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12-30 13:12:47

잠수함사령부

91잠수함전대에서 넘어옴
파일:대한민국 해군기.svg 대한민국 해군작전사령부 예하 함대급 부대파일:gwt.png
파일:제1함대 부대마크.svg 파일:제2함대 부대마크.svg 파일:제3함대 부대마크.svg 파일:잠수함사령부 부대마크.svg 파일:해군항공사령부 부대마크.svg
제1함대 제2함대 제3함대 잠수함사령부 해군항공사령부
※ 편제·직제·병과별 둘러보기: 해군의 편제
해군잠수함사령부
海軍潛水艦司令部
R. O. K. Navy Submarine Force Command[1]

파일:잠수함사령부 부대마크.svg

'''꿈, 도전, 창조[2][3]'''
<colbgcolor=#001B69><colcolor=#fff> 창설일 <colbgcolor=#fff> 1990년 6월 1일(제57잠수함전대)
1995년 10월 1일(제9잠수함전단)
2015년 2월 1일(잠수함사령부)
약칭 잠수함사
소속 대한민국 해군
상급부대 해군작전사령부
규모 함대
역할 대한민국 해군잠수함 작전을 수행
함대사령관 소장 강동구 (해사 48기)
위치 경상남도 창원시 진해구
진해 해군기지

1. 개요2. 상징
2.1. 부대가
3. 연혁
3.1. 잠수함 역사관
4. 역대 지휘관5. 조직
5.1. 편성
6. 타국 해군의 동급 부대7. 기타8. 관련 영상

[clearfix]

1. 개요

해군잠수함사령부령
제1조(설치 및 임무) ① 해군의 잠수함작전을 수행하기 위하여 해군에 해군잠수함사령부(이하 "잠수함사령부"라 한다)를 둔다.
② 잠수함사령부는 예속부대(隸屬部隊) 또는 배속부대(配屬部隊)에 대한 작전·훈련과 군 행정에 관한 사항을 관장한다.

대한민국 해군잠수함사령부해군작전사령부 예하의 함대잠수함 부대로, 사령관은 해군 소장이다.

해군은 2015년 2월 제9잠수함전단(Submarine Flotilla Nine)이 잠수함사령부로 격상됨으로써 미국, 일본, 프랑스, 영국, 인도에 이어 세계에서 6번째로, 잠수함의 작전과 교육훈련, 정비 등을 종합적으로 지휘하는 잠수함사령부를 운영하게 됐다.#[4]

잠수함사령부는 장보고급 잠수함(209급 잠수함), 손원일급 잠수함(214급 잠수함), 도산안창호급 잠수함(KSS-III Batch-I) 등을 운용하고 있으며, 진해 해군기지제주 해군기지에 주둔하고 있다.

2. 상징

2.1. 부대가

잠수함사령부가
(1절)
한반도해 찬란한 대양에서
충무공의 크신뜻을 이어받은 우리들
일발필중 수중무적, 잠수함의 힘
기운차게 전진하자, 세계를 향해!
나가자 바다로, 지키자 내 조국
대한해군 선봉에는, 필승! 잠수함사령부
(2절)
꿈을 꾸고 도전하는 창조적 정신으로
우리 함께 하나되어 힘차게 나가리라
일발 필중 수중무적, 잠수함의 힘
큰소리로 외쳐보자, 무적 잠수함
나가자 바다로, 지키자 내조국
대한해군 선봉에는, 필승! 잠수함 사령부

