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11-27 17:50:47

만날 봉
부수
나머지 획수
<colbgcolor=#fff,#1f2023>
, 7획
총 획수
<colbgcolor=#fff,#1f2023>
11획
중학교
-
일본어 음독
ホウ
일본어 훈독
あ-う
-
표준 중국어
féng
*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신자체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 괄호를 친 독음은 특이한 상용독음을,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독음은 비상용독음 또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1. 개요2. 상세3. 자형4. 용례5. 유의자6. 상대자7. 모양이 비슷한 한자

1. 개요

逢은 '만날 봉'이라는 한자로, '만나다', '마주치다', '맞이하다' 등을 뜻한다.

2. 상세

한자문화권의 언어별 발음
한국어 <colbgcolor=#fff,#1f2023>만나다
중국어 표준어 féng
광동어 fung4
객가어 kháu / fùng
민북어 ǒ̤ng
민동어 hùng[文] / pùng[白]
민남어 hông
오어 von (T3)
일본어 음독 ホウ
훈독 あ-う
베트남어 phùng

유니코드에는 U+9022에 배당되어 있으며, 창힐수입법으로는 YHEJ(卜竹水十)로 입력한다.

뜻을 나타내는 (쉬엄쉬엄갈 착)과 소리를 나타내는 (끌 봉)이 합쳐진 형성자이다.

3. 자형

파일:41_E9BB.svg파일:41_E9BC.svg파일:41_E9BD.svg파일:41_E9BE.svg
갑골문

4. 용례

4.1. 단어

4.2. 고사성어/숙어

4.3. 인명

4.4. 지명

4.5. 창작물

5. 유의자

  • (만날 우)
  • (만날 조)
  • (만날 해)
  • (만날 후)

6. 상대자

  • (이별할 결)
  • (떠날 리)
  • (다를 별)[3]
  • (흩을 산, 흩어질 산)
  • (이별할 흔)

7. 모양이 비슷한 한자

  • (막을 방)

[文] 문독[白] 백독[3] '다르다'라는 뜻 외에 '나누다', '이별하다'라는 뜻이 있다. '이별'의 '별'이 바로 別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