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3-06 21:49:48

드물 희
부수
나머지 획수
<colbgcolor=#fff,#1f2023>
, 7획
총 획수
<colbgcolor=#fff,#1f2023>
12획
고등학교
준3급
-
일본어 음독
キ, ケ
일본어 훈독
うす-い, まれ
-
표준 중국어
*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신자체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 괄호를 친 독음은 특이한 상용독음을,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독음은 비상용독음 또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1. 개요2. 상세3. 용례4. 유의자5. 모양이 비슷한 한자

1. 개요

稀는 '드물 희'라는 한자로, '드물다', '성기다', '묽다' 등을 뜻한다.

2. 상세

한자문화권의 언어별 발음
한국어 <colbgcolor=#fff,#1f2023>드물다
중국어 표준어
광동어 hei1
객가어
민북어
민동어
민남어 hi
오어 xi (T1)
일본어 음독 キ, ケ
훈독 うす-い, まれ
베트남어 thuế

유니코드에는 U+7A00에 배당되어 있으며, 창힐수입법으로는 HDKKB(竹木大大月)로 입력한다.

뜻을 나타내는 (벼 화)와 소리를 나타내는 (바랄 희)가 합쳐진 형성자이다.

일본에서 稀는 인명용 한자이며, 일상에서는 대부분 상용한자 로 쓴다. 희소(希少), 희박(希薄), 희토류(希土類) 등.

3. 용례

3.1. 단어

3.2. 고사성어/숙어

3.3. 인명

3.4. 지명

4. 유의자

  • (드물 라)
  • (드물 한)

5. 모양이 비슷한 한자

  • (산곁으로돌 기)
  • /(꾸밀 식)
  • (가는칡베 치)
  • (여자의자 치/희)
  • 𢬾[⿰扌希](퍼질 포)
  • 𢓬[⿰彳希](송사할 해, 비슷할 희)
  • (궂은살나올 흔)
  • 𨿛[⿰隹希](꿩 희)[2]
  • (나무썩을/국자 희)
  • (달리는모양 희)
  • //𧳐[⿰豸希](돼지 희)
  • (마를 희)
  • (말린청어알 희)
  • (말소리 희)
  • (물이름 희)
  • (바다독충 희)
  • (바라볼 희)
  • (불빛 희)
  • (비슷할 희)
  • (사람이름 희)
  • (원할 희)
  • 𪖥[⿰鼻希](잠자는숨소리 희)
  • 𧣩[⿰角希](좋은뿔 희)
  • (훌쩍훌쩍울 희)
  • 𪌹[⿰麥希](치)
  • 𧶖[⿰貝希](희)
  • 𨡂[⿰酉希](희)
  • 𱖱[⿰土希]
  • 𫹇[⿰㣇希]
  • 𮁻[⿰示希]
  • 𮖆[⿰衤希]
  • 𦖁[⿰耳希]
  • 𩊽[⿰革希]

[1] 흔히 '희안하다'로 잘못 쓰곤 하는데, (드물 한)의 음은 '한'이므로 '희한하다'가 옳다.[2] (꿩 희)의 동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