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6-01 11:20:26

건담 DX

건담XX에서 넘어옴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width=100%><tablebordercolor=#e6eaf0> 파일:기동신세기 건담 X 로고 small.png기동신세기 건담 X
등장 기체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건담 X 건담 X 디바이더 건담 DX 건담 에어마스터 건담 에어마스터 버스트
건담 버사고 건담 버사고 체스트 브레이크 건담 아슈타론 건담 아슈타론 허밋 크랩 건담 벨페고르
GX 비트 D.O.M.E. GX 비트 GW 비트 GT 비트 라스베트
도트레스 제니스 셉템 옥트에이프 크라우다
코르렐 브리토바 가블 발리엔트 도시트
파툴리아 페브랄 가딜 그랜디네 도탑 }}}}}}}}}
GX-9901-DX
건담 [ruby(DX, ruby=더블 엑스)]
Gundam [ruby(DX, ruby=Double X)] │ ガンダム[ruby(DX, ruby=ダブルエックス)]
파일:GX-9901-DX 건담 DX 설정화 전면.png 파일:GX-9901-DX 건담 DX 설정화 후면.png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제원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colbgcolor=#2b4151><colcolor=#1bb485> 형식번호 GX-9901-DX
분류 새틀라이트 시스템 탑재 모빌슈트
제작 신 지구연방군
설계
소속 신 지구연방군
벌처
배치 Pre - A.W. 0015. 07
조종 몸통 상부 안 콕피트에 파일럿 1명
파일럿 가로드 란
크기 두정고: 17.0m
중량 본체중량: 7.8t
장갑 루나 티타늄 합금
특수장비 및 시스템 새틀라이트 시스템 Mk-II
전용 G 컨트롤러
플래시 시스템
무장 헤드 발칸x2
트윈 새틀라이트 캐논
전용 버스터 라이플
하이퍼 빔 소드x2
브레스트 런처x4
디펜스 플레이트
G-해머
빔 자벨린
디자이너 오오카와라 쿠니오 }}}}}}}}}

1. 개요2. 상세
2.1. 무장
3. 설정화4. 기타5. 모형화6. 게임에서의 건담 DX7. 둘러보기

1. 개요

이것이 새로운 X의 힘인가!?
건담 X 건프라 광고 신규 클로징 멘트.
기동신세기 건담 X의 후반 주역기. DX는 더블 엑스(Double X)로 읽는다.[1][2]

건담 X를 기반으로 개발한 기체로, 리플렉터 및 냉각 효율의 향상으로 에너지 용량 증대, 새틀라이트 시스템 Mk-II 탑재, 양어깨에 트윈 새틀라이트 캐논를 장비하여 건담 X 대비 2배 이상의 위력을 자랑한다. 파일럿은 가로드 란.

2. 상세

이전 화부터 실루엣은 보여주고 있었으나 미완성인 상태로 22화에서 첫 등장. 쏘지도 못하는 트윈 새틀라이트 캐논으로 쟈밀과 프리덴 승무원들을 협박한다. 쟈밀 일행의 투항 후 24화 말미, 완성된 DX를 가로드가 강탈, 프리덴에 격납된다. 쟈밀 니트가 제 7차 우주 전쟁 당시 사용하던 건담 X를 부품으로 사용하여 제작된 건담. 새틀라이트 캐논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뉴타입의 인증이 필요하지만, 쟈밀 니트가 뉴타입 능력을 마음껏 발휘했던 당시의 건담 X가 부품으로 쓰였기 때문에 이미 인증이 끝나있어서 별도의 인증은 필요없었다.

7차 우주전쟁 당시 최강의 MS라고 불렸던 건담 X의 발전형으로, 15년 만에 신지구연방군이 건담X보다 강력한 기체를 목표로 개발한 기체이다. 리플렉터를 대형화한 새로운 방열 시스템의 채택으로, 냉각 효율의 향상이나, 에너지 용량의 증가를 실현했으며, 기존의 건담 X와는 달리, 새틀라이트 캐논의 포격모드에서 포신을 매니퓰레이터로 지지할 필요가 없어져서 MS의 단기 전투능력도 올라갔다. 각부에 기동성 향상을 위한 스러스터가 증설되어 기동성도 높고, 백병전에서도 뛰어난 운동 성능을 발휘한다. 한편, 신연방군은 새틀라이트 시스템의 가동에 필수적인, 뉴타입 능력을 가진 인재를 확보하지 못했기 때문에, 본 기체는 7차 우주전쟁 당시 쟈밀이 탑승하던 건담X의 데이터를 바탕으로 건조된 원오프 모델이 되었다.

