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월 22일부터 24일까지 진행되는 그룹 배틀 3차전 경기에 대한 내용은 2025 LoL Champions Korea Cup/그룹 배틀 3차전 문서 참고하십시오.
1월 24일부터 26일까지 진행되는 그룹 배틀 4차전 경기에 대한 내용은 2025 LoL Champions Korea Cup/그룹 배틀 4차전 문서 참고하십시오.
{{{#!wiki style="margin: -10px -10px;" | <tablewidth=100%><tablebordercolor=#1C192B><tablebgcolor=#1c192b> | League of Legends Champions Korea Cup 역대 대회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League of Legends Champions Korea Cup | |||
2025 | 2026 | 2027 | 2028 | |
← LCK 역대 대회 |
역대 LoL Champions Korea Cup 일람 | ||||
대회 출범 | → | 미정 | → | 미정 |
2025 LoL Champions Korea Cup | 2026 LoL Champions Korea Cup |
<colbgcolor=#292218><colcolor=#fff> 2025 League of Legends Champions Korea Cup | |||||
대회 기간 | 2025년 1월 15일~ 2025년 2월 23일 | ||||
주최 | LCK 유한회사 | ||||
주관 | |||||
경기장 | [[대한민국| ]][[틀:국기| ]][[틀:국기| ]] LCK Arena | ||||
스폰서 | 우리은행 | ||||
포스코 | CASS | ||||
LG 울트라기어 | JW중외제약 | ||||
GOLDEN DEW | 로지텍 G | ||||
시크릿랩 | CGV | ||||
중계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colbgcolor=#292218><colcolor=#fff> 중계 플랫폼 | 온라인 | |||
<colbgcolor=#f5f5f5> [[대한민국| ]][[틀:국기| ]][[틀:국기| ]] | |||||
[[미국 영국| ]][[틀:국기| ]][[틀:국기| ]] | |||||
[[프랑스| ]][[틀:국기| ]][[틀:국기| ]] | |||||
[[베트남| ]][[틀:국기| ]][[틀:국기| ]] | |||||
중계진 | 캐스터 | ||||
[[대한민국| ]][[틀:국기| ]][[틀:국기| ]] | 전용준, 성승헌 | ||||
[[미국 영국| ]][[틀:국기| ]][[틀:국기| ]] | 맥스 앤더슨, 브랜든 발데스 | ||||
해설자 | |||||
[[대한민국| ]][[틀:국기| ]][[틀:국기| ]] | 고수진[분석], 이현우, 임주완[분석], 이채환[분석] | ||||
[[미국 영국| ]][[틀:국기| ]][[틀:국기| ]] | 울프 슈뢰더, 마우리츠 얀 뫼우센, 댄 해리슨, 김배인, 다니엘 곤잘레스 | ||||
분석데스크 해설 | |||||
신동진 | |||||
분석 데스크 진행 / 인터뷰어 | |||||
배혜지, 윤수빈, 이은빈 | |||||
해외중계 통역 | |||||
박지선 |
일정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colbgcolor=#292218><colcolor=white> 그룹 배틀 | 그룹 배틀 | |||
1월 15일 ~ 2월 2일 | |||||
플레이 - 인 | 1라운드 | ||||
2월 7일 | |||||
2라운드 | |||||
2월 8일 | |||||
최종전 | |||||
2월 9일 | |||||
플레이오프 | 1라운드 | ||||
2월 12일 ~ 2월 13일 | |||||
2라운드 | |||||
2월 15일 ~ 2월 16일 | |||||
3라운드 | |||||
2월 19일 ~ 2월 20일 | |||||
결승 진출전 | |||||
2월 22일 | |||||
결승전 | |||||
2월 23일 | |||||
결승전 | 대진 | ||||
vs | |||||
경기장 | |||||
결과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colbgcolor=#292218><colcolor=white> 우승 | ||||
준우승 | |||||
Player of the Split | |||||
MVP | 파이널 | ||||
[clearfix]
1. 개요
2025년 1월 15일에 개막한 2025 League of Legends Champions Korea Cup에 대한 문서이다.2. 참가팀
{{{#!wiki style="margin: -10px -10px" | <table width=100%><table bordercolor=#292218> | 2025 LoL Champions Korea Cup 참가팀 |
GROUP BARON | |||||
Hanwha Life Esports HLE | T1 T1 | BNK FEARX BFX | DN FREECS DNF | OKSavingsBank BRION BRO | |
GROUP ELDER | |||||
Gen.G GEN | Dplus KIA DK | kt Rolster KT | Nongshim RedForce NS | DRX DRX | |
2025 LCK Challengers League Kickoff 참가팀 | 해체된 리그 오브 레전드 프로게임단 |
2.1. 드래프트
- 팀 드래프트는 아래의 순서로 진행되었다.
