결승 (Bo5)
[[2025 발로란트 마스터스 토론토/플레이오프/상위조|
상위조 대진표
]]
{{{#!wiki style="margin: -12px -5px"<rowcolor=#6F4ACC,#6F4ACC>
<colbgcolor=#f5f5f5,#282828> ↘ 파일:Paper Rex 로고.svg파일:Paper Rex 로고 white.svg 3
파일:Fnatic 로고.svg 1 }}}
{{{#!wiki style="margin: -12px -5px"<rowcolor=white>
Match 1 (6/14)
<nopad><colkeepall> G2
파일:VCT Americas 심볼.svg #1
파일:G2 Esports 로고.svg파일:G2 Esports 로고 화이트.svg 0
<nopad> PRX
2승 1패
파일:Paper Rex 로고.svg파일:Paper Rex 로고 white.svg 2 }}} {{{#!wiki style="margin: -12px -5px"<rowcolor=white>
Match 8 (6/17)
<colbgcolor=#f5f5f5,#282828> ↘ 파일:Paper Rex 로고.svg파일:Paper Rex 로고 white.svg 2
파일:Sentinels 로고.svg 0 }}} {{{#!wiki style="margin: -12px -5px"<rowcolor=white>
Match 11 (6/21)
<colbgcolor=#f5f5f5,#282828> ↘ 파일:Paper Rex 로고.svg파일:Paper Rex 로고 white.svg 2
파일:울버햄튼 원더러스 FC 로고.svg 0 }}}
{{{#!wiki style="margin: -12px -5px"<rowcolor=white>
Match 2 (6/14)
<nopad><colkeepall> XLG
파일:VCT CN 심볼.svg #1
파일:XLG China 2024 allmode.png 0
<nopad> SEN
2승 0패
파일:Sentinels 로고.svg 2 }}}
{{{#!wiki style="margin: -12px -5px"<rowcolor=white>
Match 3 (6/15)
<nopad><colkeepall> RRQ
파일:VCT Pacific 심볼.svg #1
파일:Rex Regum Qeon 로고.svg 0
<nopad> WOL
2승 1패
파일:울버햄튼 원더러스 FC 로고.svg 2 }}} {{{#!wiki style="margin: -12px -5px"<rowcolor=white>
Match 7 (6/17)
<colbgcolor=#f5f5f5,#282828> ↘ 파일:울버햄튼 원더러스 FC 로고.svg 2
파일:Gen.G 로고 심플.svg파일:Gen.G 로고 심플 화이트.svg 0 }}}
{{{#!wiki style="margin: -12px -5px"<rowcolor=white>
Match 4 (6/15)
<nopad><colkeepall> FNC
파일:VCT EMEA 심볼.svg #1
파일:Fnatic 로고.svg 1
<nopad> GEN
2승 0패
파일:Gen.G 로고 심플.svg파일:Gen.G 로고 심플 화이트.svg 2 }}}
[[2025 발로란트 마스터스 토론토/플레이오프/하위조|
하위조 대진표
]]
{{{#!wiki style="margin: -12px -5px"<rowcolor=white>
Match 5 (6/16)
<colbgcolor=#f5f5f5,#282828><colkeepall> M1
[ruby(↘,ruby=패자, color=red)]
파일:G2 Esports 로고.svg파일:G2 Esports 로고 화이트.svg 2
M2
[ruby(↘,ruby=패자, color=red)]
파일:XLG China 2024 allmode.png 0 }}} {{{#!wiki style="margin: -12px -5px"<rowcolor=white>
Match 9 (6/18)
<colbgcolor=#f5f5f5,#282828><keepall> M7
[ruby(↘,ruby=패자, color=red)]
파일:Gen.G 로고 심플.svg파일:Gen.G 로고 심플 화이트.svg 1
파일:G2 Esports 로고.svg파일:G2 Esports 로고 화이트.svg 2 }}} {{{#!wiki style="margin: -12px -5px"<rowcolor=white>
Match 12 (6/21)
<colbgcolor=#f5f5f5,#282828> ↘ 파일:G2 Esports 로고.svg파일:G2 Esports 로고 화이트.svg 0
파일:Fnatic 로고.svg 2 }}} {{{#!wiki style="margin: -12px -5px"<rowcolor=white>
Match 13 (6/22)
<colbgcolor=#f5f5f5,#282828><keepall> M11
[ruby(↘,ruby=패자, color=red)]
파일:울버햄튼 원더러스 FC 로고.svg 1
파일:Fnatic 로고.svg 3 }}}
{{{#!wiki style="margin: -12px -5px"<rowcolor=white>
Match 6 (6/16)
<colbgcolor=#f5f5f5,#282828><colkeepall> M3
[ruby(↘,ruby=패자, color=red)]
파일:Rex Regum Qeon 로고.svg 1
M4
[ruby(↘,ruby=패자, color=red)]
파일:Fnatic 로고.svg 2 }}} {{{#!wiki style="margin: -12px -5px"<rowcolor=white>
Match 10 (6/18)
<colbgcolor=#f5f5f5,#282828><keepall> M8
[ruby(↘,ruby=패자, color=red)]
파일:Sentinels 로고.svg 1
파일:Fnatic 로고.svg 2 }}}
<keepall>
초록색: 라운드 승리 | 노란색: 마스터스 우승

