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edium Tank, M4A4 | |||||
파생형 | 실전 | 운용국 | 미디어 | 모형 |
1. 개요
M4 셔먼 시리즈 중 M4A4의 운용국 일람 문서.해당 셔먼은 미 본국에서 사용되지 않고, 영국, 캐나다 등의 영연방 국가들에 주로 지원되었으며, 전후에는 해당 국가들이 다시 수출함에 따라 세계 각지로 퍼져나갔다.
2. 아메리카
2.1. 북아메리카
2.1.1. 미국
올드 아이언사이드스 박물관 소장 미국 육군 소속 M4A4 |
이 때문에 미 본토에 존재하는 M4A4는 극소수이며, 이마저도 다수가 벨기에나 프랑스에서 역수입한 개체가 다수인 형편.
2.1.2. 캐나다
캐나다 전쟁 박물관 소장 캐나다 육군 제21캐나다기갑연대 소속 셔먼 V 네임드 차량 "포스풀 III" CT228619번차[1] |
이 밖에도, 독일군이 노획하여 KwK40의 머즐브레이크를 장착한 셔먼 VC를 탈환하였으며, 이는 현재 네덜란드의 기병 박물관이 소장하고있다.
2.2. 남아메리카
2.2.1. 아르헨티나
아르헨티나군 합동참모본부 소장 아르헨티나 육군 소속 셔먼 V |
2.2.2. 파라과이
파라과이 육군 대통령 경호연대 소속 셔먼 레포텐시아도 |
3. 유럽
3.1. 동유럽
3.1.1. 소련
애국 공원 소장 소련 육군 소속 M4A4[2] |
3.2. 서유럽
3.2.1. 영국
보빙턴 전차 박물관 소장 영국 육군 근위 전차여단 소속 셔먼 VC |
당장 쓸 차량이 부족한 영국군에게는 차량 자체는 매우 좋았지만, 영국군은 티거를 매우 자주 조우했기에 75mm M3 40구경장 전차포의 저화력은 끊임없이 영국군을 괴롭혔다.
그랬기에 영국군은 화력이 끝내주지만, 대신 무겁고 포구화염이 너무 강한 17파운더를 어떻게든 자주화를 시도하려 했는데, 그때 눈에 띄인게 바로 다른 셔먼과 달리 덩치가 더 크고, 엔진이 더 안정적인 M4A4였다. 그래서 대다수의 차량이 셔먼 ARV Mk.V, 셔먼 V DD, 셔먼 V 크랩, 그리고 셔먼 VC로 개조되었다. 이러한 사연 탓에 기본형 M4A4가 극히 드문 편이다.
추가로 영국에서 초기형 M4A4 셔먼을 복원하는데 성공했다. 차량번호는 T146309로, 퓨리에 출연하기도 했다.
현재는 보빙턴 전차 박물관에 소장 중인 초기형 단차를 의장용으로 운용 중에 있다.
3.2.2. 프랑스
키엔츠하임 박물관 소장 프랑스 육군 소속 M4A4 네임드 차량 "여우" |
3.2.3. 네덜란드
베스트카펠레 섬 전쟁기념비 전시 네덜란드 왕립 육군 소속 셔먼 V 크랩[3] |
3.2.4. 벨기에
케빈 위트크로프트 컬렉션 벨기에 왕립 육군 소속 셔먼 VC[4] |
3.3. 중부유럽
3.3.1. 나치 독일
네덜란드 기병 박물관 소장 독일 국방군 노획 셔먼 VC "30126631번차"[5] |
서부전선과 이탈리아 전선에서 영국군으로부터 셔먼 VC를 노획한 독일 국방군은 이를 같은 시기 노획한 아킬레스 자주포와 같이 사용했는데, 부품의 수급 문제로 이를 다시 유기하는 일이 잦았다고 한다.
특히, 독일 국방군은 노획한 일부 개체의 머즐브레이크를 독일제 7,5cm KwK 40 전차포와 동일한 것으로 교체하여 사용하기도 했으며, 현존하는 마지막 독일 노획 셔먼 VC 또한 KwK 40의 머즐브레이크를 장착하고 있다.
3.3.2. 폴란드
제2차 세계 대전 박물관 소장 자유 폴란드 육군 제1기갑사단 소속 셔먼 VC "T228497번차" |
자유 폴란드군 소속 셔먼 VC 기동 영상 |
이 밖에도 셔먼 VC 한 량을 복원하여 제2차 세계 대전 박물관에 소장 및 의장용으로 사용하고 있는데, 이 단차는 모든 부품이 남아있어 직접 기동 시연도 가능할 정도로 상태가 매우 좋다.[6]
3.3.3. 스위스
툰 전차 박물관 소장 스위스 육군 소속 셔먼 V |
3.4. 남유럽
3.4.1. 이탈리아
피아나 델레 올메 박물관 소장 이탈리아 육군 소속 셔먼 VC |
3.5. 북유럽
3.5.1. 스웨덴
아르세날렌 전차 박물관 소장 스웨덴 육군 소속 셔먼 VC |
테스트 결과 셔먼 자체의 성능에서는 호평하였으나 셔먼의 중량과 더불어 기동성이 스웨덴 환경에 적합하지 않다고 판단하여 채택을 거부하고 기존의 스트리스방 m/42를 사용하기로 결정했다고 전해진다.
1948년 프랑스로부터 구매한 6호 전차 B형을 수송하는 과정에서도 무포탑의 셔먼 V를 동원했다.
테스트에 사용되었던 셔먼 VC는 현재 아르세날렌 전차 박물관이 소장하고 있다.
