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5-25 11:20:21

고속버스 서울경부-공주

파일:서울특별시 휘장.svg 문서가 존재하는 서울특별시 출발 시외버스 및 고속버스 노선
{{{#!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min-width: 15%; min-height: 2em;"
{{{#!folding [ 서울경부 ]
{{{#!wiki style="margin: -5px -1px -17px"
<colbgcolor=#8f8f8f,#555555> 고속/시외
수도권 ↔안성 ↔ 여주 ↔평택 ↔안중
↔용인 ↔이천 ↔여주프리미엄아울렛 ↔포천,운천
강원권 ↔강릉 ↔원주 ↔ 원주기업도시, 원주혁신도시 ↔동해,삼척
↔영월 ↔ 양양,속초 ↔춘천 ↔신철원,동송
충청권 ↔공주 ↔금산 ↔대전복합 ↔대전청사
↔세종 ↔제천 ↔ 청주 ↔아산탕정
↔천안 ↔아산온양 ↔조치원
영남권 ↔경주 ↔구미 ↔김해 ↔동대구
↔부산 ↔부산사상 ↔ 울산 ↔진주
↔마산 ↔창원 ↔상주 ↔통영
↔포항 ↔영천 ↔점촌 ↔안동,영덕
↔ 풍기,영주 ↔예천,경북도청
}}}}}}}}}
[ 서울호남 ]
||<tablewidth=100%><tablebgcolor=#fff,#1c1d1f><colbgcolor=#8f8f8f,#555555><-5> 고속버스/전환시외 ||
충청권 ↔논산,연무대 ↔유성 ↔충주 ↔당진
↔청양 ↔서산 ↔태안 ↔안면도
↔ 내포,홍성 ↔덕산,예산 ↔보령
호남권 ↔광주 ↔여수 ↔군산 ↔순천
↔완도 ↔익산 ↔전주 ↔영광
↔동광양 ↔녹동 ↔남원 ↔흥덕,고창
↔봉동,진안 ↔전북강진,순창 ↔김제,함평 ↔무안,남악,진도
↔(강진,나주혁신도시,영암/장성,능주,화순),장흥 ↔무안,해제,지도 ↔장성,문장,함평 ↔옥과,벌교,보성
↔부안 ↔정읍,담양 ↔목포,해남
시외버스
충청권 시외버스 서울호남-청주시외↔청주,보은,속리산 ↔청주북부,청주공항,청주대 ↔증평,괴산
[ 동서울 ]
||<tablewidth=100%><tablebgcolor=#fff,#1c1d1f><colbgcolor=#8f8f8f,#555555><-5> 고속버스/전환시외 ||
강원권 ↔강릉고속 ↔동해 ↔삼척고속 ↔양양,속초고속
충청권 ↔청주고속 ↔대전복합
호남권 ↔광주 ↔전주
영남권 ↔동대구 ↔부산 ↔부산사상 ↔마산
↔진해 ↔창원 ↔진주
시외버스/전환고속
수도권 ↔청평,가평 ↔포천 ↔의정부,포천 ↔ 양평, (홍천)
↔양평, (횡성) ↔일동,(와수리) ↔일동,(사창리) ↔인천
↔안산 ↔안성 ↔평택 ↔장호원
강원권 ↔춘천,화천 ↔홍천 ↔횡성 ↔ 문막,원주
↔영월,고한,태백 ↔와수리,산양리 ↔양양,속초시외 ↔장평,진부,강릉시외,주문진
↔사창리,다목리 ↔신철원 ↔동송
충청권 ↔청주시외,(보은,속리산) ↔ 제천 ↔유성 ↔세종,자운대
↔청주북부,청주대 ↔천안 ↔천안,아산 ↔서산,태안
↔ 충주
영남권 ↔안동,(청송,영양,영덕) ↔문경,안계 ↔문경,상주 ↔울산
↔함양,지리산 ↔현풍,의령 ↔구미 ↔양산,해운대
↔경주,포항
호남권 ↔순천,여수
[ 상봉 ]
||<tablewidth=100%><tablebgcolor=#fff,#1c1d1f><width=5000px> ↔원주 ||
[ 서울남부 ]
||<tablewidth=100%><tablebgcolor=#fff,#1c1d1f><colbgcolor=#8f8f8f,#555555><width=5000px> 고속버스 ||<-2> ↔고현 ||<-2> ↔세종 ||
시외버스
수도권 ↔용인 ↔안성 ↔평택
충청권 ↔광혜원,진천 ↔충북혁신도시,진천 ↔음성 ↔청주,보은,속리산
↔청주,보은,(상주) ↔서산,태안 ↔계룡 ↔합덕
↔천안 ↔청주북부,청주공항,청주대
영남권 ↔남해 ↔상주 ↔산청,진주 ↔현풍,창녕,부곡
↔고성,통영 ↔마산남부,진해,용원 ↔양산,해운대
호남권 ↔전주,임실 ↔전주혁신도시,전주대 ↔전주,한일장신대
[ 잠실역 ]
||<tablewidth=100%><tablebgcolor=#fff,#1c1d1f><colbgcolor=#8f8f8f,#555555><width=5000px> 강원권 ||<width=80%> ↔춘천 ||
||