2. 일차별 요약

2025 발로란트 마스터스 토론토 일차별 요약
[[2025 발로란트 마스터스 토론토/스위스 스테이지|
스위스 스테이지
]]
<colbgcolor=#dee5ff,#dee5ff><colcolor=#6F4ACC,#6F4ACC> 1 Welcome to Masters Toronto!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2 새로운 팀, 새로운 시작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3 용호상박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4 Not Over Yet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5 플레이오프를 향해!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2025 발로란트 마스터스 토론토/플레이오프|
플레이오프
]]
6 영광의 발걸음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7 세기의 대결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8 Way Back Home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9 전장의 지휘자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10 한계 너머로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11 최후의 4팀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12 정상으로 향하는 발걸음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2025 발로란트 마스터스 토론토/결승|
결승
]]
13 오랜 기다림의 끝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3. 주요 기록

3.1. 결승 MVP

파일:25MastersTR FinalsMVP.jpg
Paper Rex
f0rsakeN

3.2. 에이스

||<-8><tablebordercolor=#6F4ACC,#6F4ACC><tablebgcolor=white,#1c1d1f><tablealign=center><bgcolor=#6F4ACC,#6F4ACC> 파일:발로란트 챔피언스 투어 심볼 화이트.svg 2025 발로란트 마스터스 토론토 에이스 ||
<rowcolor=#6F4ACC,#6F4ACC>
이름 (ID)
소속 팀
요원
주 무기
상대 팀
기록일
경기
비고
변상범
(Munchkin)
파일:Gen.G 로고 심플.svg파일:Gen.G 로고 심플 화이트.svg 파일:발로란트-바이퍼 초상화.png 팬텀 파일:Paper Rex 로고.svg파일:Paper Rex 로고 white.svg 2025.06.10 스위스 R2 1-0
2경기 2세트 4라운드
영상
타일러 에리아
(juicy)
파일:울버햄튼 원더러스 FC 로고.svg 파일:발로란트-요루 초상화.png 고스트 파일:팀 헤레틱스 로고.svg 2025.06.11 스위스 R2 0-1
1경기 1세트 13라운드
영상
조지오 새너시
(Keiko)
파일:Team Liquid 로고 2023 블루.svg파일:Team Liquid 로고 2023.svg 파일:발로란트-레이즈 초상화.png 밴달
대미 장식
파일:Paper Rex 로고.svg파일:Paper Rex 로고 white.svg 2025.06.12 스위스 R3 1-1
2경기 1세트 24라운드
영상
카밀 프롱츠코비아크
(Kamo)
파일:발로란트-웨이레이 초상화.png 밴달 스위스 R3 1-1
2경기 3세트 19라운드
영상
아르투르 추류모프
(Rarga)
파일:380px-XLG_China_2024_allmode.png 파일:발로란트-요루 초상화.png 팬텀 파일:G2 Esports 로고.svg파일:G2 Esports 로고 화이트.svg 2025.06.16 플레이오프 하위조 R1
1경기 2세트 11라운드
영상
에미르 베데르
(Alfajer)
파일:Fnatic 로고.svg 파일:발로란트-킬조이 초상화.png 마샬
전술용 칼
파일:울버햄튼 원더러스 FC 로고.svg 2025.06.22 플레이오프 결승 진출전
3세트 14라운드
영상