- 2024 LCK 서머 우승팀이자 바론 그룹인 한화생명은 선픽을 선택하였다.
- T1-바론 그룹(HLE 지명) → DK-장로 그룹(GEN 지명) → KT-장로 그룹(DK 지명) → BFX-바론 그룹(T1 지명) → DNF-바론 그룹(BFX 지명) → NS-장로 그룹(KT 지명) → DRX-장로 그룹(NS 지명) → BRO-바론 그룹(자동 배정)
||<tablebordercolor=#C8B55C><tablebgcolor=#fff,#1c1d1f><colbgcolor=#292218><colcolor=white> Group Baron ||<#ff6b01> HLE ||<#e2012d> T1 ||<#000> BFX ||<#0C50F1> DNF ||<#00492b> BRO ||
드래프트 | 1. HLE → T1 | 5. BFX → DNF | |||
4. T1 → BFX | 8. DNF → BRO | ||||
3. DK → KT | 7. NS → DRX | ||||
2. GEN → DK | 6. KT → NS | ||||
Group Elder | GEN | DK | KT | NS | DRX |
3. 대회 진행
<colcolor=white> {{{#!wiki style="width: 550px; max-width: 650px; display: inline;" | <tablebordercolor=#C8B55C><tablewidth=450><tablealign=center><tablebgcolor=white,#1c1d1f> | ||||||||||||||||||||
<colbgcolor=#292218> 그룹 배틀 (1/15~2/2) | 1차전 | 2차전 | 3차전 | 4차전 | 5차전 | ||||||||||||||||
플레이-인 (2/7~9) | 플레이-인 |
플레이오프 (2/12~23) | 플레이오프 | 결승전 | |||||||||
결산 | }}} |
3.1. 진행 방식 설명
- 그룹 배틀 (Bo3)
- 2개의 그룹으로 나누어 진행하며, 지난 시즌 우승팀이 바론 그룹, 준우승팀이 장로 그룹에 자동 배정된다.[5] 2025 LCK 컵은 2024 LCK 서머의 성적을 반영해 우승팀 한화생명이 바론 그룹에, 준우승팀 젠지가 장로 그룹에 들어간다. 이 두 팀은 같은 그룹에 넣을 한 팀을 순서에 따라 각각 지명한다. 그리고 지명된 팀은 같은 그룹에 넣을 한 팀을 또 지명하게 된다. 지명 순서는 스네이크 드래프트 방식으로, 다음과 같은 방식으로 진행된다.
- 지명에 앞서 지난 시즌 우승팀에게 선픽/후픽 선택권이 주어진다.
- 선픽 그룹 팀1(선픽 그룹 대표 팀 지명)-후픽 그룹 팀1(후픽 그룹 대표 팀 지명)-후픽 그룹 팀2(후픽 그룹 팀1 지명)-선픽 그룹 팀2(선픽 그룹 팀1 지명)-선픽 그룹 팀3(선픽 그룹 팀2 지명)-후픽 그룹 팀3(후픽 그룹 팀2 지명)-후픽 그룹 팀4(후픽 그룹 팀3 지명)-선픽 그룹 팀4(자동 배정)
- 그룹 배틀에서는 상대 그룹 팀과 한 번씩 경기를 치르며, 그룹 내 팀들의 모든 전적을 합산해 더 많은 승수를 얻은 그룹이 승자 그룹, 적은 승수를 얻은 그룹이 패자 그룹이 된다. 쉽게 말해, 이 스테이지 한정으로 5 vs 5 팀전이 되는 것이다.
- 10개 팀은 총 두 개의 그룹(이하 편의상 '가 그룹' 및 '나 그룹')으로 나뉘고, 각 그룹의 홈/어웨이 경기 수는 아래와 같이 구성된다. 두 그룹은 무작위로 아래의 각 경우에 하나씩 배정되며, 각 그룹 내에서 홈 3경기를 가지는 팀과 홈 2경기를 가지는 팀 역시 무작위 방식으로 결정된다. 각 경기의 1세트 진영 선택권은 홈팀에게 부여된다.
