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wiki style="margin: 0 -10px -2px; color:#100000,#fff" {{{#!folding [ 메서슈미트 항공기 목록 ] {{{#!wiki style="margin-bottom:-26px" | 민항기 | |
<colbgcolor=#f1f1f1,#151515><colcolor=#366> 연락기 | Bf 108 | |
경주기 | Me 209 | |
여객기 | MeC 164 | |
군용기 | ||
전투기 | Bf 109 ‧ | |
쌍발 전투기 | Bf 110 ‧ | |
수송기 | Me 321 ‧ Me 323 | |
폭격기 | ||
제트기 | ||
로켓전투기 | ||
헬리콥터 | Bo-105 | |
정찰기 | Bf 108 ‧ Me 261 | }}} ※ 제조사별 항공기 둘러보기}}}}}} |
[1]
1. 개요
MBB Lampyridae, 독일 메서슈미트 뵐코브 블롬(Messerschmitt Bölkow Blohm, MBB)이 연구, 개발, 생산했었던 스텔스 전폭기 프로토타입이다.람피리데(Lampyridae)라는 이름은 반딧불이의 학명에서 유래했다.
2. 상세
각종의 풍동 시험과 RCS 측정 시험 끝에 모형이 완성되자 미국 국방부 관계자들, 미국 공군 장성급 장교들을 초청해서 공개하였다. 당시에 F-117은 매우 높은 기밀 등급으로 분류되어서 정보가 유출된 적이 없었는데 이것과 매우 똑같은 형상의 스텔스 항공기가 공개되자 미국 국방부 관계자들, 미국 공군 장성급 장교들은 경악을 금치 못하였다고 한다.람피리데 스텔스 전폭기 프로토타입은 F-117보다 항공 역학적으로 비교를 할 수 없는 수준으로 더 안정되었고 스텔스 성능은 더 뛰어났고 항공 역학적인 이유로 최고 속도가 마하 0.95, 아음속인 F-117과는 다르게 초음속이었다.
람피리데 스텔스 전폭기 프로토타입의 성능이 매우 뛰어나서 MBB의 직원들은 람피리데 스텔스 전폭기가 독일 공군의 도입 요청을 받아서 대량 생산 단계에 진입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었다. 그러나 세계 최초의 스텔스 항공기 기록을 빼앗길 것을 우려한 미국이 람피리데 스텔스 전폭기와 관련된 과학, 기술이 동독에서 활동 중인 블랙 요원들에 의해서 유출될 수 있다며 협박에 매우 가까운 수준의 압력을 가해서 연구, 개발, 생산이 중단되었다. 동 시대 모든 항공기들 중에서 안정성이 가장 최악이었고 스텔스, 탑재되었던 광학 장비들을 제외하면 결함이 매우 많은 항공기라고 해도 될 수준의 성능을 보였었던 F-117을 공식적으로 공개해서 세계 최초의 스텔스 항공기 기록을 독일로부터 빼앗았다. 람피리데 스텔스 전폭기 프로토타입은 독일 뮌헨에 있는 독일 박물관(Deutsches Museum)에 전시되어 있다.
하지만 몇 년 뒤에 독일 통일 후 국방비 축소로 인하여 독일 연방군에서 프로젝트 축소를 매우 많이 진행했었다는 것을 감안하면 실전 배치가 이뤄졌을 가능성은 낮을 것으로 추측되었다. 연구, 개발, 생산 소요 시간은 6년 ~ 7년은 더 걸릴 수 있고 그렇게 되면 람피리데 스텔스 전폭기의 생산이 종료되는 때는 1990년대 초반 ~ 1990년대 후반이 되었을 것이다. 이 때 독일은 통일 과정에서 매우 많은 예산을 지출하여 경제 상황이 매우 좋지 않았었다. 이 때 람피리데 외에도 EADS Mako/HEAT[2] 프로젝트, 도르니에(Dornier Flugzeugwerke)의 LA-2000(미국의 A-12 Avenger II와 매우 유사한 항공기이다.)도 취소되었다. 독일 통일 이후에 교체가 필요하거나 연구, 개발, 생산이 완료되기 이전 단계의 일부 프로젝트를 제외하고 전부 다 취소했었다. 예시로 레오파르트 2 전차는 미국 육군의 M1A2 전차와 교전을 할 수 있는 수준으로만 정하고 사격 통제 장치, 컴퓨터 등의 전자 장비는 개량하지 않았었다.