3.3. 맵 선택 및 거부

3.3.1. 선택 횟수 및 승률

||<-10><tablebordercolor=#6F4ACC,#6F4ACC><tablebgcolor=#ffffff,#1c1d1f><tablealign=center><bgcolor=#6F4ACC,#6F4ACC>
파일:발로란트 챔피언스 투어 심볼 화이트.svg 2025 발로란트 마스터스 토론토
맵 선택 횟수 및 승률
||
<rowcolor=#6F4ACC,#6F4ACC>
스위스
PO
종합
진행
진영별 승률
DEF
ATK
스플릿 3 / 5 6 / 8 9 / 13 9 44% 56%
헤이븐 2 / 2 4 / 5 6 / 7 6 52% 48%
어센트 2 / 4 4 / 5 6 / 9 7 43% 57%
아이스박스 5 / 6 4 / 7 9 / 13 11 41% 59%
2 / 3 1 / 4 3 / 7 3 42% 58%
로터스 2 / 5 8 / 10 10 / 15 12 55% 45%
선셋 4 / 5 5 / 7 9 / 12 11 49% 51%
종합 52 / 76 59 47% 53%
<keepall>
자동 선택 제외 선택 횟수 / 총 선택 횟수

3.3.2. 거부 횟수

||<-8><tablebordercolor=#6F4ACC,#6F4ACC><tablebgcolor=#ffffff,#1c1d1f><tablealign=center><bgcolor=#6F4ACC,#6F4ACC>
파일:발로란트 챔피언스 투어 심볼 화이트.svg 2025 발로란트 마스터스 토론토
맵 거부 횟수 및 거부율
||
<rowcolor=#6F4ACC,#6F4ACC>
스위스
PO
종합
거부율
스플릿 5 6 11 12%
헤이븐 8 9 17 18%
어센트 6 9 15 16%
아이스박스 4 7 11 12%
7 10 17 18%
로터스 5 4 9 10%
선셋 5 7 12 13%
종합 40 52 92
<keepall>
총 경기수: 24

3.4. 요원 선택

||<-9><tablebordercolor=#6F4ACC,#6F4ACC><tablebgcolor=#ffffff,#1c1d1f><tablealign=center><bgcolor=#6F4ACC,#6F4ACC>
파일:발로란트 챔피언스 투어 심볼 화이트.svg 2025 발로란트 마스터스 토론토 요원 선택률
||
순위 1위 2위 3위 4위 5위 6위
요원 파일:발로란트-오멘 초상화.png 파일:발로란트-바이퍼 초상화.png 파일:발로란트-소바 초상화.png 파일:발로란트-페이드 초상화.png 파일:발로란트-레이즈 초상화.png 파일:발로란트-요루 초상화.png 파일:발로란트-킬조이 초상화.png 파일:발로란트-사이퍼 초상화.png
선택률
(경기수)
81.36%
(48/59)
64.41%
(38/59)
52.54%
(31/59)
40.68%
(24/59)
33.90%
(20/59)
30.51%
(18/59)
||<-6><tablebordercolor=#6F4ACC,#6F4ACC><tablebgcolor=white,#1c1d1f><tablealign=center><bgcolor=#6F4ACC,#6F4ACC> 파일:발로란트 챔피언스 투어 심볼 화이트.svg 2025 발로란트 마스터스 토론토 단독 선택 요원 ||
<rowcolor=#6F4ACC,#6F4ACC>
이름 (ID)
소속 팀
요원
사용 맵
카밀 프롱츠코비아크
(Kamo)
파일:Team Liquid 로고 2023 블루.svg파일:Team Liquid 로고 2023.svg 파일:발로란트-클로브 초상화.png 아이스박스 (1회)
에릭 페니
(penny)
파일:발로란트-피닉스 초상화.png 헤이븐 (1회)

3.4.1. 메타에 대한 평가

전체적으로 지난 마스터스 방콕에 비하면 다시 과거의 요원 중 스카이 정도를 제외한 대부분이 다시 상위권에 랭크되었다. 쉽게 말해 메타가 회귀한 것인데, 하필 테호의 너프 시점이 마스터스 토론토 진행 직전이었기에 스테이지 1에서 좋은 모습을 보여주었다가 토론토에서 조합의 방향성을 찾지 못하고 크게 휘청거린 팀이 많았다.
3.4.1.1. 타격대
레이즈와 요루가 많이 나온 것은 변함이 없었지만, 테호와 바이스의 하향 여파로 인해 요루의 픽률이 많이 줄어들었다. 덕분에 클래식한 스타일의 1선 타격대인 제트나 네온 등이 얼굴을 자주 비추었으며, 드물게 아이소나 피닉스가 등장했지만 좋은 모습을 보여주진 못했다.