- 가 그룹
- [홈 3경기 / 어웨이 2경기] : 3팀
- [홈 2경기 / 어웨이 3경기] : 2팀
- 나 그룹
- [홈 3경기 / 어웨이 2경기] : 2팀
- [홈 2경기 / 어웨이 3경기] : 3팀
- 승자 그룹 1~3위는 컵 플레이오프로 직행, 승자 그룹 4~5위와 패자 그룹 1~4위는 플레이-인으로 향하며, 패자 그룹 5위는 탈락한다.
- 플레이-인 (Bo3, 최종전은 Bo5)
- 결승전이 없고 3위 결정전이 있는 싱글 엘리미네이션 방식으로 진행된다.
- 그룹에 상관없이 승수가 많은 두 팀이 2라운드에 직행하고, 나머지 네 팀이 1라운드를 치른다.
- 1라운드 승리팀은 2라운드에 진출하며 패배팀은 탈락한다.
- 2라운드 승리팀은 플레이오프에 진출하고, 2라운드 패배팀은 최종전에서 Bo5 맞대결을 하여 승리팀이 플레이오프에 진출한다.
- 플레이오프 (Bo5)
- 기존과 동일한 세미 더블 엘리미네이션 방식으로 진행된다.
- 승자 그룹 3위와 플레이-인에서 올라온 팀은 1라운드, 승자 그룹 1, 2위는 2라운드에서 시작한다.
- 우승팀은 LCK 대표로 첫 번째 국제 대회인 First Stand Tournament에 출전한다.
3.2. 그룹 배틀
자세한 내용은 2025 LoL Champions Korea Cup/그룹 배틀 2차전 문서 참고하십시오.
자세한 내용은 2025 LoL Champions Korea Cup/그룹 배틀 3차전 문서 참고하십시오.
자세한 내용은 2025 LoL Champions Korea Cup/그룹 배틀 4차전 문서 참고하십시오.
자세한 내용은 2025 LoL Champions Korea Cup/그룹 배틀 5차전 문서 참고하십시오.
3.3. 플레이-인
{{{#!wiki style="margin: -5px -10px" | <table align=center><table bordercolor=#292218> | 2025 LoL Champions Korea Cup 플레이-인 대진표 |
{{{#!wiki style="margin: -12px -5px" | <rowcolor=white> R1 M2 (2/7) | ||||||
<colbgcolor=#f5f5f5,#282828> | |||||||
}}} | {{{#!wiki style="margin: -12px -5px" | <rowcolor=white> R2 M1 (2/8) | |||||
<colbgcolor=#f5f5f5,#282828> | |||||||
→ | }}} | {{{#!wiki style="margin: -12px -5px" | <rowcolor=white> Finals (2/9) | ||||
<colbgcolor=#f5f5f5,#282828> R2 [ruby(↘,ruby=패자, color=red)] | |||||||
R2 [ruby(↗,ruby=패자, color=red)] | }}} | ||||||
{{{#!wiki style="margin: -12px -5px" | <rowcolor=white> R1 M1 (2/7) | ||||||
<colbgcolor=#f5f5f5,#282828> | |||||||
}}} | {{{#!wiki style="margin: -12px -5px" | <rowcolor=white> R2 M2 (2/8) | |||||
<colbgcolor=#f5f5f5,#282828> | |||||||
→ | }}} | ||||||
연두색: 다음 라운드 진출 | 파란색: 플레이오프 진출 |
3.4. 플레이오프
{{{#!wiki style="margin: -5px -10px" | <table align=center><table bordercolor=#292218> | 2025 LoL Champions Korea Cup 플레이오프 대진표 |
{{{#!wiki style="margin: -12px -5px" | <rowcolor=white> R1 M1 (2/12) | |||||||
<colbgcolor=#f5f5f5,#282828> | ||||||||
}}} | {{{#!wiki style="margin: -12px -5px" | <rowcolor=white> R2 M1 (2/15) | ||||||
<colbgcolor=#f5f5f5,#282828> | ||||||||
