則 법칙 칙/곧 즉 | |||||||
부수 및 나머지 획수 | <colbgcolor=#fff,#1f2023> 刀, 7획 | 총 획수 | <colbgcolor=#fff,#1f2023> 9획 | ||||
중학교 | |||||||
- | |||||||
일본어 음독 | ソク | ||||||
일본어 훈독 | すなわ-ち, のっと-る | ||||||
则 | |||||||
표준 중국어 | zé | ||||||
*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신자체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
[clearfix]
1. 개요
則은 '법칙 칙'이라는 한자로, '법칙(法則)', '규칙(規則)' 등을 뜻한다. '곧 즉'이라고도 하는데, 이는 卽(곧 즉)과 통한다.2. 상세
유니코드에는 U+5247에 배당되어 있으며, 창힐수입법으로는 BCLN(月金中弓)으로 입력한다.금문 | 소전 |
則은 세발솥 정(鼎)에 칼 도(刂)가 더해진 글자로 솥에 칼로 새기는 모습을 본뜬 회의자이다. 옆에 있는 鼎은 전서화 과정에서 단순화 되면서 貝의 형태가 되었을 뿐으로 조개 패(貝)와는 관련이 없다. 다만, 이미 소전부터 貝의 형태를 띄고 있었기 때문에 이러한 사실이 금문과 갑골문이 본격적으로 연구되기 시작한 청나라 시대 이후에야 밝혀진지라 과거에는 화폐를 상징하는 貝에 刀를 합한 글자로 해석되고는 했다.[1] 비슷하게 鼎이 貝로 단순화된 사례로 인원 원(員)자가 있다.
이 글자는 한국에서는 어조사로 사용될 때는 즉으로, 규칙이라는 뜻으로 사용될 때는 칙으로 읽으나, 원래는 "즉"이라는 음가밖에 존재하지 않으며, 칙이라는 음가는 속음이다. 실제로 이 글자가 성부로 사용되는 글자는 대부분 '즉' 내지 '측'으로만 발음되며(側,測,厠등) 칙으로 발음되지는 않는다. 한국 한자음에서 "직" 혹은 "칙"으로 발음되는 글자는 대부분 職운에 속하거나 정치음 章조에 속하는 성부가 職운에 결합하였을 때 나타나는데, 이 글자는 반절이 子德切 하나밖에 없는 글자로 치두음 精母[ts]와 德운이 결합된 한자인지라 본음은 "즉" 한 가지밖에 없다.[2] 이러한 이유로 중국에서는 zé로 읽으며, 일본에서는 ソク로 읽는다.
하지만 정작 Windows에서 '즉'을 치고 한자 키로 則으로 변환하려고 하면 목록에 나오지 않고, '칙'을 쳐야 목록에 나온다.
3. 용례
설명했듯이 '즉' 음으로 어조사를 사용하기 때문에 고사성어는 대부분 '즉'으로 나온다.3.1. 단어
- 각칙(各則)
- 교칙(校則)
- 규칙(規則)
- 내칙(內則)
- 반칙(反則)
- 방칙(方則)
- 벌칙(罰則)
- 범칙(犯則)
- 법칙(法則)
- 변칙(變則)
- 본칙(本則)
- 사칙연산(四則演算)
- 세칙(細則)
- 수칙(守則)
- 원칙(原則)
- 정칙(正則)
- 준칙(準則)
- 철칙(鐵則)
- 통칙(通則)
- 학칙(學則)
- 회칙(會則)
3.2. 고사성어/숙어
3.3. 인명
- 고칙성(高則成)
- 기노 도모노리(紀 友則)
- 나가야마 노리오(永山 則夫)
- 노리마키 아라레(則巻 アラレ)
- 노리모토 타카히로(則本 昂大)
- 사시로미야 사샤(左城宮 則紗)
- 사카노우에노 고레노리(坂上 是則)
- 시타야 노리코(下屋 則子)
- 오라나랍 유칙(烏拉那拉 柔则)
- 오자와 카즈노리(小澤 和則)
- 진나이 토모노리(陣内 智則)
- 임칙서(林則徐)
- 측천황후(則天皇后)
3.4. 지명
3.5. 창작물
4. 유의자
5. 모양이 비슷한 한자
6. 이 글자를 성부로 삼는 글자
- 𠗧(성엣장 시)
- 䶡(씹는소리 실, 물 색)
- 𧍡(마디충 적)
- 𠷌(두런거릴 즉)[5]
- 萴(바꽃 즉/측)
- 鰂(오징어 즉)
- 崱/𡺢(잇닿을 즉)
- 鍘(삭도 찰)
- 𩮆(머리털깎을 척)
- 䈟(물건자르는소리 철)
- 側(곁 측)
- 𣖡(나무이름 측)
- 厠/廁(뒷간 측)
- 𥠉(벼촘촘한모양 측)
- 惻/𢝔(슬퍼할 측)
- 𢯩(칠 측)
- 測(헤아릴 측)
- 𡍫(가로막을 칙)
- 𣉇(법칙 칙)
- 𡬷