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11-27 23:01:41

강남(중국)

1. 개요2. 위치
2.1. 장강 중류2.2. 장강 하류
3. 역사와 문화4. 기후5. 언어와 지리

1. 개요

'장강이남'을 의미하는 단어로, 중국어 발음은 장난(Jiangnan)[1]이다.

2. 위치

2.1. 장강 중류

후난성이 있는 곳이며, 둥팅호 등이 유명하다.

2.2. 장강 하류

장쑤성 남부, 상하이시, 저장성 등이 있는 곳이다.

파일:중국의 강남지방 지도.png

영미권에선 흔히 양쯔강 삼각주(Yangtze Delta)라고 부르는 곳이다.

일반적으로 송나라 때부터 번영하고 지금도 중국에서 가장 잘 사는 강남지역인 장쑤성저장성, 상하이시 지역을 주로 말하며 대체로 강동과 등치되기도 한다. 내륙 장시성, 안후이성 쪽도 강남이라면 강남이랄 수도 있지만 일반적으로 같이 묶이지는 않는다. 푸젠성광둥성은 장강의 남쪽에 있긴 하지만 우이산맥과 난링산맥 등의 산맥으로 인해 문화가 많이 달라 화남 이라는 다른 분류로 묶이는 경우가 많다. 현대 들어 중국의 발전을 논할 때 해안 지역의 발전을 이야기하면서나 저장성, 장쑤성과 함께 묶이는 정도. 강소의 소주와 절강의 항주(과거 임안)는 오래 전부터 중국에서 가장 살기 좋은 지역으로 유명하며, 수많은 문인과 기인들이 그 아름다움과 풍족함을 찬탄했다.

3. 역사와 문화

본래 상고시대 이래 중국사의 주무대는 지금의 허난성뤄양산시성시안으로 대표되는 중원이었지만, 이후 이 지역의 지력이 떨어지고 기후가 변하면서 자연히 연운으로 일컬어지는 허베이로 정치적 중심이 옮겨간다. 한나라 때까지는 강남 일대에서 동남아시아 계통의 언어가 활발히 쓰일 정도로 이질감이 있었을뿐더러 발전도 느렸지만 손권오나라를 이곳에 세우고 나서부터 개발이 시작되고 육조시대를 거쳐 선비족의 침공을 피해 화북인들이 대거 내려오면서 본격적으로 발전한다. 이때 화북인들의 농기기술 또한 전래되면서 생산량이 급격히 증가했다.

장강 유역의 풍부한 물산 덕분에 육조시대를 지나며 경제적 번영은 중세쯤부터는 북중국을 압도했고 북중국과는 다른 분위기의 문화를 일구어냈다. 화북 지역은 북방 유목민족들이 정권을 세운 사례가 많아서 유목 문화가 많이 스며들어 있는 편이지만 강남 지방은 장강을 끼고 한족들이 북방 민족과 대립하던 역사 때문에 한족 전통 문화가 화북에 비해 비교적 잘 보존되어 있다. 서양을 비롯한 다른 문화권과 오랫동안 교역했기 때문에 다른 지역으로 퍼진 중국 문화의 상당수도 잘 들여다보면 강남 지방의 것들이다.[2]

'한로(寒露)가 지나면 제비도 강남으로 간다', '강남으로 날아갔던 제비', '친구 따라 강남 간다'같은 속담에서도 나오는 지역인데 여기서 강남은 당연히 서울특별시강남구 혹은 강남권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중국의 장강 이남 지역을 의미한다. 이 속단이 "자기는 하고 싶지 아니하나 남에게 끌려서 덩달아 하게 됨을 이르는 말." 을 뜻하게 된 것은 옛날에는 중원에서 강남으로 이어지는 장거리 여행이 결코 쉽지 않았던 대단한 일이었기 때문이다.

옛날에는 경제력이 어지간히 넉넉한 사람이 아니라면 중원에서 거주하는 사람이 강남까지 내려갈 일은 거의 드물었기 때문에 친구 따라 강남으로 내려간다는 것은 매우 특별한 일이었다. 전술했듯이 강남은 예로부터 중원 사람들에게 있어 부유하고 아름다운 곳으로 알려져 있어서 중원에 사는 사람들은 한 번쯤 내려가보길 선망해왔다. 백거이는 강남 지방을 다녀오고 그 풍경을 잊지 못해 그리워하며 시를 남기기도 했을 정도이다.

그런데, 묘하게도 요즘은 서울특별시강남구 이미지와 상당히 겹친다. 물론 서울 강북에서 강남 가기가 중원에서 강남 가는 것만큼 힘이 드는 일은 아니지만.

4. 기후

기후가 온화하다. 다만 기후가 온난다습하다 보니 난방, 단열에 상대적으로 신경을 덜 쓰기 때문에 "한겨울에 북방 사람이 남방에 와서 얼어 죽는다"는 농담도 있다.

조선 시대선비 최부는 제주도에서 풍랑을 만나 표류해 중국으로 흘러가서 조선으로 돌아오는 과정을 《표해록》이란 기행문으로 썼는데, "천자가 사는 베이징조차도 부유함과 사람들의 교양이 강남에 비교도 안 된다"고 썼을 정도다. 심지어 현대에도 이런 구도는 유효해, 실제로 중국에서 압도적으로 잘 사는 지역이고[3] 북중국과의 라이벌 의식, 지역감정도 상당하다.

5. 언어와 지리

중원 평야에서는 만다린(관화)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장강 평야, 그 중에서도 특히 강남에서는 역사적, 지리적, 언어적 요인으로 인해 다양한 중국어 방언이 사용된다.

역사적 요인으로는 북쪽은 역사적으로 유목민 침략과 문화 교류가 더 많았던 만큼 공통언어의 필요성이 커져 언어통일이 가속화되었으며 북쪽에 위치한 황제 중앙정부가 관화를 공용어로 정책화함으로써 더욱 확고해졌다. 게다가 강남의 장강은 자연적인 장벽 역할을 해 북쪽과 남쪽을 지리적으로 분리하여 이주와 문화 교류를 제한했다. 이러한 고립으로 인해 남쪽에서는 다양한 방언이 발전할 수 있었다. 지리적 요인으로는 북쪽의 평평하고 열린 평원은 의사소통과 교류를 촉진하여 언어 동화가 더 쉽게 확산되었지만 남쪽의 산악 지형과 단절된 지형은 방언이 독립적으로 발전할 수 있는 고립된 공간을 만들어 다양성을 유지했다. 남쪽은 더 복잡한 언어 역사를 가지고 있으며 토착 언어가 방언 발전에 영향을 미쳤다.

이러한 복잡한 배경은 북쪽보다 더 많은 방언 분포에 기여했다. 북쪽 관화는 주로 4개의 성조를 사용하지만 강남의 남쪽 방언은 종종 더 많은 성조나 다른 성조 패턴을 가지고 있다. 역사, 지리, 언어가 어떻게 상호 작용하고 시간이 지남에 따라 어떻게 변화하는지에 대한 흥미로운 예시라고 할 수 있다.


[1] 표준국어대사전에는 '강남'으로만 실려 있고 '장난'으로는 아예 실려 있지도 않으니 주의. 이미 없어진 지명이므로 현행 중국어 표기법상으로도 '강남'이 맞는 표기.[2] 다만 한반도만주를 통해 중국과 직접 맞닿아서 강남 지역보다는 화북 일대의 문화의 영향을 많이 받았다. 특히 화교들이 많이 넘어온 산둥반도 일대.[3] 상하이시만 봐도 알 수 있다.(홍콩은 일국양제.)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93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93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