만약에 생산을 했었다면 구형 항공기들을 대체해야 하는 항공기의 수가 수백여 기에 해당되었으므로 최소한 100여 기 이상은 생산되었을 것이다.
3. 외부 링크
4. 둘러보기
| |||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 <colbgcolor=#87CEFA> 1940년대 | <colbgcolor=#EEE,#333> 영국 | <colbgcolor=#fefefe,#191919>미티어 | 뱀파이어 | 어태커 | 시호크 |
나치 독일 | Me 262 | He 162 | He 280 | ||
1950년대 | 영국 | 라이트닝 | 베놈 | 시빅슨 | 스위프트 | 자벨린 | 헌터 | 시미터 | 버캐니어 | 폴랜드 냇 | |
이탈리아 | 피아트 G.91 | ||
스위스 | |||
스웨덴 | J 21R | J 29 툰난 | J 32 란센 | ||
유고슬라비아 | J-451MM | ||
1960년대 | |||
영국 | |||
독일 | |||
스웨덴 | J 35 드라켄 | ||
유럽합작 | SEPECAT 재규어 | ||
1970년대 | 영국 | 해리어 | 시해리어 | |
독일 | |||
스웨덴 | AJ 37 비겐 | ||
유럽합작 | 파나비아 토네이도 | ||
1980년대 | |||
영국 | 해리어 II | 토네이도 ADV | ||
독일 | |||
루마니아 | |||
1990년대 | 영국 | 호크 200 시리즈 | |
이탈리아-브라질 | AMX 인터내셔널 AMX | ||
스웨덴 | JAS 39 그리펜 | ||
체코 | L-159 ALCA | ||
유고슬라비아 | |||
2000년대 | 유럽합작 | 유로파이터 타이푼 | |
2010년대 | 이탈리아 | M-346FA | |
2020년대 | 스웨덴 | FS2020 | |
튀르키예 | 휴르제트 공격형 | TAI 칸 | 바이락타르 크즐엘마 무인 전투기 | 앙카-3 무인 전투기 | ||
2030년대 | GCAP | CCA(Collaborative Combat Aircraft) 무인 전투기 | ||
유럽합작 | FCAS | ||
※ | |||
}}}}}}}}} |
✈️ 항공병기 둘러보기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wword-break:keep-all"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25%" {{{#!folding ⠀[ 대전기 1914~1945 ]⠀ {{{#!wiki style="margin: -5px -1px -10px" | <colbgcolor=#3D3137>1차 세계대전 | 협상군 | 독일 제국군 | 동맹군 | ||||||
전간기 | 프랑스 | |||||||||
2차 세계대전 | 미국 | 영국 | 나치 독일 | 일본 제국 | ||||||
[[틀:2차 세계대전/이탈리아 항공기| 이탈리아 왕국 ]] | 소련 | 노르웨이 | 스웨덴 | |||||||
핀란드 | 덴마크 | 스위스 | 태국 | |||||||
프랑스 | 중화민국 | [[틀:2차 세계대전/체코슬로바키아 항공병기| 체코슬로바키아 ]] | [[틀:2차 세계대전/불가리아군 항공기| 불가리아 왕국 ]] | |||||||
헝가리 왕국 | 스페인 | 만주국 | [[틀:2차 세계대전/몽골 항공병기| 몽골 인민 공화국 ]]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25%" {{{#!folding ⠀[ 냉전기 1945~1991 ]⠀ {{{#!wiki style="margin: -5px -1px -10px" | 제1세계 | 미 공군 | 미 해군 | 서독 | |||
