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 1940년대 | <colbgcolor=#EEE,#333> 미그 | <colbgcolor=#fefefe,#191919>MiG-9 파고 | MiG-15 파곳 |
수호이 | |||
야코블레프 | Yak-15 페더 | Yak-17 페더 | | ||
라보츠킨 | La-15 팬테일 | | ||
알렉세예프 | I-21 | I-212 | ||
1950년대 | 미그 | MiG-17 프레스코 | MiG-19 파머 | MiG-21 피쉬베드 | |
수호이 | Su-7 피터-A | Su-9 피쉬포트 | ||
야코블레프 | Yak-25 플래시라이트-A | Yak-27 플래시라이트-C | ||
일류신 | |||
라보츠킨 | |||
1960년대 | |||
미그 | |||
수호이 | Su-11 피쉬포트-C | Su-15 플래건 | Su-17 피터-C | ||
야코블레프 | Yak-28 파이어바 | ||
투폴레프 | Tu-128 피들러 | ||
1970년대 | 미그 | MiG-23 플로거 | MiG-25 폭스배트 | MiG-27 플로거-D/J | |
수호이 | Su-24 펜서 | ||
야코블레프 | Yak-38 포저 | | ||
1980년대 | |||
미그 | MiG-31 폭스하운드| MiG-29 펄크럼 | ||
수호이 | Su-20 피터-C/D | Su-22 피터-K | Su-25 프로그풋 | Su-27 플랭커 | ||
일류신 | |||
1990년대 | 미그 | ||
수호이 | Su-30 플랭커-C | Su-33 플랭커-D | Su-34 풀백 | ||
야코블레프 | |||
2000년대 | 미그 | MiG-29M 펄크럼-E / "슈퍼 펄크럼" | |
수호이 | Su-30M 플랭커-G | Su-35 플랭커-E | Su-37 "터미네이터" / 플랭커-F | Su-47 "베르쿠트" / 펄킨 | ||
야코블레프 | Yak-130 미튼 | ||
2010년대 | 미그 | MiG-29K 펄크럼-D | MiG-35 펄크럼-F | |
수호이 | Su-34M | Su-35S | Su-57 펠론 / PAK-FA | ||
2020년대 | 미그 | PAK-DP | | |
수호이 | Su-75 "체크메이트" | ||
※ | |||
※둘러보기 : | }}}}}}}}} |
| |||||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315288,#7697ce {{{#!folding [ 수호이 항공기 목록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000,#e5e5e5 | 민항기 | ||||
<colbgcolor=#c0c0c0,#3f3f3f> 곡예기 | Su-26 ‧ Su-29 ‧ Su-31 | ||||
여객기 | 야코블레프 SJ-100 ‧ | ||||
수송기 | Su-80 | ||||
군용기 | |||||
전투기 | Su-27/30 ‧ Su-33 ‧ Su-35/37 ‧ | ||||
공격기 | Su-6 ‧ Su-7 ‧ Su-17/20/22 ‧ Su-25 ‧ Su-39 | ||||
전폭기 | Su-2 ‧ Su-9 ‧ Su-10 ‧ Su-24 ‧ Su-32/34 | ||||
폭격기 | |||||
요격기 | Su-9 ‧ Su-15 | ||||
훈련기 | }}} | ※ 제조사별 항공기 둘러보기 | }}}}}}}}}}}} |
1. 개요
수호이 설계국에서 개발한, 러시아 해군의 항공모함 어드미럴 쿠즈네초프급의 함재기로 개발되었던 Su-33의 복좌 훈련기.2. 개발사
개발 코드명 T-10KUB, 즉 Su-27 (T-10)의 함재형 (K)의 훈련기 (UB)로 시작되었으며, 1995년~98년 사이 수호이의 KnAAPO 공장에서 제작되었다. Su-27KUB란 명칭은 훗날 Su-33UB로 변경되었다.항전장비는 파조트론 N-014 레이더를 탑재하였으며, AL-31F 기반의 추력 편향 노즐이 장착되었다.
1999년 4월 29일 첫 비행을 했으나, 소련 붕괴 이후 매우 혼란스러웠던 러시아와 러시아군의 상황, 그리고 그중에서도 찬밥 신세였던 해군이 한줌 수준인 쿠즈네초프 항공대에 큰 돈을 들여 Su-33UB를 구매할 상황은 아니었기에, 시제기 1대 'Blue 21'만이 제작되고 채용은 취소되었다. 그나마 본래 쓰일 곳이던 쿠즈네초프 갑판에서 이착함 시험을 해보기라도 한 게 다행.
3. 여담
노란색의 프라이머 컬러와 파란색의 Su-33 컬러가 섞인 시제기 사진들에서 보면 알 수 있듯이, Su-32나 Su-34의 함재기화가 아니고 Su-33을 기반으로 개량된 기체다. 주된 식별점으론- Su-34와 달리 IRST 유지, 윈드실드 정면 중앙에 장착.
- 급유 프로브 장착. Su-30KI나 Su-34에서 보이던 반매립식.
- Su-34처럼 병렬 복좌식 콕핏과 캐노피를 갖고 있으나, 레이돔은 Su-33의 원뿔형을 유지.
- Su-34와 달리 등짝 스피드 브레이크 유지.
- 랜딩 기어, 테일붐, 어레스팅 후크는 Su-33과 동일.
- 카나드, 주익, 미익 모두 대형화된 독자 규격을 사용하지만, 주익의 플랩은 Su-33과 동일.
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