4. 아시아
4.1. 동아시아
4.1.1. 중화민국
사열 중인 중화민국 육군 소속 셔먼 V 전차대대 |
국공내전 이후, 타이완 섬으로 피신한 국민혁명군은 직전 본토에 수많은 기갑장비를 망실했기 때문에, 극소량의 M4A4, T-26과, M3 스튜어트, M5 스튜어트, M8 스콧, M10 GMC 등 밖에 없었으며, 이로 인하여 장웨이궈 소장과 그 휘하 장병들은 태평양 인근의 도서지역과 섬들을 돌아다니면서 전차를 사들이고 있었다.
이 시기 임시전차대 소속 인원들의 운용 경력을 통해 현재 중화민국군을 가장 빠르게 무장할 수 있으며, 또한 이를 운용하면서 습득한 노하우를 통해 인원들의 훈련을 빠르게 할 수 있다는 장점으로 장웨이궈 소장은 셔먼을 주력 전차로 사용하기로 낙점하였고, 영국으로부터 셔먼 V 24대를 추가로 가져와 수리하여 60년대까지 주력으로 사용했다.
"이보다 1945년 6월에 중경의 제1지대장 명령에 의거, 구대장 김준은 전방 공작원을 제외한 장철부(張哲夫) 등 30여 명을 운남성(雲南省)에서 실시하게 된 한·미 합동 기갑부대(機甲部隊) 전차훈련반(戰車訓鍊班)에 입교시키려고 중경 지대 본부로 후송하였으나, 8·15 해방으로 전차 교육 계획은 부득이 중단되었으며...[8]"
1945년 8월, 안중달 지사는 중국 윈난(雲南)의 한·미 합동 기갑부대(機甲部隊) 전차훈련반(戰車訓鍊班)에서 받을 3개월 과정의 교육 훈련 계획에 따라 충칭(重慶)에 갔다가, 8.15 광복으로 교육 훈련 계획이 중단되었다.[9]
한국광복군 또한 미군의 도움을 받아 쿤밍 및 원난 성에 주둔 중이던 제1임시전차대와 접촉하여 M4A4를 공여받고자 했던 기록이 남아있다. 그러나 때 마침 광복이 이루어지면서 이 계획은 중단되었다고.
4.2. 동남아시아
4.2.1. 미얀마
랑군 칸다우기 공원 소장 미얀마 육군 소속 셔먼 V |
4.3. 서아시아
4.3.1. 이스라엘
야드 라 시론 기갑 박물관 소장 이스라엘 육군 소속 M-3 셔먼 |
이 밖에도 이스라엘군은 총 8량의 M4A4 (FL-10)을 노획하여 잠시간 운용하다 한 량을 제외하고는 전부 M-50으로 개수하여 사용했다.
셔먼 V 크랩의 경우 "셔먼 모라그 (שרמן מורג)"이라는 제식명을 부여하여 운용했다.
4.3.2. 요르단
요르단 왕립 전차 박물관 소장 요르단 왕립 육군 소속 셔먼 V[10] |
4.3.3. 레바논
티레 군기지 소장 레바논 육군 소속 셔먼 VC |
특이하게도 레바논이 사용한 셔먼 VC는 보조 조종수용 전방기총을 다시 복원시켜 사용했다.
4.4. 남아시아
4.4.1. 인도
알월 RSI 연구소 소장 인도 육군 소속 셔먼 V 크랩 |
이 중 일부 차량의 경우 스튜어트 전차를 사용하던 미군에게 역으로 공여되었는데, 이 차량들은 다시 국민당군 소속의 제1임시전차대 소속으로 사용되었다.
제2차 세계 대전 전후에도 사용했는데, 방글라데시 독립전쟁 당시까지도 헌역으로 사용되었다.
4.4.2. 파키스탄
노셰라 전쟁기념관 소장 파키스탄 육군 소속 셔먼 V |
5. 아프리카
5.1. 북아프리카
5.1.1. 이집트
카이로 국립 군사사 박물관 소장 이집트 육군 소속 M4A4 (FL-10) |
현재는 카이로 국립 군사사 박물관 및 엘 알라메인 전쟁박물관에 M4A4 (FL-10)이 각각 한 량씩 전시되어 있다.
5.2. 남아프리카
5.2.1. 남아프리카 연방
남아프리카 연방 방위군 제6기갑사단 11기갑여단 프레토리아 연대 C분대 소속 셔먼 VC |
[1] 1944년 7월 노르망디에 상륙하여 프랑스, 네덜란드, 벨기에, 독일에서 전투를 치른 차량이다.[2] 일련번호 5639. 1942년 10월 크라이슬러에서 생산된 차량이다.[3] 지뢰제거장치가 탈거되었다.[4] 일련번호 5942. 1942년 11월 크라이슬러 사에서 생산되었다.[5] 해당 단차는 후일 독일 본토 진격전 중, 캐나다군에 의해 탈환되었다고 한다.[6] 폴란드 내에서 포탑이 없이 방치되고 있던 차체를 사용했다고 한다. 포탑은 벨기에 왕립 군사 박물관에 있던 포방패가 유실된 물품을 가져왔고, 엔진은 젤츠 社의 엔진을 사용하였다.[7] 포탑이 없다는 언급이 있기에 기본 M4A4가 아니라 셔먼 V ARV Mk I로 추정된다.[8] 독립운동사(국가보훈처) 6권 제3편 광복군의 후기 활동, 제1장 각 부대의 활동, 제2절 제1지대 p. 377[9] 디지털 성주 문화대전 http://www.grandculture.net/seongju/toc/GC08400804[10] 미군 도장으로 재작업된 상태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