기본도 강력한 새틀라이트 캐논이었지만 개량을 걸쳐 파괴력이 더욱 상승하였고 심지어 하나더 달려 2문 되어 트윈 새틀라이트 캐논이 되어 순수 화력으로는 작중 비견될 기체가 없다.[3] 발열과 에너지저장 부분 또한 개선되었기에 건담 X와 달리 마이크로 웨이브만 받을 수 있으면 아무런 추가 장비 없이 트윈 새틀라이트 캐논을 연사로 쏘는게 가능하다.[4] 그리고 작중 34화에서 새틀라이트캐논으로 콜로니 레이저를 저격하는데 더블x와 콜로니레이저 사이의 거리가 무려 380000km에 달한다. 즉 건담 시리즈 역사상 최장거리 저격. 콜로니레이저를 총 3번 공격하는데 처음 2번은 위협삼아 아슬아슬하게 빗나가게 쏘고 마지막 3번째는 콜로니레이저 중앙을 관통 하며 박살을 내는데 380000km 거리에서 이런 컨트롤이 가능했다는게 대단할정도.

근접전 능력향상을 상정하여 기본 출력도 상향되어, GX로는 안간힘을 써도 벗어나지 못했던 건담 아슈타론의 아토믹 시저스를 그냥 손으로 풀어 버리고 나올수 있다.

가로드는 동료들의 도움으로 DX를 탈취하고[5], 다가오는 지구연방군을 향해 트윈 새틀라이트 캐논을 조준하나 카독의 마지막 말인 '잘못을 되풀이하지 마'라는 말을 기억해 내고 트윈 새틀라이트 캐논을 섬에다 발사해 섬을 가루로 만든다. 이후 연방군은 물러가고, 가로드는 싸우지 않고 이긴 것이 되었다.

하지만 설정상으론 최강의 기체중 하나인데도 불구하고, 기체의 활약상은 후속 기체 치고는 너무나 홀대받은 분위기. 실제 극중에서는 저렇게 화려하게 등장한 이후 보스인 프로스트 형제와의 대결은 물론이고, 코르렐, 브리토바, 가블, 라스베트 등과의 일반전투에서 까지 엄청나게 고전하며[6] 이 때문인지 후술하는 각종 매체에서는 새틀라이트 캐논 이외의 성능은 그저 그런 기체로 묘사되었다. 여기에도 나름 이유가 있는데, 새틀라이트 캐논 자체가 대 MS전에서 쓰기 어려운 물건이고, 적들은 전부 에이스 파일럿들이었다. 특히 브리토바는 한밤 중에 싸웠는데도 캐논을 사용할 틈을 주지 않았다. 몇초간의 공백을 가져야 한다는 점은 MS전에서 큰 단점이고, 그렇게 된다면 고성능이긴 해도, 새틀라이트 캐논을 제외하면 딱히 특출난 부분이 없는 DX가 밀릴 수 밖에 없게 된다.

그러나 상대역의 기체들은 모두 베테랑 군인들이 몰았던 것이었고, 민간인에 속했던 가로드는 그들과는 달리 전투에서의 경험이 딸린 탓에 그렇게 보였을 수도. 건담 X디바이더도 가로드가 탈 때랑 자밀이 탔을 때랑 전투력이 천지차이로 달라지는 걸 보면, 그저 시기상으로도 DX를 가지게 된지 얼마 안 된 가로드가 기체의 능력을 끌어내지 못한 것일지도 모른다. 이후 후반부에 다수 대 다수의 전투에서 상당히 인상적인 활약을 펼치는 것을 보면 먼저 상대 했던 베테랑 군인들이 가로드의 실전 경험 광렙의 제물 이였을 수도 있다.

그래도 우주 콜로니에 잠입 후의 활약을 보면 적응이 되었는지 일반 군인들과도 대등하게 싸울 정도가 되기는 한다. 하지만 이 때의 상대는 건담 버사고 체스트 브레이크의 빔조차 막아내버리는 크라우다. 나름대로 열심히 실력 발휘를 해봤지만 빔 라이플과 브레스트 런처를 모두 맞아도 끄떡 없는 크라우다의 떡장갑, 그리고 15년 전 쟈밀의 라이벌이었던 란스로의 실력에 못 버티고 털려 G 팔콘에 실려가는 신세가 되어버렸다. 그리고 마지막 달에서의 최종 결전에서 프로스트 형제와 서로 새틀라이트 캐논으로 격돌, 대파되어 잔해가 달 주변을 떠돌아 다니는 모습으로 등장종료.이 후로는 회수되지 않고 그대로 우주에 버려진건지 뒷 이야기를 그린 코믹스 같은데에서도 등장하지 않는다.[7][8]

설정상 건담 해머를 비롯한 다양한 옵션무장을 가지고 있지만[9], 본편이 조기 종영해버린 결과 실제 극중에선 써보지도 못하고 37화의 격납고에 놓여져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는 정도. 본편에서 사용하는 버스터 라이플과 디펜스 플레이트는 순정품이 아니라 키드가 조달한 것이다. 이 옵션무장들은 아래에 서술하는 2차 매체에서도 좀처럼 구현되지 않고 있다. 예외 적으로 PSP기종 타이틀 '건담 메모리즈 - 전장의 기억'에서 원거리 콤보로 로켓 런처, 퀵어택 연출 모션으로 빔 자벨린을 사용하는 부분이 있고, 지금은 서비스종료된 한국게임인 SD건담 캡슐파이터에서도 G-해머가 구현되었다.