3. 연혁

  • 1983. 04. 02. : 대한민국 해군의 첫 국산 소형 잠수함 '돌고래 051호정'(SSM-51) 진수.
  • 1984. 12. 29. : 돌고래급 잠수정 최초 인수
  • 1985. 03. 01. : SSM-051 돌고래 취역
  • 1989. 12. 15. : SSM-052 돌고래 진수
  • 1990. 06. 01. : 제5성분전단 예하에 돌고래급 소형 잠수함으로 구성된 제57잠수함전대(제5809부대) 창설.
  • 1990. 11. 08. : SSM-052 돌고래 취역
  • 1991. 08. 30. : SSM-053 돌고래 진수
  • 1991. 09. 12. : SS-061 장보고함 진수
  • 1991. 12. 12. : SSM-053 돌고래 취역
  • 1992. 10. 12. : SS-062 이천함 진수
  • 1993. 10. 14. : 독일 HDW조선소에서 대한민국 해군 최초의 잠수함 209급 1번함 '장보고함' 인수.
  • 1993. 01. 15. : 잠수함 교육훈련대 창설(현 교육훈련전대)
  • 1993. 02. 06. : 잠수함 기본과정 1기생 수료
  • 1993. 06. 02. : 장보고함 취역
  • 1993. 08. 07. : SS-063 최무선 진수
  • 1994. 03. 01. : 잠수함 기지전대 창설
  • 1994. 04. 02. : 잠수함 보급소 창설
  • 1994. 05. 21. : SS-065 박위 진수
  • 1994. 06. 20. : 국내에서 최초로 건조한 209급 잠수함 2번함 '이천함' 취역.
  • 1995. 02. 28. : SS-063 최무선 취역
  • 1995. 05. 17. : SS-066 이종무 진수
  • 1995. 08. 31. : SS-065 박위 취역
  • 1995. 10. 01. : 해군작전사령부 예하 제9잠수함전단으로 승격.
  • 1996. 05. 07. : SS-067 정운 진수
  • 1996. 08. 31. : SS-066 이종무 취역
  • 1997. 08. 30. : SS-067 정운 취역
  • 1998. 05. 13. : RIMPAC-98 이종무함 참가 (잠수함 최초 참가)
  • 1998. 05. 21. : SS-068 이순신 진수
  • 1999. 03. 25. : 이천함, 미합중국 해군 퇴역 순양함 오클라호마 시티 (CL-91) 어뢰 1발로 격침(서태평양 훈련)
  • 1999. 06. 09. : SS-069 나대용 진수
  • 2000. 02. 01. : SS-068 이순신 취역
  • 2000. 05. 06. : SS-071 이억기 진수
  • 2000. : SS-065 박위 RIMPAC 훈련에서 11척9만6000톤 격침, 최후생존
  • 2000. 12. 01. : SS-069 나대용 취역
  • 2001. 12. 01. : SS-071 이억기 취역
  • 2002. 07. 08. : SS-069 나대용 RIMPAC 훈련에서 하푼 잠대함 미사일으로 퇴역 구축함 격침(08시 46분)
  • 2003. 12. 31. : SSM-051 돌고래 퇴역(식 12월 29)
  • 2004. : 장보고함 RIMPAC 참가
  • 2005. 10. 01. : 제9잠수함전단 창설 10주년
  • 2006. 06. 09. : 214급 잠수함 1번함 '손원일함'(SS-072) 진수.
  • 2006. : SS-067 정운 RIMPAC 참가
  • 2006. 09. 01. : 손원일함 부대 창설
  • 2007. 06. 13. : SS-073 정지 진수
  • 2007. 12. 28. : SS-072 손원일 취역
  • 2008. 06. 04. : SS-075 안중근 진수
  • 2008. : SS-068 이순신 RIMPAC 참가
  • 2008. 10. 17. : 잠수함 안전운항 100만NM(185.2만km) 달성
  • 2008. 12. 02. : SS-073 정지 취역
  • 2009. 12. 01. : SS-075 안중근 취역
  • 2010. : SS-071 이억기 RIMPAC 참가
  • 2012. : SS-069 나대용 RIMPAC 참가
  • 2012. 10. 05. : 잠수함 안전운용 20주년 기념 행사
  • 2013. 07. 01. : 국제잠수함과정(ISETP) 교육 개설
  • 2013. 08. 13. : SS-076 김좌진 진수
  • 2014 : SS-068 이순신 RIMPAC 참가
  • 2014. 12. 31. : SS-076 김좌진 취역
  • 2014. 07. 03. : SS-077 윤봉길 진수
  • 2015. 02. 01. : 잠수함사령부로 승격. 초대 함대사령관 윤정상 소장.[5][6]
  • 2015. 05. 07. : SS-078 유관순 진수
  • 2015. 12. 01. : 제주기지전대 창설
  • 2016. 04. 05. : SS-079 홍범도 진수
  • 2016. 06. 20. : SS-077 윤봉길 취역
  • 2016. 11. 08. : SS-081 이범석 진수
  • 2017. 02. 01. : 제97잠수함전대 창설. 초대 전대장 최종필 대령.
  • 2017. 07. 11. : SS-078 유관순 취역
  • 2017. 09. 07. : SS-082 신돌석 진수
  • 2018. 01. 23. : SS-079 홍범도 취역
  • 2018. 09. 14. : KSS-III Batch-I 선도함 도산안창호함(SS-083) 진수
  • 2020. 06. 01. : 잠수함부대 창설 30주년
  • 2020. 11. 10. : SS-085 안무 진수
  • 2021. 08. 13. : SS-083 도산안창호 취역
  • 2021. 09. 28. : SS-086 신채호 진수

