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12px -0px" | <tablebordercolor=#ae1932> | }}} | |||
{{{#!wiki style="color: #fff; 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 종로구 | [[중구(서울특별시)/행정| 시청 중구]] | 용산구 | 성동구 | 광진구 |
동대문구 | 중랑구 | 성북구 | 강북구 | 도봉구 | |
노원구 | 은평구 | 서대문구 | 마포구 | 양천구 | |
강서구 | 구로구 | 금천구 | 영등포구 | 동작구 | |
관악구 | 서초구 | 강남구 | 송파구 | 강동구 | }}}}}}}}} |
{{{#!wiki style="margin:-12px -0px" | <tablebordercolor=#004EA2> | }}} | |
{{{#!wiki style="color:#fff; 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행정동 | 법정동 | |
강일동 | 강일동 | ||
고덕제1동 | 고덕동 | ||
고덕제2동 | |||
길동 | 길동 | ||
둔촌제1동 | 둔촌동 | ||
둔촌제2동 | |||
명일제1동 | 명일동 | ||
명일제2동 | |||
상일제1동 | 상일동 | ||
상일제2동 | |||
성내제1동 | [[강동구청| 구청 ]] 성내동 | ||
성내제2동 | |||
성내제3동 | |||
암사제1동 | 암사동 | ||
암사제2동 | |||
암사제3동 | |||
천호제1동 | 천호동 | ||
천호제2동 | |||
천호제3동 |
| |
강동구의 행정동[1] | 강동구의 법정동 |
서부지역은 저층 빌라, 중소형 아파트 단지 위주이고, 동부지역은 고층아파트 위주이다.
1. 강일동 - 갑
행정동과 법정동이 일치한다. 인구는 34,605명.[P]서울특별시의 최동단이다. 미사강변도시와 완전히 붙어 있지만 미사강변도시로 개발된 지역은 아니며, 강일1지구와 2지구로 나뉘어서 개발이 진행되었고 현재는 서울고덕강일공공주택지구로써 나머지 지역이 개발되고 있다. 강일리버파크 1~11단지, 강동리버스트 4~8단지 등 주택지구로 개발되었다보니 업무시설은 거의 없다. 서울 지하철 5호선 강일역이 개통되었지만 위치가 좋지 않아[3] 강일동 주민들은 여전히 대부분 버스를 타고 상일동역으로 간다. 학교는 강빛초, 강솔초, 강일초, 강동중, 강일고가 있다.
2. 상일1동, 상일2동 - 갑
관할 법정동은 상일동이다. 상일로를 기준으로 동쪽이 1동, 서쪽이 2동이다. 강동구의 외곽과 더불어 서울의 외곽을 담당하는 지역이다. 실제로 풍산로나 천호대로를 주행하다보면 서울시와 경기도의 경계를 여러 번 거치게 된다. 2021년 7월 1일에는 상일동이 강동리엔파크 지역을 완전히 흡수하여 상일1동과 상일2동으로 분동되었다.상일초등학교 주변을 제외하면 모든 주거구역이 아파트나 오피스텔이다. 최근 꾸준히 새로운 아파트 단지가 건설되면서 인구가 급증하고 있는 지역인데 상업지역은 거의 전멸인 수준이라 명일동(고덕역)이나 하남시에 많이 의존하고 있다.[4] 상황이 더 심각한 강일동과 인구를 합치면 2023년 3월 기준 8만 명을 넘는데, 제대로된 상업시설이 없다는 것은 매우 큰 문제.
- 상일1동: 인구는 39,239명.[P] 고덕 아르테온(4,066세대), 고덕 롯데캐슬 베네루체(1,859세대), 고덕 자이(1,824세대), 고덕 센트럴 아이파크(1,745세대) 등 대단위 아파트단지들이 많이 있다. 다만 상일1동의 영역은 생각보다 넓어서 서쪽 동남로변 강동경희대병원, 강동아트센터까지 상일1동이다. 학교는 고일초, 고현초, 상일초, 상일중, 한영중, 강동고, 상일미디어고, 상일여고, 한영고, 한영외고와 특수학교인 주몽학교가 있다.
