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11-29 15:19:14

다카쓰카사 가즈코

가즈코 공주에서 넘어옴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rowcolor=#FFF>
초대
제2대
제3대
율령제 신기백 · 부흥 신기관 · 신사본청 총재 }}}}}}}}}
다카쓰카사 가즈코 관련 틀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D9D5CF, #A7A7A4 20%, #A7A7A4 80%, #D9D5CF)"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color: #FFF"
세습 제주
초대
제2대
제3대
제4대
제5대
제6대
제7대
제8대
제9대
제10대
제11대(환임)
제12대
제13대
제14대
제15대
제16대
제17대
제18대
大中臣毛人
제19대
제20대
제21대
제22대
제23대
제24대
大中臣奥生
제25대
제26대
제27대
大中臣公節
제28대
제29대
제30대
제31대
제32대
제33대
제34대
제35대
제36대
제37대
제38대
제39대
제40대
제41대
제42대
제43대
제44대
제45대
제46대(환임)
제47대
제48대
제49대
제50대
제51대
제52대(환임)
제53대(환임)
제54대
제55대(환임)
제56대(환임)
제57대(환임)
제58대(환임)
제59대
제60대
제61대
제62대(환임)
제63대
제64대
제65대
제66대(환임)
제67대(환임)
제68대(환임)
제69대
제70대
제71대(환임)
제72대
제73대
제74대
제75대(환임)
제76대
제77대
제78대
제79대
제80대
제81대(환임)
제82대(환임)
제83대(환임)
제84대
제85대
제86대
제87대
제88대
제89대
제90대
제91대
제92대
제93대
제94대
제95대
제96대
제97대
제98대
제99대
친임 제주
초대
제2대
제3대
{{{#!wiki style=""
대리
}}}
제4대
제5대
제6대
{{{#!wiki style=""
임시
<colbgcolor=#FFF,#1F2023>
}}} {{{#!wiki style=""
임시
}}}
여성 제주
초대
제2대
제3대
{{{#!wiki style=""
임시
}}} {{{#!wiki style=""
임시
}}}
제4대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AF001F, #BD0029 20%, #BD0029 80%, #AF001F); color: #DCA600"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rowcolor=#FFF>
덴표 8년(736년) 강하
덴표 11년(739년) 강하
<rowcolor=#FFF>
덴표 11년(739년) 강하
덴표칸포 3년(751년) 강하
덴표칸포 4년(752년) 9월 12일 강하
<rowcolor=#FFF>
덴표칸포 7년(755년) 강하
덴표칸포 9년(757년) 강하
덴표칸포 9년(757년) 강하
<rowcolor=#FFF>
덴표호지 3년(759년) 복귀
덴표호지 8년(764년) 강하
덴표진고 원년(765년) 강하
<rowcolor=#FFF>
덴표진고 원년(765년) 강하
진고케이운 3년(769년) 5월 강하
호키 2년(771년) 복귀
<rowcolor=#FFF>
호키 2년(771년) 복귀
호키 2년(771년) 7월 복귀
호키 2년(771년) 9월 강하
호키 3년(772년) 12월 복귀
<rowcolor=#FFF>
호키 5년(774년) 12월 복귀
엔랴쿠 6년(787년) 2월 5일 강하
엔랴쿠 21년(802년) 12월 27일 강하
<rowcolor=#FFF>
엔랴쿠 23년(804년) 6월 21일 강하
엔랴쿠 25년(806년) 4월 16일 강하
고닌 5년(814년) 5월 8일 강하
<rowcolor=#FFF>
고닌 5년(814년) 5월 8일 강하
덴초 2년(825년) 7월 6일 강하
덴초 3년(826년) 강하
<rowcolor=#FFF>
강하
덴초 5년(828년) 강하
강하
강하
<rowcolor=#FFF>
강하
조와(承和) 2년(835년) 강하
강하
강하
<rowcolor=#FFF>
조와(承和) 11년(844년) 강하
닌주 3년(853년) 강하
조간 4년(862년) 강하
조간 12년(870년) 2월 14일 강하
<rowcolor=#FFF>
조간 12년(870년) 2월 14일 강하
간교 4년(880년) 강하
간교 6년(882년) 강하
간교 6년(882년) 강하
<rowcolor=#FFF>
겐나 8년(884년) 6월 강하
닌나 3년(887년) 8월 25일 복귀
닌나 3년(887년) 8월 25일 취득
<rowcolor=#FFF>
닌나 3년(887년) 8월 25일 취득
간표 원년(889년) 5월 13일 강하
간표 3년(891년) 12월 27일 복귀
<rowcolor=#FFF>
강하
강하
강하
강하
<rowcolor=#FFF>
엔기 20년(920년) 12월 28일 강하
강하
강하
강하
<rowcolor=#FFF>
엔기 20년(920년) 12월 28일 강하
강하
조헤이 6년(936년) 강하
강하
<rowcolor=#FFF>
강하
강하
강하