제2세계 | 소련 | 동독 | 폴란드 | |||||||
제3세계 | [[틀:냉전/유고슬라비아 항공기| 유고슬라비아 ]]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25%" {{{#!folding ⠀[ 현대 1991~ ]⠀ {{{#!wiki style="margin: -5px -1px -10px" | 북미 | 미 공군 | 미 해군 | 캐나다 | 멕시코 | ||||
''' 중미/카리브 ''' | [[틀:현대전/도미니카 공화국 항공병기| 도미니카 공화국 ]] | 쿠바 | [[틀:현대전/과테말라 항공병기| 과테말라 ]] | [[틀:현대전/엘살바도르 항공병기| 엘살바도르 ]] | ||||||
온두라스 | ||||||||||
<colbgcolor=#3d3137>남미 | 브라질 | 우루과이 | [[틀:현대전/아르헨티나 항공병기| 아르헨티나 ]] | 칠레 | ||||||
볼리비아 | 파라과이 | 페루 | 에콰도르 | |||||||
콜롬비아 | 베네수엘라 | |||||||||
서유럽 | 영국 | 프랑스 | 네덜란드 | 벨기에 | ||||||
아일랜드 | 룩셈부르크 | |||||||||
중부유럽 | 독일 | 폴란드 | [[틀:현대전/오스트리아 항공병기| 오스트리아 ]] | 스위스 | ||||||
체코 | [[틀:현대전/슬로바키아 항공병기| 슬로바키아 ]] | 헝가리 | [[틀:현대전/슬로베니아 항공병기| 슬로베니아 ]] | |||||||
남유럽 | 이탈리아 | 스페인 | 포르투갈 | 그리스 | ||||||
루마니아 | 불가리아 | [[틀:현대전/크로아티아 항공병기| 크로아티아 ]] | 세르비아 | |||||||
[[틀:현대전/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항공병기|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 [[틀:현대전/몬테네그로 항공병기| 몬테네그로 ]] | [[틀:현대전/북마케도니아 항공병기| 북마케도니아 ]] | 알바니아 | |||||||
키프로스 | 튀르키예 | |||||||||
북유럽 | 스웨덴 | 노르웨이 | 덴마크 | 핀란드 | ||||||
동유럽 | 러시아 | [[틀:현대전/우크라이나 항공병기| 우크라이나 ]] | 벨라루스 | 몰도바 | ||||||
조지아 | [[틀:현대전/아르메니아 항공병기| 아르메니아 ]] | [[틀:현대전/아제르바이잔 항공병기| 아제르바이잔 ]] | ||||||||
동아시아 | 대한민국 | 일본 | 중국 | 대만 | ||||||
북한 | 몽골 | |||||||||
''' 동남아시아 ''' | 태국 | 베트남 | [[틀:현대전/말레이시아 항공병기| 말레이시아 ]] | 싱가포르 | ||||||
[[틀:현대전/인도네시아 항공병기| 인도네시아 ]] | 필리핀 | 브루나이 | 미얀마 | |||||||
라오스 | 캄보디아 | |||||||||
''' 남아시아 ''' | 인도 | 파키스탄 | [[틀:현대전/방글라데시 항공병기| 방글라데시 ]] | 스리랑카 | ||||||
네팔 | [[틀:현대전/아프가니스탄 이슬람 토후국 항공병기| 아프가니스탄 ]] | [[틀:현대전/아프가니스탄 항공병기| | ||||||||
''' 중앙아시아 ''' | [[틀:현대전/카자흐스탄 항공병기| 카자흐스탄 ]] | [[틀:현대전/우즈베키스탄 항공병기| 우즈베키스탄 ]] | [[틀:현대전/타지키스탄 항공병기| 타지키스탄 ]] | [[틀:현대전/키르기스스탄 항공병기| 키르기스스탄 ]] | ||||||