- 상일2동: 인구는 13,535명.[P] 동 정중앙을 수도권제1순환고속도로가 지나가고 있고 양쪽을 잇는 제대로 된 도로가 고덕로 하나 뿐이라 양쪽은 사실상 별개의 동네이다. 서쪽에는 고덕 리엔파크 3단지(2,283세대), 삼성엔지니어링 글로벌엔지니어링센터, 강명초, 강명중, 동쪽에는 강동 리엔파크 9,11,13,14단지가 있다.
3. 고덕1동, 고덕2동 - 갑
관할 법정동은 고덕동이다. 동남로를 기준으로 서쪽이 1동, 동쪽이 2동이다.- 고덕1동: 인구는 23,818명.[P] 배재고등학교를 중심으로 고덕 래미안 힐스테이트(3,658세대), 고덕 아이파크(1,142세대), 아남아파트(807세대), 고덕상록주공8단지(700세대) 등 아파트단지와 서울장애인종합복지관이 둘러싸고 있으며 안쪽으로 단독주택 촌이 있다. 상업시설로 하나로마트 고덕점이 있다. 학교는 명덕초, 묘곡초, 명일중, 배재중, 배재고가 있다.
- 고덕2동: 인구는 25,325명.[P] 고덕 그라시움(4,932세대), 고덕 센트럴 푸르지오(656세대)가 있다. 서울교통공사 고덕차량사업소도 2동에 해당되며, 그 옆으로도 고덕비즈밸리 조성 사업이 진행 중이다. 이케아 강동점 매장이 2025년 들어올 예정이다. 학교는 강덕초, 고덕초, 고덕중, 광문고, 서울컨벤션고와 특수학교인 한국구화학교가 있다.
4. 명일1동, 명일2동 - 갑
관할 법정동은 명일동이다. 명일로를 기준으로 서쪽이 1동, 동쪽이 2동이다.- 명일1동: 인구는 24,830명.[P] 동네 랜드마크(?)인 명성교회가 있다. 이 외에는 평범한 주거지역으로 삼익그린맨션 2차(2,400세대), 래미안 솔베뉴(1,900세대), 명일지에스아파트(772세대), 삼익맨션(768세대) 등이 있다. 학교는 고명초 하나 있다.
- 명일2동: 인구는 16,843명.[P] 고덕로62길을 가운데 두고 고덕주공아파트9단지(1,320세대), 우성아파트(572세대), 신동아아파트(570세대), 한양아파트(540세대), 고덕현대아파트(524세대) 등 아파트단지가 즐비하게 늘어서 있으며, 고덕역 앞은 이마트 명일점을 비롯하여 지역상권이 형성되어 있다. 학교는 대명초, 명원초, 명일여고가 있다.
5. 암사1동, 암사2동, 암사3동 - 갑
관할 법정동은 암사동이다. 올림픽로를 기준으로 서쪽 한강변이 2동이며, 동쪽은 고덕로를 기준으로 남쪽이 1동, 북쪽이 3동이다.- 암사1동: 인구는 33,194명.[P] 강동구 서민 거주지를 대표하는 동으로 대부분 빌라와 단독주택이지만 프라이어팰리스(1,622세대)와 같은 아파트단지도 있다. 암사역 앞 암사종합시장, 하나로마트 암사점의 유동인구가 꽤 된다. 학교는 명일초가 있다.
- 암사2동: 인구는 14,572명.[P] 한강변에 있는 동으로 선사현대아파트(2,938세대) 등 주거 위주의 지역이지만 비닐하우스가 있을 정도로 도시화가 덜 된 지역이 있다. 광나루한강공원, 서울 암사동 유적이 있어 그 주변을 공원으로 만들어 놨다. 학교는 선사초, 신암초가 있다.