강하
<rowcolor=#FFF>
강하
강하
강하
강하
<rowcolor=#FFF>
덴랴쿠 4년(950년) 강하
덴토쿠 4년(960년) 10월 2일 강하
강하
고호 4년(967년) 복귀
<rowcolor=#FFF>
조겐 2년(977년) 4월 17일 복귀
강하
강하
<rowcolor=#FFF>
조와(貞和) 5년(1016년) 강하
간닌 2년(1020년) 12월 26일 강하
만주 2년(1025년) 12월 29일 강하
겐에이 2년(1119년) 8월 14일 강하
<rowcolor=#FFF>
지쇼 4년(1180년) 강하
분에이 7년(1270년) 12월 20일 강하
고안 10년(1287년) 10월 4일 복귀
에이닌 2년(1294년) 강하
<rowcolor=#FFF>
분포 3년(1319년) 2월 18일 취득
가랴쿠 3년(1326년) 6월 13일 강하
겐토쿠 2년(1330년) 2월 11일 복귀
랴쿠오 원년(1338년) 8월 11일 강하
<rowcolor=#FFF>
분나 5년(1356년) 1월 6일 강하
게이초 10년(1605년) 강하
게이초 14년(1609년) 강하
간분 3년(1663년) 11월 강하
<rowcolor=#FFF>
간포 3년(1743년) 10월 27일 강하
분세이 9년(1826년) 강하
게이오 2년(1866년) 강하
메이지 21년(1888년) 6월 28일 복귀
<rowcolor=#FFF>
메이지 21년(1888년) 6월 28일 강하
메이지 23년(1890년) 12월 24일 강하
메이지 25년(1892년) 12월 26일 강하
메이지 26년(1893년) 11월 15일 강하
<rowcolor=#FFF>
메이지 32년(1899년) 9월 26일 강하
메이지 34년(1901년) 4월 6일 강하
메이지 34년(1901년) 11월 27일 강하
메이지 36년(1903년) 2월 6일 강하
<rowcolor=#FFF>
메이지 37년(1904년) 11월 14일 강하
메이지 39년(1906년) 10월 28일 강하
메이지 41년(1908년) 11월 8일 강하
메이지 43년(1910년) 7월 20일 강하
<rowcolor=#FFF>
메이지 44년(1911년) 4월 17일 강하
다이쇼 3년(1914년) 1월 21일 강하
다이쇼 4년(1915년) 4월 30일 강하
다이쇼 4년(1915년) 7월 20일 강하
<rowcolor=#FFF>
다이쇼 4년(1915년) 9월 3일 강하
다이쇼 7년(1918년) 5월 29일 강하
다이쇼 9년(1920년) 7월 24일 강하
다이쇼 9년(1920년) 11월 9일 강하
<rowcolor=#FFF>
다이쇼 12년(1923년) 12월 7일 강하
다이쇼 13년(1924년) 5월 3일 강하
다이쇼 13년(1924년) 12월 9일 강하
다이쇼 15년(1926년) 10월 27일 강하
<rowcolor=#FFF>
다이쇼 15년(1926년) 12월 2일 강하
다이쇼 15년(1926년) 12월 7일 강하
다이쇼 15년(1926년) 12월 13일 강하
쇼와 3년(1928년) 7월 20일 강하
<rowcolor=#FFF>
쇼와 3년(1928년) 7월 20일 강하
쇼와 4년(1929년) 12월 24일 강하
쇼와 6년(1931년) 4월 4일 강하
쇼와 6년(1931년) 5월 12일 강하
<rowcolor=#FFF>
쇼와 8년(1933년) 1월 17일 강하
쇼와 9년(1934년) 3월 26일 강하
쇼와 10년(1935년) 1월 7일 강하
쇼와 11년(1936년) 4월 1일 강하
<rowcolor=#FFF>
쇼와 11년(1936년) 4월 1일 강하
쇼와 14년(1939년) 4월 2일 강하
쇼와 15년(1940년) 10월 25일 강하
쇼와 16년(1941년) 4월 15일 강하
<rowcolor=#FFF>
쇼와 16년(1941년) 11월 7일 강하
쇼와 17년(1942년) 10월 5일 강하
쇼와 18년(1943년) 6월 7일 강하
쇼와 18년(1943년) 12월 29일 강하
<rowcolor=#FFF>
쇼와 20년(1945년) 4월 22일 강하
쇼와 22년(1947년) 10월 14일 강하
쇼와 22년(1947년) 10월 14일 강하
쇼와 22년(1947년) 10월 14일 강하
쇼와 22년(1947년) 10월 14일 강하
쇼와 22년(1947년) 10월 14일 강하
쇼와 22년(1947년) 10월 14일 강하
쇼와 22년(1947년) 10월 14일 강하
쇼와 22년(1947년) 10월 14일 강하
쇼와 22년(1947년) 10월 14일 강하
쇼와 22년(1947년) 10월 14일 강하
쇼와 22년(1947년) 10월 14일 강하
쇼와 22년(1947년) 10월 14일 강하
쇼와 22년(1947년) 10월 14일 강하
<rowcolor=#FFF>
쇼와 25년(1950년) 5월 20일 강하
쇼와 27년(1952년) 10월 10일 강하
쇼와 35년(1960년) 3월 10일 강하
쇼와 41년(1966년) 12월 28일 강하
<rowcolor=#FFF>
쇼와 58년(1983년) 10월 14일 강하
헤이세이 17년(2005년) 11월 15일 강하
헤이세이 26년(2014년) 10월 5일 강하
헤이세이 30년(2018년) 10월 29일 강하
<rowcolor=#FFF>
레이와 3년(2021년) 10월 26일 강하
}}}}}}}}}}}}