[[틀:현대전/투르크메니스탄 항공병기| 투르크메니스탄 ]] | ||||||||||
서아시아 | 이스라엘 | [[틀:현대전/사우디아라비아 항공병기| 사우디아라비아 ]] | 이란 | 이라크 | ||||||
쿠웨이트 | 시리아 | [[틀:현대전/바트주의 시리아 항공병기| | 레바논 | |||||||
요르단 | [[틀:현대전/아랍에미리트 항공병기| 아랍에미리트 ]] | 카타르 | 바레인 | |||||||
오만 | 예멘 | |||||||||
''' 오세아니아 ''' | 호주 | 뉴질랜드 | [[틀:현대전/파푸아뉴기니 항공병기| 파푸아뉴기니 ]] | |||||||
''' 북아프리카 ''' | 이집트 | 리비아 | 튀니지 | 알제리 | ||||||
모로코 | 수단 | 자유 리비아 (~'11) | ||||||||
''' 동아프리카 ''' | [[틀:현대전/에티오피아 항공병기| 에티오피아 ]] | 지부티 | 소말리아 | 케냐 | ||||||
탄자니아 | 모잠비크 | 우간다 | 르완다 | |||||||
[[틀:현대전/마다가스카르 항공병기| 마다가스카르 ]] | 코모로 | |||||||||
''' 서아프리카 ''' | [[틀:현대전/나이지리아 항공병기| 나이지리아 ]] | 세네갈 | 니제르 | 말리 | ||||||
기니 | 모리타니 | 가나 | 토고 | |||||||
''' 중아프리카 ''' | 차드 | 카메룬 | 가봉 | [[틀:현대전/콩고 공화국 항공병기| 콩고 공화국 ]] | ||||||
콩고민주공화국 | ||||||||||
''' 남아프리카 ''' | 남아공 | 보츠와나 | 나미비아 | 레소토 | ||||||
앙골라 | 잠비아 | 짐바브웨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25%" {{{#!folding ⠀[ 제트전투기의 계보 ]⠀ {{{#!wiki style="margin: -5px -1px -10px" | 미국 | 러시아 | 프랑스 | 유럽 | 아시아 | }}}}}}}}}}}} |
[1] 사진의 것은 축소형으로 실제 항공기의 1/4 정도 크기이다.[2] 독일, 이탈리아의 공동 프로젝트로 시작했었지만 이탈리아가 M-346을 독자적으로 연구, 개발, 생산을 하기 위해서 프로젝트에서 이탈했었다. 이후에 DASA 중심으로 연구, 개발을 했었고 이후에 관련된 독일 기업, 외국 기업들의 경우에는 하청의 형태로 참여했었다. EADS가 설립되고 DASA가 EADS 산하로 들어간 이후에 EADS Mako/HEAT로 변경되어 연구, 개발 중에 취소되었다. 항공기의 크기나 지향하는 것이 KAI T-50 Golden Eagle과 거의 같아서 계획대로 생산하였으면 대한민국 정부 입장에서 수출에 매우 불리할 가능성이 매우 높았었다. 외형은 4세대 기체인 T-50에 비해서 Mako/HEAT의 경우 스텔스를 매우 고려한 형태가 드러났었고 성능이 더 고성능이었기 때문이다. 그리고 독일은 미국제 전폭기들을 면허 생산한 경험이 있었고 파나비아 토네이도, 알파 제트(Dassault/Dornier Alpha Jet), Rockwell-MBB X-31 등의 프로젝트를 진행하면서 독자적으로 군용기를 연구, 개발, 생산할 수 있는 무기 과학, 기술을 축적시켰다. 그러나 독일의 현재 국방비로는 단독으로 스텔스 항공기 연구, 개발, 생산은 매우 힘들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