라이엇이 야심차게 만든 웨이레이는 최악의 성능과 더불어 애매한 포지션으로 인해 거의 기용되지 않았고, 레이나는 팀 게임에서 좋지 못한 솔랭용 요원이라는 위치에 걸맞게 얼굴도 비추지 못했다.
3.4.1.2. 척후대
가장 많은 변화가 일어난 역할군으로, 다시 소바의 시대가 돌아왔다. 로터스에서 좋은 성능을 보여주는 페이드가 소바의 뒤를 이어 2번째로 많은 픽을 받았다. 이외에도 케이/오나 스카이가 가끔씩 등장하기도 했으나 맵 풀에 어센트와 스플릿이 있었기에 유의미한 수준은 아니었고, 오히려 스플릿임에도 스카이가 기용되지 않는 등 인도하는 빛 너프의 여파를 아직까지 겪고 있다.

지난 마스터스 방콕은 테호-브리치컵이라는 말까지 나올 정도로 테호-브리치 메타가 성행했으나, 테호의 강력한 너프 이후 테호는 거의 사장된 수준이다. 브리치 또한 테호만큼은 아니지만, 프랙처의 수납으로 인해 픽률 자체는 많이 내려앉았다.
3.4.1.3. 감시자
바이스는 자체적인 성능의 하향과 테호의 하향으로 인한 간접 여파로 인해 기용률이 크게 줄었다. 대신 기존에 사용되던 전통적인 감시자인 사이퍼, 킬조이가 자주 등장했다. 선셋에서 일명 '사드록'으로 묶이는 강력한 수비 조합의 흥행으로 인해 데드록이 간간이 얼굴을 비추기도 했다.

또한 정말 오랜만에, 의외로 세이지가 활약한 국제 대회이기도 하다. 우승 팀인 PRX가 워낙 세이지를 잘 기용하는 팀인데다, 맵 풀에 아이스박스가 있어 세이지의 장벽 구슬을 활용한 강설이 크게 활약할 수 있었기 때문이다.
3.4.1.4. 전략가
지난 방콕이 테호-브리치컵이었다면, 이번 토론토는 오멘-바이퍼컵이었다. 사실 에피소드 9부터 시작된 오멘과 바이퍼의 강세로 인해 국제 대회 픽률을 씹어먹는 것은 예정된 수순이었으나, 과거 테호의 사기적인 성능으로 인해 가려졌을 뿐이다. 오멘은 피해망상을 사용한 진입 지원, 어둠의 발자국을 사용한 트리키한 플레이 등 전략가 중 가장 다재다능하게 활용할 수 있는 요원이고, 바이퍼는 수차례 하향을 받았음에도 전통적인 감시자 요원들의 파이를 나눠먹을 만큼 강력한 지역 장악 능력을 갖췄다.

반면 나머지 전략가 요원들은 빛을 보지 못했다. 브림스톤은 프랙처, 바인드와 함께 수납됐으며, 클로브는 원래도 잘 기용되지 않았으나 계략의 쿨다운 너프 이후 종적을 감췄다. 그나마 맵 풀에 펄과 아이스박스가 있어 아스트라와 하버가 등장했지만 특정 맵 전용 픽 수준에서 그쳤다.

물론 맵 풀의 영향이 매우 크지만, 현재 네 가지 역할군 중 가장 밸런스가 무너졌다는 평가를 받는다. 새로운 맵 코로드와 변경되는 맵 풀, 챔피언스 파리에서 공개될 새로운 전략가 요원이 이러한 비대칭 전력을 얼마나 복구할 수 있을지가 중요하다.

4. 리그별 분석

4.1. 파일:VCT Pacific 심볼.svg Pacific (아시아-태평양)

플레이오프에 유일하게 3팀이 진출하며 기대감을 모았고, 세 팀 모두 좋은 경기력을 보여줬던 만큼 긍정적인 전망이 있었지만, 우승 후보로 거론되던 RRQ와 젠지가 무너지면서 2024 챔피언스의 악몽이 재현될 위기에 놓였다. 그러나 홀로 남은 3시드 PRX가 스위스 스테이지부터 G2, SEN, WOL, FNC를 차례대로 격파하는 기적을 만들어내며 퍼시픽의 마스터스 3연속 우승이라는 업적을 완성시켰다.