→ | }}} | {{{#!wiki style="margin: -12px -5px" | <rowcolor=white> R3 WR (2/19) | |||||
<colbgcolor=#f5f5f5,#282828> ↘ | ||||||||
↗ | }}} | → | {{{#!wiki style="margin: -12px -5px" | <rowcolor=white> Finals (2/23) | ||||
<colbgcolor=#f5f5f5,#282828> ↘ | ||||||||
↗ | }}} | |||||||
{{{#!wiki style="margin: -12px -5px" | <rowcolor=white> R1 M2 (2/13) | |||||||
<colbgcolor=#f5f5f5,#282828> | ||||||||
}}} | {{{#!wiki style="margin: -12px -5px" | <rowcolor=white> R2 M2 (2/16) | ||||||
<colbgcolor=#f5f5f5,#282828> | ||||||||
→ | }}} | |||||||
1라운드: 3위 팀이 플레이-인 최종전 승리팀(6시드)과 대결 2라운드: 1위 팀이 R1 승리팀 중 상대팀 선택, 2위 팀은 미선택 팀 상대 | {{{#!wiki style="margin: -12px -5px" | <rowcolor=white> R3 LR (2/20) | ||||||
<colbgcolor=#f5f5f5,#282828> R2 [ruby(↘,ruby=패자, color=red)] | ||||||||
R2 [ruby(↘,ruby=패자, color=red)] | }}} | {{{#!wiki style="margin: -12px -5px" | <rowcolor=white> R4 (2/22) | |||||
<colbgcolor=#f5f5f5,#282828> WR [ruby(↘,ruby=패자, color=red)] | ||||||||
LR [ruby(→,ruby=승자, color=green)] | }}} | |||||||
1위팀 () 2라운드 대진표 선택: vs - vs | ||||||||
연두색: 다음 라운드 진출 | 노란색: 우승 및 First Stand 진출 |
4. 여담
- 포맷 공개 이전에는 LEC나 발로란트 챔피언스 투어처럼 경기 수가 줄어들 것으로 예상되어 우려 섞인 반응이 있었지만, 공개 이후 포맷에 대한 호평이 이어지고 있다. 신선한 포맷 + 경기 수 증가 등 개선해야 할 부분으로 꼽힌 부분을 전부 개선했고, 겨울 대회를 애매하게 윈터로 명명하지 않고 컵대회로 분리한 부분도 호평이다.[6]
- 그룹 간 대항전[7]으로 이루어졌다는 것도 눈여겨볼 만한 부분인데, 이제는 본인들만 잘하는 게 아니라 같은 그룹의 다른 팀들 역시 잘해야 하는 등 팀들간의 격차도 신경쓴 것으로 보인다.[8] 다만 패자 그룹에서도 5승이면 확정적으로, 4승 1패를 기록할 경우에도 웬만하면 플레이-인 2라운드가 확보되어 무조건 1코인이 보장되도록 설계되어 그룹 편성에 대한 불합리함과 패자 그룹에 대한 부담감을 최소화하였다. 아래를 보면 알겠지만 4승 1패 팀이 플레이-인 1라운드로 떨어지는 경우는 매우 극단적인 경우들밖에 없기 때문에 LCK 사무국이 이 부분을 많이 신경썼다는 것을 볼 수 있다.
{{{#!folding [ 패자 그룹 4승 1패를 기록한 팀이 플레이-인 1라운드로 떨어질 수 있는 경우의 수 펼치기 · 접기 ] - 승자 그룹에서 1팀이 5승, 나머지 4팀이 4승 1패를 기록하고, 패자 그룹에서 한 팀이 이 4팀을 상대로 모두 승리하여 4승 1패, 나머지 4팀은 전패.
- 승자 그룹에서 5팀 모두 4승 1패를 기록하고, 패자 그룹에서 한 팀이 이 중 4팀을 상대로 승리하여 4승 1패. 나머지 4팀 중 1팀은 1승 4패, 나머지는 전패.
- 패자 그룹 팀별 전적이 순위대로 4승 1패, 4승 1패, 4승 1패, 5패, 5패.
- 포맷 발표 이후 국민일보 윤민섭 기자에 의하면 LCK 컵에서의 기록은 LCK 공식 기록에 포함되지 않는다고 밝혀졌다. 엄연히 LCK와는 별도의 대회이기 때문으로 보인다. 대신 골든 로드를 달성하려면 First Stand Tournament에 출전해 우승해야 하고, 이를 위해서는 LCK 컵 역시 우승을 차지해야 한다. 축구에서 지역별 FA컵이 리그 기록에는 합산되지 않지만 트레블 달성을 위해서 우승을 차지해야 하는 것과 같다.