<colbgcolor=#504C4B><colcolor=#ffffff> 이세 신궁 제2대 여성 제주
신사본청 제2대 총재
다카쓰카사 가즈코
鷹司和子 | Takatsukasa Kazuko
파일:external/s-media-cache-ak0.pinimg.com/54c29fdd36315d9308ce2f110a3eeb9f.jpg
구칭 다카노미야 가즈코 내친왕
(孝宮和子内親王)
출생 1929년 9월 30일
도쿄부 도쿄시 고쿄
(現 도쿄도 치요다구 고쿄)
사망 1989년 5월 26일 (향년 59세)
도쿄도
국적
[[일본|]][[틀:국기|]][[틀:국기|]]
배우자 다카쓰카사 도시미치
자녀 없음
부모 아버지 쇼와 덴노
어머니 고준 황후
형제자매 히가시쿠니 시게코, 사치코 공주, 이케다 아츠코, 아키히토, 마사히토, 시마즈 타카코
1. 개요2. 출생과 성장
2.1. 황실 가계도
3. 약혼4. 불행한 결혼생활 및 사별5. 친정으로 돌아가다6. 사망

[clearfix]

1. 개요

쇼와 덴노(히로히토)와 고준 황후(나가코)의 2남 5녀 중 3녀. 아키히토 덴노와 마사히토 친왕의 셋째 누나다. 미혼 시절의 이름은 다카노미야 가즈코(孝宮和子) 내친왕.

2. 출생과 성장

1929년 9월 30일 쇼와 덴노와 나가코 황후의 3녀로 태어났다. 가즈코 공주의 위로는 1925년생인 큰언니 데루노미야 시게코 공주와 1927년생인 작은언니 히사노미야 사치코 공주가 있었으나 사치코 공주는 가즈코 공주가 태어나기 1년 전인 1928년에 불과 생후 6개월의 어린 나이로 죽고 말았다. 천황 내외는 큰 충격에 빠졌고 특히 나가코 황후는 한동안 아기만한 크기의 베개를 안고 다닐 정도였다.