이제 마스터스 최강 리그라는 입지를 확고히 다졌으니 퍼시픽의 오랜 숙원인 챔피언스 우승이라는 새로운 목표를 향해 모든 팀이 만반의 준비를 갖추고 달려나가야 할 차례이다. 특히나 2024년의 경우 PRX와 젠지가 기대를 짊어지다 챔피언스에서 처참하게 무너졌으나, 마스터스 방콕과 이번 토론토를 통해 그때보다 많은 팀들이 충분한 잠재력을 가졌음을 증명한 만큼[1] 각자의 단점이나 장점을 더욱 보완해온다면 챔피언스 우승도 더 이상 꿈이 아니게 되었다.

4.1.1. 7-8위 1시드 파일:Rex Regum Qeon 로고.svg Rex Regum Qeon

파일:25MastersTR RRQ.jpg
The journey ends here.
여정은 여기서 끝납니다.

GGs to @FNATIC —our Masters Toronto run stops here.
@FNATIC과의 좋은 승부 끝에 마스터스 토론토에서의 주행이 여기서 멈춥니다.

But this is just one chapter. See you in VCT Pacific Stage 2.
그러나 이건 한 장일 뿐입니다. VCT Pacific 스테이지 2에서 뵙겠습니다.
Rex Regum Qeon 탈락 코멘트
스테이지 1 우승을 달성하며 처음으로 국제전에 올라선 RRQ였으나, 울브스와 프나틱에게 연달아 패배하며 쓸쓸하게 대회를 마쳤다.

퍼시픽에서는 테호 덕분에 영역을 쉽게 먹거나 강제로 밀려 나오는 상대를 젬킨이 수월하게 잡을 수 있었으나, 마스터스에서는 테호가 갑작스럽게 초대형 너프를 먹은 탓에 사용하지 못했고 그 결과 RRQ의 핵심이던 젬킨이 1, 3세트에서 부진하는 모습을 보였다. 또한 쿠쉬와 크레이지가이가 가장 잘 다루는 요원이 소바인데, 결국 소바를 쿠쉬가 잡았으나 그에 따라 크레이지가이가 오멘케이오 숙련도 부족 이슈로 두 경기 내내 크게 부진하는 모습을 보였다.[2]

4.1.2. 5-6위 2시드 파일:Gen.G 로고 심플.svg Gen.G

파일:25MastersTR GEN.jpg
Our run at Masters Toronto ends here. Thanks to all our fans, with a special shoutout to those who supported us in Toronto. See you at EWC and Pacific Stage 2. We will be back.

젠지 발로란트 팀의 마스터스 토론토 여정은 여기서 마무리됩니다. 함께해주신 모든 팬분들, 특히 토론토 현장에서 응원해주신 분들께 감사드립니다. 곧 다가올 EWCVCT Pacific Stage 2에서 더 단단해진 모습으로 찾아뵙겠습니다!
Gen.G 탈락 코멘트
킥오프의 시행착오를 딛고 과감한 리빌딩으로 스테이지 1 준우승까지 달성하여 마스터스에 진출한 젠지였지만, 작년에 보여줬던 국제 대회 강호로서의 젠지와 비교했을 때 그때와 달리 국제 대회 경험이 부족한 신인들이 있었고 결국 그 경험 차이로 인해 아쉽게 탈락하게 되었다. 물론 킥오프 직후 젠지의 리빌딩에 전체적으로 회의적인 반응이 많았던 것을 생각하면[3] 분명 지금의 성적 역시 기대 이상으로 나왔으며, 이번 토론토에서의 경험을 말미암아 EWC와 스테이지 2에서 더 발전한 모습을 보여줄수 있다면 향후 전망 역시 지금보다 더 밝은 모습을 보여줄 수 있을 것이다.

4.1.3. 우승 3시드 파일:Paper Rex 로고.svg Paper Rex

파일:25MastersTR PRX.jpg
Nothing you do will ever be perfect, but don't let that stop you from trying.
모든 일을 완벽히 할 순 없겠지만, 그렇다고 해서 시도하는 것을 멈추지 마세요.