- 2023년부터 2년간 LCK 해설을 맡았던 정노철이 Weibo Gaming TapTap 감독으로 부임하면서 해설진에서 하차했으며, 역시 2023년부터 2년간 LCK 분석위원을 맡았던 강형우도 개인 방송에 집중하기 위해 분석데스크에서 하차했고 새로운 해설로 이채환이 합류했다.
- 중계 화면 자막에서 블루 팀의 색상이 녹서스 테마에 맞춰 노란색으로 표시된다.
4.1. 스토브리그
자세한 내용은 LCK 스토브리그/2024 문서 참고하십시오.4.2. 변경점
2025년도 LCK 포맷 변경점 |
- 시즌 포맷
2025 시즌부터 LoL e스포츠의 포맷이 변경됨에 따라 LCK는 LCK 컵 + 1~2라운드(+Road to MSI)+3~5라운드(+플레이오프 플레이-인)+LCK 플레이오프 체제의 단일 시즌제로 진행된다. 이에 따라 우승 횟수의 산정은 기존 연간 총 2회에서 1회로 줄어들게 되며, 플레이오프의 최종 우승자가 2025 시즌 LCK 챔피언에 등극한다. 각 스플릿의 결과에 따라 국제 대회에 진출할 대표팀을 결정하게 되며, LCK 컵이 끝난 후 2025년부터 신설되는 First Stand Tournament가 진행되고 로드 투 MSI가 종료된 후에는 MSI, 플레이오프 종료 후에는 대망의 월드 챔피언십으로 이어진다. 플레이오프는 (구) LEC의 시즌 파이널[9]과 LCS의 챔피언십처럼 지역별 월즈 선발전을 대체하며, 방식은 2024 서머 LCS 챔피언십의 방식과 동일하다.
- 밴픽 규정
이번 대회와 3월 퍼스트 스탠드에서는 피어리스 드래프트, 그중에서도 하드 피어리스 방식[10]을 적용한다. 예컨대 2세트에서는 기존의 10밴 + 1세트에서 사용된 10명의 챔피언 밴으로 총 20명의 챔피언이 사용 금지되며, 3세트는 30명, 4세트는 40명의 챔피언이 금지된다. 또한 5세트에선 피어리스가 해제되었던 LCK CL과 달리 5세트에서도 챔피언 제한 해제 없이 그대로 50명의 챔피언이 사용 금지되는데[11], 이에 따라 선수의 챔피언 폭 역량이 굉장히 중요해질 전망이며 상대의 주요 픽을 뺏어오는 카운터 픽 또한 큰 변수로 작용할 것으로 보인다.
- Player of the Match(POM) 선정
지난 서머까지 한 세트마다 POG를 선정했지만 이번 LCK 컵부터 매치당 한 번 POM을 뽑는 것으로 변경되었다.
5. 영상 및 삽입곡
2025 LCK CUP 오프닝 타이틀 |
- 오프닝 타이틀
오랜만에 선수 출연 없이 전부 CG를 사용하였다. 전년도 LCK 스프링 우승과 MSI를 우승한 호랑이 젠지를 시작으로 디플러스 → KT → 농심 → DRX → 피어엑스 → DN → OK브리온 → LCK 서머를 우승한 한화생명이 차례로 등장하고 마지막으로 월즈를 리핏하고 5성장군이 된 T1의 페이커와 멤버들이 제국의 깃발을 휘날리며 나타나 전쟁에 참가하고, 끝으로 전년도 LCK 우승자인 젠지와 한화생명의 깃발이 교차되며 리스펙 하는것으로 끝난다. 각 팀의 상징성과 서사[12]를 반영한 깔끔한 연출과 CG로 공개 직후 팬들 사이에서 상당히 호평받았다.