가즈코 공주는 이렇게 큰 슬픔 끝에 새로이 찾아와 준 아기였지만 일본 황실과 궁내부로서는 아들이 아니기 때문에 실망스러웠고 나가코 황후도 눈치가 보였을 것이다. 실제로 나가코 황후는 다섯째이자 장남인 쓰구노미야 아키히토 친왕을 낳기 전까지 '온나바라(女腹)', 즉 '딸만 낳는 여자'라며 숱한 비난과 시집살이를 당했고 황실과 정부는 후궁 제도의 부활을 구체적으로 추진하고 있었다. 신하들이 화족 규수 몇 명을 후궁 후보로 선정하여 쇼와 덴노에게 보고하기까지 했지만 쇼와 덴노가 후궁 들이는 것을 거부하여 실제로 이루어지지는 못하였다.

일본 황실화족 사회의 오랜 전통대로 가즈코 공주도 어려서부터 친부모의 품에서 떨어져 성장했는데 언니 데루노미야 시게코 공주, 여동생 요리노미야 아츠코 공주, 스가노미야 타카코 공주와 함께 구레타케(呉竹) 기숙사에서 시종들에 의해 양육되었다. 훗날 가즈코 공주의 손아래 올케미치코 황태자비는 자녀들을 손수 길렀는데 이때부터 오랜 전통이 깨지고 황실에서도 아이들을 친부모의 곁에서 키우게 되었다.

1936년 4월, 가즈코 공주는 여자가쿠슈인에 입학했다. 재학 중에 학제가 바뀌어 여자가쿠슈인은 오늘날의 가쿠슈인 여자중등과, 여자고등과, 여자대학으로 개편되었다. 1948년 3월 가즈코 공주는 가쿠슈인 여자고등과를 졸업했다.

2.1. 황실 가계도

         
 ╟─
 ╟─
 ╟─
         
         
         
다카쓰카사 도시미치
         
이케다 다카마사
 ╟─
 ╟─
 ╟─
시마즈 히사나가
구로다 요시키
 ╟─
고노에 다다테루
 ╟─
센 소시츠
 ╟─
센게 구니마로
모리야 케이



3. 약혼

패전 후 일본은 많은 변화와 혼란을 겪었고 이는 일본 황실화족(귀족) 사회도 마찬가지였다. 다이쇼 덴노의 직계 후손들을 제외한 모든 방계 황족들과 화족들이 평민으로 전락(신적강하)하여 황족의 범위가 대폭 줄어들었다. 방계 황족에게 시집가 결혼 후에도 황족 신분을 유지했던 맏언니 히가시쿠니 시게코와 달리 시게코의 여동생들은 황실 밖에서 신랑감을 찾을 수밖에 없게 되었고 결혼하면 황족 신분을 잃게 되었다. 그러나 시게코도 패전 후 평민으로 떨어졌다.

가즈코 공주는 1948년 가쿠슈인 여자고등과를 졸업한 후 前 시종장 햐쿠타케 사부로(百武三郞)의 거처에서 1년 정도 신부수업을 받았으며 이듬해 11월 23일 이종사촌 오빠인 오타니 고쇼(大谷光紹)[1]와의 약혼이 발표되었는데 오타니 가문에서도 적극적으로 환영했으나 이 약혼은 파혼되었다.

한때 카야 구니나가(賀陽邦寿, 1922~1986)와의 혼담도 있었다. 구니나가는 옛 방계 황족[2]으로, 가즈코의 외종조부인 가야노미야 구니노리 왕(賀陽宮邦憲王)의 장손이고 가즈코의 친할머니인 데이메이 황후의 친정오빠 쿠죠 미치자네(九条道実) 공작의 외손자이기도 하다. 그러나 구니나가 본인이 가즈코와의 혼담을 거절하여 이 역시 이루어지지 못했다.