VCT Masters Toronto 2025 Champions, baby! #VALORANTMasters
VCT 마스터스 토론토의 챔피언들!
Paper Rex 우승 코멘트
마스터스 코펜하겐부터 마스터스 마드리드까지 한 끗 차이로 국제 대회와는 연이 없었던 PRX는 챔피언스 서울에서 충격의 그룹 스테이지 탈락, 킥오프에서는 프랜차이즈 전환 후 첫 국제 대회 진출 실패, 심지어 스테이지 1 충격의 3연패 스타트로 점점 로스터의 한계가 오는 것 아니냐는 부정적 의견들이 따라붙었다. 하지만 팻맨의 투입 효과가 그룹 스테이지 막판, 그리고 플레이오프까지 이어져 마스터스 토론토 막차 티켓을 잡아냈고, 스위스 스테이지 젠지와의 내전 패배, TL과의 자동 선택 맵에서 무려 11:1 리드에서 연장전을 끌리는 위기도 있었지만, 플레이오프에 들어서자 파죽지세로 승리를 이어나가며 세트 패배 단 1패로 5년 만에 국제 대회 무관의 제왕이라는 타이틀을 벗어 던졌다.

4.2. 파일:VCT EMEA 심볼.svg EMEA (유럽, 중동, 아프리카)

마스터스 방콕에서 가장 낮은 성적을 기록하며 체면을 구겼던 EMEA는 프나틱이 토론토에서 준우승을 거두며 어느 정도 위상을 회복했다. 다만 프나틱을 제외한 나머지 2팀은 스위스 스테이지에서 광탈해버린지라 프나틱 빼고는 이후 행보에 물음표가 생길 가능성이 높은 편. 현재 2년째 트로피를 하나도 가지고 오지 못한 걸 열정의 연료로 삼아 챔피언스를 위해 더욱 만반의 준비를 해야할 것이다.

4.2.1. 준우승 1시드 파일:Fnatic 로고.svg Fnatic

파일:25MastersTR FNC.jpg
We came to Toronto with a goal, a vision, but an incredible lower bracket run comes to an end as we fall to Paper Rex in the Grand Final.
우리는 목표와 비전을 갖고 토론토에 왔지만, 하위조에서의 미라클 런이 최종 결승에서 Paper Rex에게 패하며 끝납니다.

Thank you to everyone that believed in us; all the support in Toronto has been absolutely phenomenal and truly appreciated. 🧡🖤
저희를 믿어주신 모든 분들에게 감사드립니다. 토론토에서의 응원은 정말 놀라웠고 진심으로 감사합니다.
Fnatic 준우승 코멘트
카약과 알파예르가 매우 고전했지만 결국 인게임 리더인 보스터의 심각한 에임 저점이 발목을 잡았다.[4]

4.2.2. 11-12위 2시드 파일:팀 헤레틱스 로고.svg Team Heretics

파일:25MastersTR TH.jpg
That's the end of our journey at Masters Toronto.
마스터스 토론토에서의 여정은 여기까지입니다.

This isn’t the result we wanted, and we know it’s not what you hoped for either. No one feels this loss more than us, but setbacks are part of the path.
이것은 우리가 원했던 결과가 아니며, 여러분도 기대했던 결과가 아니라는 것을 알고 있습니다. 우리보다 더 큰 상실감을 느끼는 사람은 없지만 좌절은 그 길의 일부입니다.

Thank you for standing by us. We'll be back stronger.
저희 곁을 지켜주셔서 감사합니다. 더 강하게 돌아오겠습니다.
Team Heretics 탈락 코멘트
마스터스 상하이와 챔피언스 서울에서 나란히 준우승을 기록한 헤레틱스가 이렇게까지 광탈할 것이라고는 아무도 몰랐을 것이다. 1라운드부터 PRX에게 패배하며 흔들리더니, 2라운드에서는 아예 약체로 여겨졌던 울브스에게 셧아웃을 당하며 쓸쓸하게 대회를 마쳤다.

4.2.3. 9-10위 3시드 파일:Team Liquid 로고 2023 블루.svg Team Liquid

파일:25MastersTR TL.jpg
It wouldn't be the Team Liquid way without a heart attack of a Series.
팀 리퀴드의 방식이 아니라면 시리즈의 심장마비가 일어날 겁니다.

While our #VALORANTMasters path ends here, we stand proud of how far we got, surpassing all the hurdles along the way.
#VALORANTMasters의 여정은 여기서 끝나지만, 우리는 그 많은 허들을 뛰어넘어 얼마나 멀리 왔는지 자랑스럽게 생각합니다.