파일:20220212_093029.jpg 파일:서울경부-공주_1638.png

1. 노선 정보2. 개요3. 역사4. 특징
4.1. 운임표
5. 연계 철도역

1. 노선 정보

고속버스 서울경부 ↔ 공주
기점 서울특별시 서초구 반포동(서울고속버스터미널) 종점 충청남도 공주시 신관동 (공주종합버스터미널)
공주행 첫차 06:45 서울행 첫차 06:00
막차 23:35 막차 20:30
운수사명 금호고속 배차간격 20~80분
상세 노선 서울고속버스터미널경부고속도로논산천안고속도로 ↔ ( 북공주JC서산영덕고속도로(연결도로)공주IC ) or ( 정안IC23번 국도 ) ↔ 32번 국도공주종합버스터미널

2. 개요

서울특별시충청남도 공주시를 잇는 고속버스 노선. 금호고속에서 단독으로 운영하고 있다.

3. 역사

1970년 6월 17일 운행했던 서울 ↔ 광주 노선의 공주 경유를 시초로 보고 있다.[1][2][3]

1976년 1월17일 서울-광주에서 분리되어 신설되었다.[4]

2002년에 논산천안고속도로, 2009년 당진대전고속도로(현 서산영덕고속도로) 개통으로 현재 운행경로로 변경되었다.[5][6]

4. 특징

  • 노선의 방향을 볼 때 호남선으로 보는 것이 적당하나, 서울고속버스터미널(경부선 터미널)로 간다. 서울경부발 고속/시외버스 노선들 중 유일하게 정안알밤휴게소를 지나가고 정안알밤휴게소를 지나는 노선들 중 유일하게 서울경부로 들어간다. 반대의 예로는 서울호남~유성, 괴산(증평), 충주 노선이 있다.
  • 일반 철도로의 접근이 불가능한 상태에서 KTX 공주역을 이안숲 근처에 지었으면 세종특별자치시공주시 두 도시가 모두 KTX를 이용할 수 있었을 텐데, 뭔 이상한 곳에 지어놔서 공주역에서 공주 시내까지 승용차 기준으로 최단 25분 정도가 걸리나 시내버스를 이용한다면 위에 적힌 것보다 약 10~15분을 추가해야 한다. 거기에 시내버스가 방금 가 버리는 불상사까지 발생하면, 1시간 가량은 잡아야 한다. 더 자세한 내용은 공주역 문서로. 이 때문인지 매진까지는 아니더라도, 주말은 당연하고 평일에도 수요가 많이 있는 편이다. 덕분에 금호고속에서도 단거리 노선들 중에서 꽤 신경쓰고 있는 노선이다.
  • 주말에 서울발 차량은 매진이 일상이다. 빠르게는 오후 2~3시쯤부터 매진이 되기 시작하며, 심하면 서울경부에서 승차 홈을 공용하는 동양고속아산 차량을 전후하여 임시차가 배차되고 심하면 23:35 막차 이후에도 임시차가 배차되기도 한다.
  • 이 노선은 중간에 2개 루트가 존재한다. 하나는 공주 나들목을 출입하여 정안알밤휴게소를 지나는 루트, 하나는 정안 나들목으로 출입하는 루트. 고속도로 교통 상황에 따른 승무사원의 재량으로 선택적으로 갈 수 있다. 참고로 과거엔 십중팔구 정안 나들목으로 출입했었고, 논산천안선이 아예 막힐 경우엔 남풍세/남천안 나들목까지 올라가 운행하는 경우도 있으며 심한 경우엔 1번 국도 루트를 타기도 한다.
  • 2019년 3월 요금 인상 전까지는 일반고속 8,000원, 우등고속 9,000원, 심야우등 9,900원이라는 말도 안 되는 요금을 자랑했다.[9] 물론 요금이 오르면서 다 옛날 이야기. 심지어 9,000원에서 10,800원으로 올렸다가, 2019년 6월 1일부터 11,900원으로 또 올렸다. 인상 전에는 심야우등도 10,000원이 안 넘었는데, 이제는 평시에도 10,000원을 넘긴다. 거기다가 2021년 6월 28일부로 요금을 정상화하면서 서울 ↔ 세종 고속버스 노선과 요금이 비슷해졌다.
  • 2020년 12월 1일부로 공주서울 방면의 상행 막차가 22:00로 조정될 예정이다. 따라서 심야우등은 서울공주 방면의 하행 2회만 남을 예정이다. 2021년 공주발 막차가 20:30으로 칼질되어 심야 운행이 중지된 상태다.(서울발 심야우등 23:35는 현재도 운행 중) 따라서 공주에서 막차를 놓쳤으면 21:00 출발 천안행 시외버스를 타고 천안으로 가서 서울행 시외버스로 갈아타거나 천안역[10]으로 가서 철도로 갈아타야 한다.
  • 박수현이 국회의원으로 활동했을 때 이 노선을 타고 서울로 올라가면서 민심을 듣는 것으로 유명했다. 그래서 이를 본뜬 책 제목 이름이 "박수현고속버스 의원실"이다.
  • 코로나로 인하여 대다수의 고속버스/시외버스의 감차나 휴차, 심하면 편성 자체(예: 우등/일반 → 우등만 운행)가 바뀌어버리는 반면, 이 노선은 감차만 되고 우등/일반/프리미엄 모두 운행 중이다.
  • 코로나19의 여파로 감편되었는데, 공주대학교가 전면 대면수업을 하는 바람에 대부분의 편성에서 절반 이상을 채우고 운행한다. 다만 금호고속이 경영난으로 많은 차량을 매각 혹은 대차했기 때문에 우등고속은 협정차량이 매우 자주 들어온다.
  • 2022년 3월 21일부로 공주대학교의 요청으로 인하여 월요일날 서울발 한정으로 07시 05분 차량이 증차되었다.
  • 2022년 9월 부로 서울발 막차는 23시 35분으로 변경되었고 심야우등도 22시 15분과 23시 35분으로 바뀌었다. 토요일에는 그 사이로 임시편성이 자주 배차되니 예매에 참고할 것.
  • 코로나 팬데믹 이후로 고속/시외버스 회사들의 경영난과 인력난 등의 여파가 이 노선에도 영향을 주고 있다. 그것은 바로 일상이 되어버린 협정운행으로, 우등과 프리미엄에 매일같이 전세버스 차량이 운행되고 있다.[11]