3.1. 잠수함 역사관

잠수함사령부 부지 내에 잠수함 관련 박물관이 있다.
돌고래급 잠수정(SSM)의 1번정인 돌고래-051정(SSM-051), 대한민국 해군이 나포한 북한의 유고급 잠수정(참고래급 잠수정)과 대한민국 해군의 각 잠수함이 심해로 잠항하면서 채취한 해양심층수 섞인 와인이나 외국 해군과 교류하며 얻은 기념품, 각 함정들의 모형, 제2차 세계 대전 때의 나치 독일 해군 (크릭스마리네) U보트잠수함 승조원의 복장 등 이 전시되어있다. 군 박물관치고는 전시물들이 충실한 편이다. 단, 민간에게 상시 개방하지 않고 일부 초청 행사 때에만 개방하고 있는 점이 아쉽다.

4. 역대 지휘관

{{{#!wiki style="margin: -7px -10px"
{{{#!wiki style="margin:-6px 0px; display:inline-table"
<tablebordercolor=#001B69><tablebgcolor=#001B69>
파일:잠수함사령부 부대마크.svg
}}} {{{#!wiki style="margin: -5px -2px; display: inline-table;"<tablebordercolor=#001B69><tablebgcolor=#001B69> }}}}}}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181818,#e5e5e5
파일:대한민국 해군 소장.svg
초대
윤정상
2대
박노천
3대
정일식
4대
정승균
5대
양용모
6대
이수열
7대
강정호
8대
강동구


※ 초대~현임: 소장
※ 관련 직위 둘러보기 }}}}}}}}}}}}}}}

제9잠수함전단 시절 전단장의 계급은 준장이었으나, 사령부로 격상되면서 지휘관의 계급도 해역 함대사령관과 같은 소장으로 격상됐다.

2023년, 양용모 제독이 잠수함 출신 중 최초로 해군 대장으로 진급하고 대한민국 해군참모총장으로 임명됐다.
역대 제9잠수함전단장
역대 이름 계급 임관 재임기간 비고
초대 김혁수 예) 준장 해사 25기 1995.10~1998.1 前 해군작전사 부사령관, 現 잠수함연맹 회장
2대 김종민 예) 준장 해사 26기 1998.1~1998.12 前 해군작전사 부사령관, 前 방위사업청 차장
3대 전상중 예) 준장 해사 27기 1998.12~2000.1 초대 특수전여단장
4대 안병구 예) 준장 해사 28기 2000.1~2000.12 초대 장보고함장, 前 대우조선해양 상무
5대 이홍희 예) 중장 해사 29기 2000.12~2003.3 前 해군사관학교장
6대 김정두 예) 중장 해사 31기 2003.3~2004.12 前 합동참모차장
7대 윤재갑 예) 소장 해사 32기 2004.12~2005.12 前 해군군수사령관, 21대 국회의원
8대 배일헌 예) 준장 해사 34기 2005.12~2007.11 前 초대 기초군사교육단장
9대 김광석 예) 소장 해사 35기 2007.11~2008.12 前 1함대사령관, 국군복지단장
10대 하진용 예) 준장 해사 36기 2008.12~2010.7 前 해본 전력분석시험평가단장
11대 김판규 예) 중장 해사 37기 2010.7~2011.11.29 前 해군참모차장
12대 윤정상 예) 소장 해사 38기 2011.11.29 ~ 2012.12.26# 초대 잠수함사령관, 前 해군교육사령관
13대 정우성 준장 해사 39기 2012.12.26~ 前 차세대잠수함사업단장
14대 이정모 준장 해사 40기 ~2014.1.31 前 합동참모본부 군수부장
역대 잠수함사령관[7]
역대 이름 계급 임관 재임기간 비고
초대 윤정상 예) 소장 해사 38기 2015.02.01~2016.10.25 12대 9전단장, 23대 해군교육사령관
2대 박노천 예) 소장 해사 41기 2016.10.25~2018.12.06 26대 해군군수사령관
3대 정일식 예) 소장 해사 43기 2018.12.06~2020.05 28대 해군군수사령관
4대 정승균 예) 중장 해사 44기 2020.05~2020.12 28대 해군교육사령관
5대 양용모 대장 해사 44기 2020.12~2021.12 前 합참군사지원본부장, 現 해군참모총장
6대 이수열 소장 해사 45기 2021.12~2023.11 60대 해군사관학교장
7대 강정호 중장 해사 47기 2023.11~2024.11 現 해군교육사령관
8대 강동구 소장 해사 48기 2024.11~현재 사령관