팬들 중에서는 얼굴 디자인이 묘하게 구레나룻이 들어가 있다고 생각하는 팬들도 있다. 사실 얼굴 옆의 뾰족한 날은 이마의 V모양 블레이드 안테나와 같이 봤을때 X 형상을 띠도록 디자인된 요소다. 얼굴 양 옆의 길쭉한 날을 구레나룻으로 친다면 턴에이 건담보다도 먼저 일찍 나온 수염 건담인 셈(그나마 턴에이와 달리 뿔이 있는데다, 입 부분과 일체되지는 않아 양호하다). 그 때문인지 파계편그라함 에이커의 특수 대사에는 턴에이와 함께 수염 달린 건담으로 취급하는 대사가 있다.

플래시 시스템을 탑재하고 있어 뉴타입 파일럿용 FX-9900 GX-Bit 비트 모빌슈트의 운용과 원격 조종 등이 가능한다.

2.1. 무장

  • 헤드 발칸
    머리 측면에 각각 1문씩 내장. 위력은 높지 않지만 견제나 대인 소탕으로 폭넓게 사용된다. 일부 얇은 장갑을 지닌 모빌슈트는 격파할 정도의 위력을 지녔다.
  • 트윈 새틀라이트 캐논
    건담 X에 탑재된 새틀라이트 캐논의 연장선에 있는 초고출력 에너지포. 건담 DX를 대표하는 무장이다. 콜로니 섬멸 무기로 개발된 것으로, 달에서 전송된 슈퍼 마이크로 웨이브를 등의 리플렉터에 수렴시켜 충전한 에너지를 발사한다. 건담 X와 비교하면, 새틀라이트 시스템 Mk-II 덕분에 가동 효율이 향상되어 위력이 강화되고 동시에 연사 또한 가능해졌다.
  • 전용 버스터 라이플
    건담 DX 전용 장비로 개발된 무장. 다른 기종의 빔 라이플 대비 총신이 길고 위력과 연산력이 뛰어난 고성능 휴대 병기이다. 철저한 경량화가 이루어져 기동성이 좋고, 내부 구조도 단순하여 정비성도 뛰어나다. 표준 빔 라이플의 몇 배에 달하는 위력의 빔을 발사할 수 있지만, 에너지 용량은 적다.
  • 하이퍼 빔 소드
    근접 전투용 병기로, 허리의 사이드 아머 양쪽에 각각 1개씩 장착되어 있다. 그 출력은 새틀라이트 시스템의 에너지 공급 능력에 대응하는 건담 X의 동종 병장비를 능가하며, 단일 기능 병장으로 사실상 당시 최강급으로 평가된다. 모빌슈트는 쉽게 양단할 정도의 위력이며, 휴대하지 않은 상태에도 일정시간 가동하여 투척용으로 사용되기도 한다.
  • 브레스트 런처
    헤드 발칸과 동일한 실체탄 계열 병기로, 흉부의 에어 인테이크 위라에 총 4기가 장착되어 있다. 각종 탄두를 발사할 수 있는 멀티 퍼펙트 사양으로 모빌슈트를 격파할 수 있을 정도의 위력을 지녔다.
  • 디펜스 플레이트
    건담 DX 전용 방어 장비로, 장갑은 소체에 사용된 루나 티타늄 합금으로 구성되어 있다. 가볍고 강인하다. 높은 강도 덕분에 근거리에서 발사되는 빔을 어느 정도 방어하는 성능을 지녔지만, 집중 포격 시 파손되기도 한다. 뒷면에는 그립과 마운트 래치를 갖추고 있어 조작기로 고정하는 방식과 팔뚝에 장착하는 방식 모두 가능하다.
  • 기타 옵션 무장
    앞서 서술된 무장들 외에도 G-해머, 빔 자벨린도 존재한다. 작중에서 실제 운용된 적은 없으며 37화에서 격납고에 놓여져 있는 것으로만 확인된다.

