祭 제사 제 | |||||||
부수 및 나머지 획수 | <colbgcolor=#fff,#1f2023> 示, 6획 | 총 획수 | <colbgcolor=#fff,#1f2023> 11획 | ||||
중학교 | |||||||
- | |||||||
일본어 음독 | サイ | ||||||
일본어 훈독 | まつ-る, まつ-り | ||||||
- | |||||||
표준 중국어 | jì, zhài | ||||||
*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신자체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
[clearfix]
1. 개요
祭는 '제사 제'라는 한자로, '제사(祭祀), '잔치' 등을 뜻한다.2. 상세
한자문화권의 언어별 발음 | ||
한국어 | 훈 | <colbgcolor=#fff,#1f2023>제사 |
음 | 제 | |
중국어 | 표준어 | jì, zhài |
광동어 | zai3 | |
객가어 | chi | |
민북어 | ci̿ | |
민동어 | cié | |
민남어 | chè | |
오어 | ji (T2) | |
일본어 | 음독 | サイ |
훈독 | まつ-る, まつ-り | |
베트남어 | tế |
유니코드에는 U+796D에 배당되어 있으며, 창힐수입법으로는 BOMMF(月人一一火)로 입력한다.
고기의 모양을 본뜬 肉(고기 육), 오른손의 모양을 본뜬 又(또 우), 그리고 제단의 모양을 본뜬 示(보일 시)가 합쳐진 회의자이다. 제단 위에 손으로 고기를 얹어, 제물을 올리고 제사를 지낸다는 뜻을 나타내었다.
참고로 나라 이름으로 쓰일 때는 채라고 발음된다.
특수한 음으로서, 유교 제사에서 대표로 술잔을 올리는 직책을 가리키는 단어인 좨주(祭酒)에 쓰일 때는 '좨'라고 읽는다.
3. 자형
갑골문 | 금문 | 소전 |
4. 용례
4.1. 단어
- 관혼상제(冠婚喪祭)
- 국자좨주[1](國子祭酒)
- 기우제(祈雨祭)
- 사제(司祭)
- 삭제(朔祭)
- 제구(祭具)
- 제기(祭器)
- 제단(祭壇)
- 제대(祭臺)
- 제례(祭禮)
- 제물(祭物)
- 제사장(祭司長)
- 제사(祭祀)
- 제수(祭需)
- 제식(祭式)
- 제정분리(祭政分離)
- 제정일치(祭政一致)
- 차제(差祭)
- 축제(祝祭)
4.2. 고사성어/숙어
4.3. 인명
4.4. 지명
4.5. 창작물
4.6. 기타
5. 이체자
- 𥙊[⿱癶示](U+2564A)
- 𨢵[⿰酉祭](U+288B5)
6. 유의자
- 祻(제사 고)
- 䄐(제사 권)
- 𧗒[⿹幾血](제사 기)
- 祣(제사 려)
- 祀(제사 사)
- 𥜃[⿰示睪](제사 역)
- 䄁(제사 예)
- 奠(정할/제사 전)
- 䄚(제사 조)
- 祑(제사 질)
- 禘(제사 체)
- 𨡉[⿰酉⿳⺕冖又](제사 침)
- 祊(제사 팽)
- 𥛘[⿰示畢](제사 필)
- 䄆(제사 활/괄)
- 禈(제사 휘)
7. 모양이 비슷한 한자
8. 이 글자를 성부로 삼는 한자
- 𨶫[⿵門祭](마칠 결)[2]
- 暩(빛날 계)
- 㡜(비단조각 설)
- 㗫(소곤거리는말 절)
- 穄(검은기장 제)
- 傺(묵을 제)
- 漈(물가 제)
- 憏(실의할 제)
- 鰶(전어 제)
- 𨢵[⿰酉祭](제사 제)[3]
- 際(즈음/가 제)
- 㻮(옥빛 찬)[4]
- 𣘤[⿰木祭](나무이름 찰, 살랑거리는소리 살)
- 察(살필 찰)
- 縩(고운옷 채)
- 𨝋[⿰祭⻏](고을이름 채)
- 蔡(성 채)
- 瘵(허로병 채)
- 𧫕[⿰言祭](바른말 철)
- 𨄊[⿰𧾷祭](빨리갈 철)
- 䏅(귀밝을 체)
- 摖(긁을 체)
- 𥉻[⿰目祭](볼 체/찰)
- 磜(섬돌 체)[5]
- 䄞(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