5. 조직

각 잠수함 전대에는 3척의 잠수함이 편제된다. 제93잠수함전대만 제주 해군기지에 있고 나머지는 전부 진해 해군기지에 잠수함사령부와 함께 있다. 현재 장보고급 잠수함 9척과 손원일급 잠수함 9척으로 총 6개의 전대가 편제되어 있으며, 도산안창호급 잠수함 실전 배치 후에는 장보고급 잠수함 3척이 연구·훈련용으로 돌려져서 상시 6개 전대가 될 예정이다.

5.1. 편성

  • 사령부
  • 제91잠수함전대
  • 제92잠수함전대
  • 제93잠수함전대[8]
  • 제95잠수함전대
  • 제96잠수함전대
  • 제97잠수함전대
  • 제909교육훈련전대[9]
    • 제1훈련대대
    • 제2훈련대대
    • 제3훈련대대
  • 잠수함군수지원전대

6. 타국 해군의 동급 부대

해외의 동급 부대로 미합중국 해군은 양양함대에서 각각 잠수함군이 운영되지만 舊 대서양함대인 미합중국 함대전력사령부(United States Fleet Forces Command)의 잠수함군을 더 중요시하는 편. 이는 지정학적 특성에 기인한다. 냉전 시대 미 해군 잠수함들의 주요 적수였던 소련 해군의 잠수함들은 북대서양북극해를 중심으로 활동했고 태평양에서는 알래스카의 존재 덕에 항공작전 위주의 기싸움이 벌어졌다.[10] 형식상의 간판이긴 하지만 함대전력사령부의 잠수함군 사령관이 미 해군 잠수함사령관을 겸직한다. 계급도 태평양함대 잠수함군사령관이 소장인 것에 비해 이쪽은 중장. 또한 해군핵추진프로그램이라는 해군부 직속의 4성제독 보직이 있는데, 말 그대로 해군 함정에 탑재하는 원자로를 관리하는 부서의 최고 책임자이다. 미 해군 수상함 중 항공모함이 핵추진이므로 항공모함의 기관 분야 출신 장교 또한 소수 있지만 100% 핵추진으로 이루어진 잠수함 출신 장교들의 비중이 매우 크다.

7. 기타

  • 잠수함 출신 항해장교들은 자기 특기를 살리는 TO가 이전에는 제9잠수함전단전단장준장까지였고,(해사 29기 이홍희 제독, 31기 김정두 제독 중장 예편) 다른 직책을 받아도 소장 정도가 최상위[12]였으나, 잠수함 부대의 최상급 단위가 소장으로 격상됨에 따라 진급 기회가 더욱 늘어날 것으로 보인다. 제9잠수함전단 시절부터 치면 초대 지휘관은 해군 준장 김혁수 제독(해사 25기)[13]이다. 잠수함사령관 직책을 처음으로 가질 인물로는 잠수함사령부 창설준비단장인 해군 소장 윤정상 제독(해사 38기, 소장 전역)이 전단장에서 함대사령관으로 올라가는 식으로 승계하며 진급했다. 제9잠수함전단장 출신인 김판규 제독(해사 37기, 중장 전역)의 경우 2015년 4월 장성 정기인사에서 해군사관학교장이 되면서 중장으로 진급했다. 2015년은 이래저래 잠수함 업계의 겹경사다.
  • 잠수함 승조원장교부사관으로만 구성되기 때문에 수병은 육상 근무자만 있다. 과거에는 잠수함사령부 소속 수상함이[14] 있었기 때문에, 함상 근무 수병도 있었다. 1군 승함 직별을 받고 잠수함사령부에 배치받아 육상 근무만 한다고 생각하고 해상병 622기 이후로 낚여서 가는 사람이 있었다고. 하지만 그 수상함이 2020년에 퇴역했기 때문에 이제는 잠수함사령부에 배치된 수병들은 육상 근무만 한다.
  • 잠수함이 갖는 전략적 중요성으로 인해, 잠수함사령부는 진해 해군기지 안에 있음에도 별도의 초병과 철책을 깔아놓았다. 때문에 여기 관련 인력이 아니라면 같은 해군이라도 잠수함사령부는 함부로 못 들어간다.[15]
  • 여담으로 출항할 일이 거의 없는 구조함 계열을 퇴창시운전이라는 명목으로 매주 출항하게 하는 악명으로 인해 해군 해난구조전대에서는 잠수함사령부를 원망하는 웃픈 경우가 많다.

