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1-21 09:19:43

빌 기
부수
나머지 획수
<colbgcolor=#fff,#1f2023>
, 4획
총 획수
<colbgcolor=#fff,#1f2023>
9획
고등학교
[A]
일본어 음독
일본어 훈독
いの-る
[A]
표준 중국어
*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신자체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 괄호를 친 독음은 특이한 상용독음을,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독음은 비상용독음 또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1. 개요2. 상세3. 용례4. 유의자5. 모양이 비슷한 한자

1. 개요

祈는 '빌 기'라는 한자로, '빌다', '기도(祈禱)하다' 등을 뜻한다.

2. 상세

한자문화권의 언어별 발음
한국어 <colbgcolor=#fff,#1f2023>빌다
중국어 표준어
광동어 kei4
객가어 khì
민북어
민동어
민남어
오어 jji (T3)
일본어 음독
훈독 いの-る
베트남어 kỳ
유니코드에는 U+7948에 배당되어 있고, 창힐수입법으로는 IFHML(戈火竹一中)로 입력한다.

뜻을 나타내는 (보일 시)와 소리를 나타내는 (근/날 근)이 합쳐진 형성자이다.

3. 용례

3.1. 단어

3.2. 고사성어/숙어

3.3. 인명

3.4. 지명

3.5. 창작물

3.6. 기타

4. 유의자

5. 모양이 비슷한 한자

  • (가자미 개)
  • (불친소 건)[3]
  • (거울 규)
  • (가슴걸이 근)
  • 𧣊[⿰角斤](근 근)
  • (도끼 근, 대패 은)
  • (도울 근)
  • 𪏴[⿰黍斤](차질 근)
  • (경기 기)
  • (도마 기, 공경할 근)
  • (물이름 기)
  • (바구미 기)
  • (산곁에놓여있는돌 기)
  • (헤아릴 료)[4]
  • 𧪷[⿰⿱⿴廿乂言斤](선할 서)
  • (쪼갤 석)
  • (바 소)
  • (모탕 은)
  • (웃을 은, 입벌린모양 의, 들을 청)
  • (으르렁거릴 은)[5]
  • (잇몸 은, 싸울 인)
  • 𪛊[⿰龠斤](큰피리 은)
  • 𢏂[⿰弓斤](끌 인)[6]
  • (꺾을 절)
  • (일찍죽을 절)
  • 𨠇[⿰酉斤](짐작할 짐)[7]
  • 𧿧[⿰𧾷斤](해이할 척)
  • 𧯞[⿰豆斤](싸움 투)[8]
  • (기뻐할 흔)
  • (기뻐할 흔, 화평할 은, 교합할 희)
  • (기쁠 흔)
  • (무거울 흔, 수레안말 근)
  • (아름다울 흔)
  • (해돋을 흔)
  • (화끈거릴 흔)
  • 𥝹[⿰禾斤](과)
  • 𩐙[⿰音斤](근)
  • 𣁰[⿰斗斤](료)
  • (사)
  • 𠦉[⿰十斤]
  • 𫥁[⿰冫斤]
  • 𭅉[⿰勿斤]
  • 𨸢[⿰⻖斤]
  • 𪷀[⿰浗斤]
  • 𪯲[⿰方斤]
  • 𭭜[⿰止斤]
  • 𭯐[⿰昆斤]
  • 𤤆[⿰⺩斤]
  • 𪿆[⿰矛斤]
  • 𬔘[⿰立斤]
  • 𧘻[⿰衤斤]
  • 𦕄[⿰耳斤]
  • 𧵆[⿰貝斤]
  • 𪌍[⿰麥斤]
  • 𬸻[⿰鹿斤]
  • 𱌓[⿰鼻斤]

[A] (보일 시)변이 ⺬의 형태가 아닌 ⺭의 형태이다.[A] (보일 시)변이 ⺬의 형태가 아닌 ⺭의 형태이다.[3] (불친소 건)의 동자[4] (헤아릴 료)의 동자[5] (으르렁거릴 은)의 동자[6] (끌 인)의 동자[7] (짐작할 짐)의 동자[8] (싸움 투)의 속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