6. 주요 기록
6.1. Player of the Match
2025 LoL Champions Korea Cup Player of the Match 포인트 | ||||||
순위 | 이름 | ID | 소속 팀 | 포지션 | 누적 점수 | 비고 |
1 | 손우현 | Ucal | 200 | |||
2 | 김하람 | Aiming | 100 | |||
2 | 곽보성 | Bdd | 100 | |||
2 | 김민철 | Berserker | 100 | |||
2 | 정지훈 | Chovy | 100 | |||
2 | 황성훈 | Kingen | 100 | [A] | ||
2 | 최용혁 | Lucid | 100 | |||
2 | 문현준 | Oner | 100 | |||
2 | 박재혁 | Ruler | 100 | |||
2 | 허수 | ShowMaker | 100 | |||
2 | 김건우 | Zeka | 100 |
6.2. CGV Best Ceremony
2025 LoL Champions Korea Cup Best Ceremony | ||||
주차 | 이름 | ID | 소속 팀 | 포지션 |
1 | 김민철 | Berserker |
6.3. 우리은행 Gold King
2025 LoL Champions Korea Cup Gold King | |||||
주차 | 이름 | ID | 소속 팀 | 포지션 | 획득량 |
1 | 정지우 | Jiwoo | 15,818 |
7. 관련 문서
8. 둘러보기
LoL e스포츠 2025 시즌 | ||||||||
국제 대회 | ||||||||
{{{#!wiki style="margin: -16px -11px" | ||||||||
2025 FST | 2025 MSI | 2025 Worlds | }}} | |||||
5대 리그 | ||||||||
LCK CUP 정규시즌 플레이오프 | 스플릿 1 스플릿 2 스플릿 3 시즌 플레이오프 | 스플릿 1 스플릿 2 스플릿 3 챔피언십 승강전 | 윈터 스프링 서머 | 시즌 킥오프 미드 시즌 시즌 파이널 플레이오프 승강전 | ||||
{{{#!wiki style="margin: -16px -11px" | 기타 대회 | 기타 국제 대회 | ||||||
2024 KeSPA Cup | 시즌 오프닝 | 2025 ASCI | 2025 ECEA | }}} | ||||
[분석] 분석 데스크 겸직[분석] [분석] [4] HLE Zeka, GEN Ruler, T1 Faker, DK ShowMaker, KT Bdd, BFX Clear, DNF Pyosik, NS Lehends, DRX Teddy, BRO Morgan.[5] 헷갈릴 수 있는데, 바론은 영어로 읽고, 장로는 한글로 읽어야 한다. 한글로만 읽은 '남작 그룹-장로 그룹', 영어로만 읽은 '바론 그룹-엘더 그룹' 모두 틀리게 읽는 것이니 주의하자. 애초에 중계진을 비롯한 미디어도 바론과 장로로 언급하기 때문에 이렇게 된 것.[6] Demacia Cup에 비교되기도 하나 시스템으로는 KBL 컵대회와 KOVO컵과 더 비슷하다.[7] 과거 리프트 라이벌즈 옐로 리프트와 블루 리프트에서 썼던 방식과 동일하다.[8] 승자 그룹 1~3위는 플레이오프 진출인데 패자 그룹 1~3위는 얄짤없이 플레이-인행이다 보니 본인들이 아무리 잘해도 패자 그룹으로 떨어지면 부담감이 있을 수밖에 없다.[9] LEC도 다가오는 2025년부터 리그 포맷을 변경하는데, 3스플릿제는 유지하나 시즌 파이널이 없어지고 서머 플레이오프가 월즈 선발전의 기능을 할 예정이다.[10] 기존의 밴픽 규칙을 그대로 따르되, 해당 매치에서 이미 한 번 사용된 챔피언은 이후 진행되는 세트에서 양 팀 모두 재선택이 금지된다. 이는 경기가 진행되면서 자기 팀에서 사용했던 챔피언들만 재선택을 금지하는 소프트 피어리스 방식보다 제약을 강화한 것이다.[11] 이번 시즌에 시작되는 LCK CL 킥오프에도 적용된다.[12] 젠지는 MSI 우승과 LCK 포핏을 상징하는 4개의 LCK 트로피와 호랑이를, 디플러스는 쇼메이커의 시그니처 챔피언인 신드라를 상징하는 3개의 구체와 담원 로고를, KT는 롤러코스터를, 농심은 붉은 향신료를, DRX는 용의 비늘을, 피어엑스는 샌드박스 시절의 모래폭풍을, DN은 DN그룹의 강철을, OK브리온은 나진 소드/실드를 형상화한 검과 방패를, 한화생명은 작년 서머 결승이 열린 경주를 상징하는 첨성대와 한화를 상징하는 불타는 화약을, T1은 월즈 5회 우승인 별 다섯개와 작년 월드 챔피언십의 주제가인 Heavy Is The Crown을 상징하는 왕관과 장미와 날개를 삽입했다.[A] 만장일치 1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