4.1. 운임표

일반 우등 프리미엄 심야우등
성인 9,300원 13,700원 17,800원 15,000원
아동 4,700원 6,900원 8,900원 7,500원
프리미엄 버스는 7%의 할인이 적용된다. 할인시 성인기준 16,600원

5. 연계 철도역



[1] https://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aver?articleId=1970061900239108006&editNo=1&printCount=1&publishDate=1970-06-19&officeId=00023&pageNo=8&printNo=15132&publishType=00010[2] 참고로 광주-공주 노선은 2015년에서야 다시 개통되었다. 물론 공주 경유 세종행으로.[3] 이 당시에는 버스회사마다 터미널을 따로 쓰던 시절이라 서울경부와 서울호남으로 나누는 개념이 없었으며, 반포동에 고속터미널이 생긴 뒤로도 얼마동안은 전라도 방면 고속버스 노선도 지금의 서울경부에서 시종착했다. 지금처럼 전라도 방면 고속버스 노선이 센트럴시티에서 시종착하게 된 건 1978년부터.[4] https://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aver?articleId=1976011700239107003&editNo=1&printCount=1&publishDate=1976-01-17&officeId=00023&pageNo=7&printNo=16855&publishType=00010[5] 그 전까지는 천안나들목에서 국도로 다녔으며 아직 23번 국도의 개량이 이뤄지지 않았던 시기였다.[6] 천안나들목 진출입하던 시절에 만든 노선이라 호남선이 아닌 경부선 발착인것이다.[7] 참고로 정안 환승을 적용해도 공주발은 10~15분이면 바로 갈 수 있기에 비효율적이다. 물론 중간 휴식을 하지 않고 잠시 정차만 하는 형태로 할 수는 있겠지만 전체적인 소요시간이 늘어나는 건 마찬가지다. 또한 고속도로 개통(휴게소 영업 개시) 이후로 인가 변경도 없었다.[8] 서울-구미 노선도 비슷하게 공주 노선처럼 선산휴게소를 경유하지 않는다. 심지어 이 노선은 단거리 노선이라 휴게소를 경유할 이유가 없는 서울-공주 노선과 달리 중거리 노선이라 휴게소를 한번 들어가야 하는데도.[9] 체감이 안 될 수도 있는데 서울발 기준 정안알밤휴게소보다 더 멀리 가면서도 우등고속 요금이 더 낮다는 것이다. 당시 정안알밤휴게소행은 일반고속 7,000원, 우등고속 10,200원이었다.[10] 수도권 전철 1호선을 이용하려면 두정역으로 갈 수도 있다. 단, 1호선은 주말에는 금천구로 가는 게 아닌 이상 타면 안된다.[11] 협정운행 차량은 실시간 위치 조회가 안되므로, 궁금하다면 티머니GO로 조회해보면 알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