GGs to the GOATS @pprxteam 🐐 we will be cheering for you! 🚂 CHOO CHOO 🚂
좋은 게임이었습니다, @pprxteam 🐐 GOAT들. 응원할게요!
Team Liquid 탈락 코멘트
결국 TL은 이번에도 스위스 스테이지의 벽을 넘지 못했다. 개막 전부터 냇츠가 비자 문제로 출전하지 못하는 이슈가 생겼고, 냇츠가 복귀한 후에도 돌림판을 써보는 등 여러 방법을 써보긴 했으나 마스터스 방콕에 이어 또 다시 3라운드에서 탈락의 고배를 마실 수밖에 없었다.

하지만 냇츠가 돌아온 후 TL의 경기력을 보면 헤레틱스보다 좋은 모습을 보였기에, 만약 냇츠의 비자 문제가 터지지 않았거나 라운드1 시작 전 비자문제가 해결되었더라면 상위조로 진출해 플레이오프로 진출할 기회를 얻지 않았을까 하는 아쉬움이 남기도 했다.

4.3. 파일:VCT CN 심볼.svg CN (중국)

1시드 XLG가 시작 전부터 전력 손실이 생겼고, ACL이나 EWC 예선에서 보여준 BLG와 울브스의 폼을 생각하면 또 다시 가장 먼저 전멸할 것이라는 예측이 많았다. 그러나 BLG는 탈락임에도 발전한 모습이 분명 있었고, 플레이오프 진출 때만 해도 물음표이던 울브스는 언더독의 위치에서 증명하는 모습을 보여주며 3위로 대회를 마무리했다.

항상 EDG 원툴 리그라는 눈초리를 받아왔던 CN이였으나, 이번 대회에서는 EDG 말고도 증명할 수 있는 팀이 있다는 걸 보여주면서 의미 있는 결과를 보여줬다. 이제는 기세를 이어 EWC와 챔피언스에서 다시 증명의 시간을 가져야 할 것이다.

4.3.1. 7-8위 1시드 파일:380px-XLG_China_2024_allmode.png XLG Esports

파일:25MastersTR XLG.jpg
CN 스테이지 1의 우승팀으로 등극하며 강호로 자리잡은 XLG였지만, 그 명성이 무색하게 2연패로 무기력한 탈락을 맞이했다.

사실 XLG의 광탈은 어느 정도 예정된 수순이긴 했다. 대회 직전에 서브 IGL 겸 팀의 콜 소통을 담당하던 가 논란으로 방출되는 초대형 악재가 터졌기에 전력 누수가 크게 발생했고, 이 때문에 다른 1시드 팀들에 비해 확연히 기대치가 떨어질 수밖에 없었다. 뿐만 아니라 소방수로 영입된 미디가 영어를 아예 못해서 영어로 콜을 하며 경기를 진행하던 XLG에게는 굉장한 마이너스가 되었던 것도 악재였다. 이대로라면 챔스도 위험한 만큼 빨라도 EWC, 늦어도 스테이지 2 개막까지는 유의 대체자를 찾고 재정비하는 기간이 필요해보인다.

4.3.2. 9-10위 2시드 파일:Bilibili Gaming 로고 2022.svg Bilibili Gaming

파일:25MastersTR BLG.jpg
스위스 스테이지에서 첫 승리를 거두고 센티널에게도 1세트를 따내는 등의 고무적인 성과를 내며 기대받았으나, 꾸준하게 지적받던 약점이 잘 보완되지 않은 모습을 드러냈고 결국 이러한 약점을 울브스와의 최종전에서 제대로 공략당하며 3라운드에서 탈락했다.

분명히 이전보다 발전한 모습을 보이긴 했지만, 부족한 점도 많다는 걸 남긴 대회였다. 결국 BLG의 핵심은 운영을 장착하고 whzy의 공격성을 제어하는 것이 관건으로 보이며, 네프는 여러모로 아쉬운 모습을 많이 보여준만큼 적절한 IGL을 찾거나 폼을 끌어올리는 것이 급선무로 보인다.

4.3.3. 3위 3시드 파일:울버햄튼 원더러스 FC 로고.svg Wolves Esports

파일:25MastersTR WOL.jpg
We lose 1-3 and take 3rd place at Masters Toronto!
우린 1-3으로 패배하고 마스터스 토론토에서 3위를 차지했습니다.

