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시나무왕 いばらの王 | |
| |
장르 | SF, 서바이벌 액션, 서스펜스 |
작가 | 이와하라 유지 |
출판사 | |
연재처 | 코믹 빔 |
레이블 | 빔 만화 |
연재 기간 | 2002년 10월 ~ 2005년 10월 |
단행본 권수 |
[clearfix]
1. 개요
이와하라 유지 원작의 만화. 6권 완결. 코믹 빔에서 연재했다.[1] 국내에도 대원씨아이에서 발매하였으나 절판. 2009년에는 극장판 애니메이션으로도 제작되었다,원제는 いばらの王, 직역하면 '가시덤불의 왕'으로, 가시나무와 가시덤불은 느낌이 약간 다르다.
영화와 같은 그림체와 연출이 특징으로, 스토리면에서도 영화와 비슷한 느낌을 받을 수 있다. 작가도 여기에 대해서 아예 의식하고 그렸다는 걸 밝힌 바 있다.[2] 작가의 말에서는 영화로 제작되면 좋을텐데~ 비슷한 언급을 꺼낸 적도 있다. 뭐 극장판 애니메이션도 영화라면 영화니...
참고로 이와하라 유지는 애니 DARKER THAN BLACK 시리즈의 캐릭터 디자이너로도 유명하다. 이와하라 유지 이름을 알려준 대표작으로 상당히 히트했다고 한다. 정발 당시 국내에서 팬덤을 형성할 만큼 뜨거운 인기를 보였다.
2. 줄거리
메두사라는 몸이 돌처럼 변해 사망하는 정체불명의 전염병이 세계적으로 유행하게 된다. 메두사로 자식을 잃은 한 부호가 재산을 기증하여, Cold Slip Capsule Center라는 단체를 만든다. 그리고 메두사에 걸린 사람들 중 160명을 추첨하여 냉동캡슐에 넣고 치료법이 발견될 때까지 보관하게 된다. 주인공 카스미 역시 불안감을 안고 냉동캡슐 안으로 들어가게 되지만, 눈을 떠 보니 치료실 주변엔 빽빽하게 자라난 가시덩굴과 박쥐와 닮은 괴물들로 가득한데... 그들이 잠들어 있던 동안 무슨 일이 있었던 걸까?
스토리 면에서는 반전요소가 꽤 들어가 있는 일종의 성장 스토리다. 주인공이 중학생(정확한 나이는 불명) 소녀이니만큼 감수성이 많고 같이 살아난 사람, 특히 건장한 남자에다 전직 크래커인 마르코 오엔[3]을 중심으로 이런저런 수라장을 헤쳐가는 내용이 핵심이다. 초중반부엔 생존물이지만, 후반부에서는 차차 진실이 밝혀지면서 성장물&심리물(?)로 바뀐다.처음에는 주인공 카스미를 비롯한 사람들이 가시나무에 뒤덮인 치료실 안에서 깨어나는 것으로 시작된다. 주변에는 온갖 괴생물체들이 우글거렸고 사람들은 여기서 탈출하기 위해 난리가 난다. 이후 몇몇이 엘리베이터를 발견하고 그걸 탑승하려 하지만, 엘리베이터 안에 있던 괴물에게 습격당해 전직 의원, 마르코, 피터, 카스미, 캐서린, 팀, 론을 제외한 모두가 사망하고 만다.
일행은 한동안 이 상황에 대해 혼란스러워하지만 결국 여기에 있어봤자 좋을 거 없다는 걸 깨닫는다. 이후 마르코를 리더로 삼아서 구조물들을 해쳐나가지만 전직 의원이 가장 먼저 죽고[4], 카스미를 대리고 도망치려던 피터도 자신이 아는 만큼의 진상[5]을 이야기해주지만 건물이 붕괴할 때의 잔해에 깔려서 사망한다. 그리고 카스미에게 자신이 입수한 레벨 4의 자료가 담긴 파일을 전해준다.
다시 마르코 일행과 합류하게 된 카스미는 마르코를 의심스러워하지만 온갖 난관을 해쳐나가는 와중에 그를 점점 더 신뢰하게 된다. 그러면서도 틈만 나면 자신에게 찾아오는 시즈쿠의 환영에 시달리며 괴로워한다.[6]
3. 발매 현황
01권 | 02권 | 03권 |
| | |
| | |
04권 | 05권 | 06권 |
| | |
| | |
4. 등장인물
4.1. 주연
- 시즈쿠 - 성우: 센다이 에리
카스미의 쌍둥이 자매.
- 마르코 오웬 - 성우: 모리카와 토시유키
4.2. 조연
- 피터 스티븐스 - 성우: 미키 신이치로
- 캐서린 - 성우: 오오하라 사야카
- 론 - 성우: 노무라 켄지
- 팀 - 성우: 야지마 아키코
- 알렉산드로 페치노 - 성우: 히로타 코세이
- 제우스
- 아이반 코랄 베가 - 성우: 이소베 츠토무
- 아리스(앨리스) - 성우: 쿠노 미사키
- 라우라 오웬 - 성우: 카와스미 아야코
5. 미디어 믹스
5.1. 극장판
2009년에 극장판으로 제작. 감독은 카타야마 카즈요시. 총작화감독 온다 나오유키.