1950년 1월, 가즈코 공주와 다카쓰카사 도시미치(鷹司平通)와의 약혼이 정해졌다. 도시미치는 가즈코 공주보다 6살 연상이며 7촌 당숙이자 8촌 종조부이다.[3] 다카쓰카사 가문은 후지와라 고셋케 중 한 가문으로 후지와라 씨족이기도 하다. 도시미치의 아버지 다카쓰카사 노부스케(鷹司信輔)는 옛 공작이자 메이지 신궁신관이었고 도시미치의 할아버지 다카쓰카사 히로미치(鷹司照通)는 본래 쿠죠 미치타카(九条道孝)[4] 공작의 이복동생이었지만 다카쓰카사 가문의 후계자가 요절하자 양자로 들어가 가문을 계승했으며 1884년에 이루어진 작위 서임 당시 공작위를 받았고 1947년에 평민이 되었다.

패전 후 처음인 공주의 결혼에 신랑감이 옛 공작 가문의 아들이지만 일반 직장인이라는 것도 화제가 되었다. 약혼 기간 중에 도시미치는 가즈코 공주가 두 여동생 요리노미야 아츠코 공주, 스가노미야 타카코 공주와 함께 생활하던 구레타케 기숙사를 자주 방문했다. 큰언니인 히가시쿠니 시게코는 결혼 전에 신랑 될 사람을 한 번 만나 보지도 못하고 어른들이 정한 상대에게 시집가서 어려움을 겪은 바 있기 때문에 여동생들은 형식적으로나마 맞선, 교제, 데이트 등을 거쳤다.

특히 어머니 나가코 황후는 딸들의 이러한 신식 행보를 적극 지지해 주었지만 정작 자신이 시어머니 입장이 될 때는 이야기가 달라졌다. 나가코 황후는 1959년 큰아들 아키히토 황태자가 평민 여성 쇼다 미치코와 연애결혼을 할 때 강하게 반대했고 그 반대를 이기고 결혼이 이루어진 후에도 큰며느리 미치코 황태자비를 몹시 미워하여 호된 시집살이를 시켰다.

4. 불행한 결혼생활 및 사별

파일:external/cdn.amanaimages.com/23007001241.jpg
가즈코와 도시미치 부부.

1950년 5월 20일 가즈코 공주는 도시미치와 결혼식을 올렸으며 결혼 후 그녀는 황족의 신분을 잃고 평민이 되었다. 다카쓰카사 가즈코는 5년 후인 1955년에야 임신했지만 사산(死産)되었고 이후 다시는 임신하지 못해 시누이 마츠다이라 후미코(松平章子)의 아들인 나오다케(尙武)를 양자로 들였다.

1966년 1월에는 사라졌던 도시미치가 이틀 만에 단골 바(bar)의 마담(당시 39세)과 함께 시신으로 발견되었는데 장소는 마담의 집이었고 두 남녀의 사인은 일산화탄소 중독이었다. 이 사건은 세간의 큰 관심을 끌었고 몹시 충격을 받은 가즈코와는 상관없이 언론은 '정사(情死)' 등의 선정적인 제목으로 신나게 보도했다. 남편의 간통에 이어 갑작스러운 사별로 과부가 된 가즈코는 언론과 공공장소에 노출되는 것을 점점 피하기 시작했다.

2년 후인 1968년에는 강도까지 당했는데 가즈코가 집에 혼자 있을 때 주방에 칼을 든 강도가 침입했다. 입을 틀어막힌 가즈코는 겨우 현관으로 도망쳤지만 양손 가운데손가락에 전치 1주의 부상을 입었다.

5. 친정으로 돌아가다

이 사건 이후 가즈코는 친정인 황실로 돌아가서 살았다. 가즈코가 강도에게 부상을 입은 사실에 격분한 아버지 쇼와 덴노 및 작은아버지 노부히토 친왕과 다카히토 친왕은 가즈코의 안전을 염려하여 황거에서 살 것을 권유했다. 가즈코는 처음에는 내켜하지 않았으나,이미 남편을 잃고 자식도 없는 과부 신세이기도 했고 자신을 걱정하는 아버지와 작은아버지들의 제안을 결국 수용했다.

황실에서는 아카사카 어용저(赤坂御用邸)에 가즈코의 거처를 마련해 주었다. 원래 이곳은 궁정 보모들을 위한 시설로 만들어진 곳이지만 '평민 출신의 비'로 화제를 모은 미치코 황태자비는 자신의 품에서 손수 자녀들을 길렀고 그 때문에 아카사카 어용저 내의 보모 숙소는 사실상 비어 있어서 별 탈없이 가즈코의 거처를 마련해 줄 수 있었다고 한다.