Remember the name! We'll be back!😤
저희를 기억해 주세요! 우린 돌아옵니다!😤

#FearNothing || #MastersToronto
Wolves Esports 탈락 코멘트
처음엔 모두가 광탈할 것이라 예상한 울브스였지만, TH, BLG, RRQ, 젠지를 차례차례 꺾으며 기어코 3위에 안착하는, 과거 마스터스 레이캬비크에서 제타가 써내린 언더독의 기적의 미라클런을 또 다시 재현했다. 비록 아쉽게도 직전 마스터스의 언더독인 T1처럼 결승 진출까지는 도달하지 못하고 PRX와 프나틱에게 패배하며 여정을 마무리했으나, 이후의 행보를 더욱 기대할 수 있게 되었다.

4.4. 파일:VCT Americas 심볼.svg Americas (아메리카)

3시드인 MIBR이 시작부터 끔찍한 경기력을 보여주며 광탈해 버렸고, 센티널과 G2마저 프나틱에게 연이어 박살난 결과 홈 그라운드에서 열린 마스터스에서 4대 리그 중 최저 성적이라는 참담한 결과를 받아들여야만 했다.

4.4.1. 4위 1시드 파일:G2 Esports 로고.svg G2 Esports

파일:25MastersTR G2.jpg
Thank you for all the love and memories in Toronto 🫶
토론토에서의 모든 사랑과 추억에 감사드립니다.

We'll see you all again on the world stage at Champs
국제 대회 챔스에서 다시 뵙겠습니다.
G2 Esports 탈락 코멘트

4.4.2. 5-6위 2시드 파일:Sentinels 로고.svg Sentinels

파일:25MastersTR SEN.jpg
Fought to the very end. Proud of this team.
끝까지 고전했습니다. 우리 팀이 자랑스럽습니다.
Sentinels 탈락 코멘트

4.4.3. 11-12위 3시드 파일:Made in Brazil 로고.svg MIBR

파일:25MastersTR MIBR.jpg
Fim de Masters. Esse não é o nosso time.
마스터스가 끝났습니다. 그건 우리 팀의 것이 아니었습니다.

Obrigado pela torcida e nos vemos no Split 2 do Americas. 💙
응원해 주셔서 감사드리며 Americas 스플릿 2에서 뵙겠습니다. 💙
MIBR 탈락 코멘트
아메리카에서 연일 호성적을 기록하며 마스터스에 대한 기대감을 올린 MIBR이었으나, 막상 뚜껑을 열어보니 대회 내내 무기력한 모습만을 보여주면서 단 한 세트도 따지 못한 것은 물론 4맵 통틀어 19개의 라운드만을 가져오며 국제전 최소 라운드 승리라는 불명예스러운 기록을 갱신했다.[5] 베르노를 제외한 다른 선수들은 전부 스탯 최하위에 나란히 이름을 올렸는데 특히 아트진은 운영, 에임, 스킬 모두 압도적인 최악이었고, 아스파스는 타격대를 담당하면서 레이팅이 0.5대에 머무는 충격적인 모습을 보여주고 대회 스탯 최하위를 기록하면서 이제는 전성기의 모습이 사라지고 하락세에 접어들었다는 시선까지 많아졌다.
[1] T1과 PRX는 각각 마스터스 챔피언을 달성하며 자신들을 증명했고, DRX와 RRQ, 젠지는 아쉽게도 중간에 탈락했으나 세 팀 모두 나름의 저력을 보여주며 절대 자신들이 만만하지 않다는 것을 보여주었다.[2] 실제로 PRX의 알렉스 감독도 발투어에 출연하여 RRQ의 플레이 스타일은 테호와 딱 맞으나, 현재는 그 테호를 못 쓰게 되었기에 TOP 4의 자리까지 올라오긴 힘들 수도 있다고 예측하였고 실제로 맞아떨어지게 되었다. #[3] 당시 하락세를 타고 있었던 서제스트 영입, 1군 경험이 전무했던 애쉬의 콜업으로 인해 당장의 성적을 기대하기는 어렵다는 반응이 많았다.[4] 특히 4세트 마지막 매치포인트 라운드에서 보스터가 대놓고 C링크 문을 열며 뛰어간 것 때문에 포세이큰에게 걸려 정리당한 것이 큰 패배요인 중 하나로 꼽힌다. 보황[5] 이전 기록은 마스터스 방콕에서 22라운드를 승리한 CN의 T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