- 암사3동: 인구는 17,087명.[P] 강동 롯데캐슬 퍼스트(3,226세대), 강동 현대홈타운(526세대)이 있다. 하지만 동 면적 대부분은 임야와 암사정수사업소이기 때문에 아파트단지를 비롯한 주요 시설은 모두 고덕로 근처에 몰려 있다. 서원마을은 한강변에 위치한 조용한 전원마을이었으나 도로가 마구 뚫리면서 큰 도로에 둘러싸인 모양새가 되었다. 서울 지하철 8호선 암사역사공원역의 개통이 기대되는 동네이다. 학교는 강일중, 신암중, 선사고가 있다.
6. 천호1동, 천호2동, 천호3동 - 을
관할 법정동은 천호동이다. 천호동은 1950년대부터 본격적으로 개발되고 80년대에 이미 재건축을 한 번 거쳤기 때문에 스카이라인이 전반적으로 올드한 편이다. 타지 사람(특히 중년 이상 기성세대)들이 강동구를 몰라도 "천호동 너머" 하면 알아들을 정도로 오랫동안 중심지 노릇을 해온 동네다. 70년대까지만 해도 거여동에서 천호동까지 걸어서 통학하는 것이 예삿일이었을 정도니 그야말로 영등포 이동(以東)에서 독보적인 위상을 가졌던 것이다.- 천호1동: 인구는 25,555명.[P] 2,3동과 다소 떨어진 굽은다리역과 접한다. 홈플러스 강동점을 시작으로 양재대로를 따라 몇백 미터 구간 동안은 비교적 구획이 바둑판같이 잘 나뉘어 있는데, 그 부근은 십자성마을이라고 해서, 한 40년쯤 된 국가유공자촌이다. 학교는 천일초, 천호초, 성덕여중, 천호중, 성덕고가 있다.
- 천호2동: 인구는 34,307명.[P] 남쪽으로 천호역, 북쪽으로 암사역과 접한다. 광진교와 연결되는 근현대 지역 중심으로써의 역사가 깊은 지역. 강동 밀레니얼 중흥S-클래스(999세대), 천호공원, 현대백화점 천호점, 이마트 천호점, 롯데마트 천호점, 천호동 로데오거리와 천호시장, 하나로마트 로데오점이 있는 강동구 중심 상권 지역이다. 학교는 강동초, 천일중이 있다.
- 천호3동: 인구는 26,163명.[P] 오래된 주거지와 시가지를 형성하며, 재건축을 통해 래미안 강동팰리스(999세대)가 건설되는 등 변화가 지속적으로 일어나고 있다. 남쪽 끝은 강동역과 접한다. 강동구립천호도서관, 천호동성당, 동신중[17]이 있다.
7. 성내1동, 성내2동, 성내3동 - 을
관할 법정동은 성내동이다. 성안로를 기준으로 동쪽이 3동이며, 서쪽은 풍성로를 기준으로 남쪽이 1동, 북쪽이 2동이다. 인구는 1동 19,095명, 2동 23,833명, 3동 21,777명.[P]풍납동, 천호동과 함께 천호역을 끼고 있는 동네. 보통 천호라고 하면 어딘지 알지만 성내동이라고 하면 어딘지 모르는 사람이 많다. 같은 상황에 놓인 풍납동도 마찬가지. 그래도 강동구 행정의 중심으로 강동구청, 강동구보건소, 강동소방서가 1동에 있으며, 천호역 주변은 상권이 어느 정도 발달되어 있고, 안으로 들어갈 수록 평지에 넓게 주택가가 펼쳐져 있다. 주택가 한복판에 넓은 부지에 오래된 병원인 공안과가 눈에 띈다.