남동생 부부인 아키히토 황태자와 큰올케 미치코 황태자비, 마사히토 친왕과 작은올케 하나코 비[5], 작은어머니 키쿠코 비유리코 비도 남편을 잃고 과부가 되어 쓸쓸해하던 가즈코를 많이 챙겨주었는데 가족 휴가나 만찬 등에 초대하여 함께 어울리고 같이 식사를 하며 이야기를 나누고 어려울 때일수록 가즈코를 도와주기도 했다.

결혼 5년 만에 임신했으나 출산에 실패하고 남편을 떠나보내고 강도에게 습격당하는 불행한 일들을 뒤로 한 채 친정인 일본 황실로 돌아가 1970~80년대 황거에서 생활하면서 아버지와 작은아버지, 작은어머니, 남동생, 올케들의 도움을 받아 가면서 가즈코는 어느 정도 안정을 되찾기 시작했다.

파일:external/blog-imgs-55.fc2.com/2014113010125446b.jpg
큰올케 미치코 황태자비와 그녀의 아이들과 함께, 여름 휴가에서.

1974년에는 고모할머니 기타시라카와 후사코(北白川房子)[6]의 뒤를 이어 이세 신궁신관을 맡았으며 1988년 가즈코가 퇴임한 후에는 바로 아래 여동생인 이케다 아츠코가 뒤를 이어 신관이 되었고 2012년에는 조카인 구로다 사야코가 늙고 쇠약해진 고모 아츠코를 돕기 위해 보조 신관이 되었다. 아츠코는 2017년 신관직에서 완전히 물러났고 사야코가 정식 신관으로 취임했다.

6. 사망

1987년과 1989년 작은아버지 노부히토 친왕과 아버지 쇼와 덴노가 노환으로 사망하고 남동생 아키히토가 아버지 히로히토의 뒤를 이어 새 천황에 즉위한지 약 4개월 후인 1989년 5월 26일 가즈코도 아버지의 뒤를 따르듯 심부전증으로 사망하여 유산과 남편의 죽음으로 인한 불행한 삶을 마감했다. 향년 59세.

이듬해인 1990년에 아키히토 덴노의 차남 아야노미야 후미히토 친왕이 가와시마 키코와 결혼했고 고모 가즈코가 살던 아카사카 어용저에 신접살림을 차려 1997년 구 지치부노미야 야스히토 저택으로 이사하기 전까지 거주했다. 후미히토 친왕과 키코 비는 이 집에 살면서 1991년 장녀 마코 공주, 1994년 차녀 카코 공주를 낳았다.

가즈코가 사망한 1989년은 가즈코 본인은 물론 아버지 쇼와 덴노뿐만 아니라 이모 오타니 사토코, 어머니 나가코 태후의 사촌언니이자 가즈코의 7촌 이모인 이방자 여사까지 나가코 태후와 관련된 인물이 4명이나 사망했던 해다. 때문에 나가코 태후로써는 엄청난 정신적 충격이 왔을 시기였다.

[1] 고준 황후의 여동생인 오타니 사토코의 아들.[2] 신적강하 이전에는 구니나가 왕(邦寿王)이었다.[3] 여담으로 17살 나이에 대정익찬의 노래를 작곡했고, 여러 소학교와 중학교 교가를 작곡하는 등 아마추어 작곡가이기도 했다.[4] 에이쇼 황후의 남동생이자 데이메이 황후의 아버지. 즉 에이쇼 황후와 데이메이 황후는 고모-조카 관계이자 시할머니-손자며느리 관계가 된다.[5] 아키히토와 마사히토는 셋째 누나 가즈코가 시집가서 황실을 떠난 이후에 결혼했다. 아키히토는 1959년에, 마사히토는 1964년에 결혼했다.[6] 메이지 덴노와 측실 소노 사치코의 7녀. 후사코의 손녀 기타시라카와 하츠코는 1939년 출생한 직후부터 아키히토 황태자의 신붓감으로 거론되었으나 평민 쇼다 미치코에게 밀려 탈락하고 나가코 황후의 외가인 시마즈 가문으로 시집갔다. 그래서 후사코는 이세 신궁에서 미치코 황태자비를 홀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