극장판의 러닝 타임에 맞게 스토리를 압축시키는 과정에서 후반부 스토리가 대거 잘려나가 원작과는 전혀 다른 전개의 결말이 되었다. 우선 원작의 최종보스라고 할 수 있는 '제우스'의 등장이 완전히 삭제되면서 제우스의 반란과 생존자 멤버들의 메두사 각성 등의 묘사가 크게 바뀌었고, 첫번째 메두사 감염자인 앨리스의 행보도 많이 다르다. 작품의 주제가 되는 카스미와 시즈쿠의 이야기는 얼추 원작과 비슷하게 완결되었으나 작품의 또다른 주인공이라고 할 수 있는 마르코 오엔의 과거사는 전혀 다른 방향으로 설정이 변경되고 결말도 크게 바뀌고 말았다.[7] 원작판 마르코 오엔의 팬들이 극장판을 좋게 보지 못하는 이유도 어찌보면 당연한 것.
영상 면에서는 2D 작화와 3D 랜더링을 부분부분 섞어가며 제작되었으나 아직 3D 랜더링 영상을 2D와 자연스럽게 녹여내는 부분이 많이 부족했던 시기인지라 좋은 평은 받지 못했다.
다만 스팀보이 제작진이 제작해서 2D와 3D의 위화감 외에는 영상미는 괜찮으며 평론가 히카와 류스케는 즐길거리가 많은 오락 작품이라고 호평했다. # 해외 영화제에도 초청을 많이 받았다. 스토리보다는 영상 표현에 중점을 두고 만든 애니메이션이다.
국내에서는 전주국제영화제에서 상영된 적이 있다. 2012년 6월 28일 한국 개봉. 상영관은 아리랑시네센터 단 한 군데. 통합전산망 통계는 잡히지 않았다. 이후 2013년 DVD와 BD도 정발되었다.
6. 기타
- 원작판의 경우 한국에서는 결말이 막장이라는 평이 많은데, 수왕기를 방불케하는 영화촬영과 막판 반전[8]은 어디까지나 보너스 페이지다. 작가의 차기작인 학원창세 묘천의 1권 권말 부록 페이지에서 가시나무왕 단행본의 마지막 보너스 페이지를 작품의 진짜 결말이라고 착각해서 곤란했다는 언급을 한다. 일본 본토의 팬덤에서도 꽤나 논란이 됐던 모양.[9]
[1] 가시나무왕 이전까지만 하더라도 코믹 빔은 다소 컬트적인 성향이 강했던 편이다. 가시나무왕과 엠마, 방랑소년 연재하면서 잡지가 많이 대중적으로 변한 편.[2] 실제 작가가 영화광이고 판매수익으로 본인집에 홈 시어터를 설치까지 하였다. 그외에도 영화의 오마쥬격인 캐릭들이 심심치않게 나온다.[3] 해당 작품엔 오역이 은근히 많다. 생존자들 중 (국회)의원이 마르코에 대해 얘기할 때 "네트워크 사회(→회사)의 해적"이라고 말하거나, 마르코의 성씨가 오엔(→오웬)으로, 생존자들 중 남자 꼬맹이의 이름이 티무(→팀)로 읽히기도 한다. 하지만 전체적으로 봤을 땐 내용을 읽는 데 문제가 없고 고유명사 부분들만 잘못되어 있다.[4] 그 전직 의원은 마르코의 정체를 아는 사람이었다. 그걸 말하려다가 그들이 헤엄쳐서 해쳐나가던 물 속에서 급습한 괴물 물고기에게 죽임당했다.[5] 피터 본인은 냉동수면장치를 개발하던 기술자 그룹 소속이었으며 모종의 사정으로 자신들이 연구하던 장치를 쭉 연구하며 개발할 수 없게 되는 위기를 맞는다. 그러나 현재 메두사 병 감염자들을 거둔 시설을 만든 조직에서 그들을 거둬들여서 다시 연구를 재개할 수 있도록 도와줬다. 그러나 연구는 어느 시점에서 다시 중단되고 마는데, 거기서 레벌 4 이하의 연구자들은 출입 금지라는 이유를 댔기 때문이다. 그 뒤에 여러 사정을 거쳐서 피터는 다른 감염자들과 함께 냉동수면 조치에 취해졌다가 깬 것.[6] 다른 등장인물들도 마찬가지인데, 가장 괴로워했을 때의 기억 혹은 원한이 서린 기억의 환영에 시달린다. 이는 나중에 중요한 복선으로 작용한다.[7] 원작의 마르코는 자신을 감옥에 수감되게 만든 제우스에 대한 복수심이 가득한 크래커였으나, 극장판에서는 제우스가 등장하지 않는 관계로 SAS 요원인 것으로 정체가 변경되었다. 그리고 앨리스에게 육체(=메두사)를 나눠받아 죽어가던 상태에서 소생하던 전개와는 달리 극장판에서는 카스미를 구해내고 양지바른 곳에서 힘이 다해 조용히 사망한다.[8] 작가의 목에서 "메두사"가 발병한다.[9] 비슷한 예로 라이트 노벨 'ROOM NO.1301'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