- 성내1동: 성내삼성아파트(1,220세대), 강동구청, 강동구보건소, 서울강동경찰서, 강동소방서, 하나로마트 성내점, 성내초, 성일초, 성내중
- 성내2동: 천호역 효성해링턴타워(636세대), 성내전통시장
- 성내3동: 둔촌역전통시장, JYP엔터테인먼트
8. 길동 - 을
행정동과 법정동이 일치한다. 예전에는 길1동, 길2동 두개동으로 나뉘어 있었지만 다시 통합해 현재의 길동이 되었다. 인구는 47,553명[P]으로 강동구 행정동 중 인구가 가장 많다.길동역 주변이 유흥업소 및 술집으로 꽤 번화한 동네다. 길동역 기준으로 동쪽은 길동시장 및 강동도서관이 자리 잡혀있고 서쪽으로는 유흥업소 및 술집과 식당들이 빼곡하게 자리 잡혀있다. 그러다 보니 길동이나 강동구 주민과 강동구와 가까운 위치의 송파구 주민들이 길동에서 모임을 가지는 일이 많다. 한때 천호 로데오 거리가 유흥업소 및 술집이 많았으나, 최근 들어서 길동에게 자리를 내준 모습이 눈에 띄게 보일 정도다. 길동역에서 조금만 벗어나면 아파트단지들과 주택가들이 많다 보니 분위기가 반전되는 동네이기도 하다. 주요 시설로는 서울특별시교육청강동도서관, 강동성심병원, 강동세무서, 서울강동우체국, 길동공원, 길동생태공원이 있으며, 학교는 길동초, 신명초, 천동초, 신명중이 있다.
9. 둔촌1동, 둔촌2동 - 을
관할 법정동은 둔촌동으로 풍성로를 기준으로 남쪽이 1동, 북쪽이 2동이다. 인구는 1동 10,917명, 2동 24,694명[P]둔촌동역이 동의 서쪽을 지나가며 최근 9호선 3차 연장구간이 개통되어 둔촌오륜역과 중앙보훈병원역이 각각 남쪽과 동쪽에 위치하여 있다. 1동은 둔촌주공아파트 1단지에서 4단지까지 있는 아파트촌이다. 2동은 아파트와 단독주택이 혼재해 있다. 강동그린웨이 가족캠핑장, 일자산 허브 천문공원, 일자산 해맞이 광장과 공익계의 헬[21] 중앙보훈병원, 하나로마트 둔촌역점이 있다.
학교는 1동에 둔촌초, 위례초, 동북중, 동북고, 2동에 선린초, 한산초, 둔촌중, 한산중, 둔촌고가 있다. 강동대로만 건너면 송파구 오륜동이라서 그런지 둔촌1동의 학군은 송파구와 중첩되어 있다. 둔촌1동에서 보성고, 창덕여고, 오륜중과 같은 오륜동에 위치한 학교로 배정을 받는 경우도 비일비재하며, 그 반대의 경우도 가끔 있는 편이다. 그 덕에 강동구 내에서는 둔촌1동의 학군이 가장 좋다는 인식이 강하다. 옆 동네인 송파구 오륜동의 영향을 받아서 그런지 대체로 학구열이 높은 편이다. 옆 동네인 송파구 오륜동에는 올림픽공원이 있다.
2024년 10월 기준 둔촌1동의 인구는 51명으로 전국 행정동 중에 가장 적은 인구를 보여주었다. 다만 원래 인구가 적은 동네는 아니고, 둔촌주공아파트 재개발로 전 세대가 퇴거하면서 극히 일부만 남았기 때문이다. 재개발이 완료되면 인구가 다시 뛸 것이라는 것은 당연지사. 다만 공사 중단 및 경기 침체와 맞물려 혼돈에 빠져 있는 상태였으나, 여차저차 해결되어 2024년 11월부터 입주가 시작되어 입주 한 달 새 인구가 1만 명 이상 늘었다. 자세한 내용은 올림픽파크 포레온(12,032세대) 항목 참조.
[1] 상일2동의 분동이 반영되어 있지 않다. 상일2동은 행정동 강일동 중 법정동으로 상일동에 속하는 곳이다.[P] 2024년 12월 주민등록인구통계[3] 강일동 남쪽 끄트머리에 있으며 역 근방 아파트 주민이 아닌 이상 대다수 주민들은 이용하지 않는다.[4] 고덕비즈밸리에 대형 쇼핑몰을 건설하고 있다지만 거기도 고덕2동이다.[P] [P] [P] [P] [P] [P] [P] [P] [P] [P] [P] [P] [17] 본래 남학교였으나, 2013년에 남녀공학으로 전환되었다.[P] [P] [P] [21] 실제로 그렇다. 중앙보훈병원은 사회복무요원 본인선택 경쟁률이 서울에서 낮은 편에 속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