8. 관련 영상






[1] 'ROKN Submarine Force Command'은 '대한민국 해군 잠수함사령부'를 한국어순으로 번역한 것으로, 'Submarine Force Command, ROK Navy' 또는 U.S. 7th Fleet(미 제7함대)의 예처럼 ROK Submarine Force Command가 적절한 영어식 표기다.[2] 꿈이 있는 자 도전하고!, 도전하는 자 창조한다![3] 꿈을 지닌 용사들아, 신비의 세계에 도전하여, 해군의 새 역사를 창조하라.[4] 다만 이런 편제에 대한 실효성 논란이 있기도 하다. 한국보다 앞서 조직한 다섯 개국은 해군의 비중이 대한민국 보단 높고, 대양과 접하고 있어 잠수함대의 작전, 교육, 군수가 유기적으로 함께 운용되는 부대가 필요하다. 반면 대한민국은 대양에 접하지도 않았고, 해군의 비중이 높지 않으므로 굳이 별도의 사령부를 운용해야 하는지에 대해 논란이 있다. 하지만 미국, 일본을 제외한 다른 3개국 중 대한민국 보다 잠수함 보유 척수가 많은 국가는 없다. 대한민국이 보유한 잠수함의 숫자는 세계에서 10위권 안이고, 또한 서방 최초로 SLBM 발사 가능한 중형 재래식 잠수함인 도산안창호급 잠수함을 보유했다는 점에서 잠수함사령부 창설의 명분이 없던 것도 아니었다.[5] 해군사관학교 38기로, 잠수함사령관, 해군교육사령관, 해군본부 인사참모부장을 거쳐 해군 소장으로 예편하였다.[6] 사령부는 한동안 진해기지사령부 관할 부지 내의 제9잠수함전단 건물을 그대로 쓰다가, 2015년 12월에 진해 해군기지 내 신청사 완공 후 이전했다.[7] 볼드로 강조된 이름은 대장 진급이 된 사령관[8] 제주 해군기지 주둔[9] 제57잠수함전대와 함께 잠수함교육훈련대로 창설. 이후 제9잠수함전단으로 승격하면서 제909교육훈련전대로 개편되었다.[10] 물론 냉전시대 이후 21세기에는 북한이란핵개발을 하다보니 태평양의 중요성이 더욱 높아지며 의전상으로 딱딱 구분하는 것이 무의미해졌다.[11] 미국해군사관학교 1983년 졸업자로 대한민국 해군사관학교 37기에 상당한다. 대한민국 잠수함사령관인 윤정상 제독은 해사 38기이다.[12] 함대를 지휘하게 될 경우 보통은 제2함대보다는 제1함대로 가는 경향이 있다. 역사적으로도 북한 해군은 똑같이 도발을 하더라도 서해에서는 수상 경비정들이 난리를 피우는 반면 동해에서는 (반)잠수정들이 은밀하게 넘어오는 경우가 많았고, 또한 서해의 환경 자체가 잠수함들에겐 짜증나는 환경이다.[13] 동명이인으로 개설된 문서는 김혁수 국무조정실 대테러센터장(육사 42기, 중장 전역)이다.[14] 다도해함(ASL-50, 잠수함 시운전 지원)[15] 부산 해군기지 함정 공개행사 때에도 잠수함에 대한 직접 사진 촬영은 제지 당했다. 표면 상태도 보안이라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