3. 설정화

파일:GX-9901-DX 건담 DX(새틀라이트 캐논 전개) 설정화 전면.png 파일:GX-9901-DX 건담 DX(새틀라이트 캐논 전개) 설정화 후면.png
새틀라이트 캐논 전개 형태

4. 기타

SD건담 삼국전에서 조조 건담의 모티브가 되었는데, 역대 건담 DX 중 가장 취급이 좋다고 볼 수 있을 정도.

건담 빌드 파이터즈 7화에선 금색으로 도장한 버전이 등장했으며, 12기의 G 비트도 대동했으나 세이의 빌드 건담 Mk-II와의 교전에서 패배.

같은 큰선생이 디자인한 프리덤 건담에 디자인적으로 모티브가 된 건담이다. 흉부의 디자인이나 커다란 날개 형상의 구조물, 한 쌍의 빔 포 등 프리덤 건담과 유사한 부분이 상당히 많다.[10]

건담 배틀얼라인언스에서 윙제로와 상호대사 작용으로 건담 DX의 무장은 윙제로의 트윈 버스터 라이플 이상의 화력이라고 한다.

5. 모형화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건담 DX/모형화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6. 게임에서의 건담 DX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건담 DX/게임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7. 둘러보기

기동전사 건담 시리즈 애니메이션 작품별 주역기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쇼와 (昭和)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color=#fff> 파일:기동전사 건담 로고.png 기동전사 건담 (1979)
건담
파일:기동전사 Z 건담.png 기동전사 Z 건담 (1985)
건담 Mk-II Z 건담
파일:기동전사 건담 ZZ 로고.png 기동전사 건담 ZZ (1986)
Z 건담 ZZ 건담 강화형 ZZ 건담 풀 아머 ZZ 건담
파일:기동전사 건담 역습의 샤아 로고.png 기동전사 건담: 역습의 샤아 (1988)
리가지 뉴 건담
}}}}}}}}}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헤이세이 (平成) 1 (1989~2004)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color=#fff> 파일:0080_WAR_IN_THE_POCKET.png 기동전사 건담 0080: 주머니 속의 전쟁 (1989)
자쿠 II 改 건담 NT-1
파일:Gundam_F91_Logo.png 기동전사 건담 F91 (1991)
건담 F91
파일:기동전사 건담 0083 스타더스트 메모리 로고.png 기동전사 건담 0083: 스타더스트 메모리 (1991)
건담 시작 1호기 건담 시작 3호기
파일:기동전사 V 건담 로고.png 기동전사 V건담 (1993)
빅토리 건담 V2 건담
파일:G-gundam logo.png 기동무투전 G건담 (1994)
샤이닝 건담 갓 건담
파일:Gundam_Wing_Logo_Small.png 신기동전기 건담 W (1995)
윙 건담 윙 건담 제로
파일:기동전사 건담 제08MS소대 로고.png 기동전사 건담: 제08MS소대 (1996)
육전형 건담 건담 Ez-8
파일:기동신세기 건담 X 로고 small.png 기동신세기 건담 X (1996)
건담 X 건담 X 디바이더 건담 DX
파일:신기동전기 건담 W Endless Waltz 로고(화이트).svg 신기동전기 건담 W Endless Waltz (1997)
윙 건담 제로(EW)
파일:턴에이 건담 로고.png ∀ 건담 (1999)
턴에이 건담
파일:gundam_seed_logo.gif 기동전사 건담 SEED (2002)
스트라이크 건담 프리덤 건담
파일:gundam_seed_d_logo.png 기동전사 건담 SEED DESTINY (2004)
임펄스 건담 데스티니 건담 스트라이크 프리덤 건담 인피니트 저스티스 건담
기동전사 건담 MS IGLOO 시리즈 (2004)
요르문간드 힐돌브 주다 제곡크
옥고 빅랭 61식 전차 육전 강습형 건탱크
}}}}}}}}}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헤이세이 (平成) 2 (2005~2019)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color=white> 파일:gundam_seed_stargazer.png 기동전사 건담 SEED C.E.73 STARGAZER (2006)
스타게이저 건담 스트라이크 느와르 건담
파일:기동전사 건담 00 로고.png 기동전사 건담 00 (2007)
건담 엑시아 더블오 건담
파일:기돈전사 건담 00 극장판 로고.png 극장판 기동전사 건담 00 A wakening of the Trailblazer (2010)
더블오라이저 GN 콘덴서 타입 더블오 퀀터
모형전사 건프라 빌더즈 비기닝 G (2009)
비기닝 건담 비기닝 30 건담
파일:기동전사 건담 UC.png 기동전사 건담 UC (2010)
유니콘 건담 풀아머 유니콘 건담
파일:attachment/logo_2.png 기동전사 건담 AGE (2011)
건담 AGE-1 건담 AGE-2 건담 AGE-3 건담 AGE-FX
파일:external/gundam-bf.net/logo_gbf.png 건담 빌드 파이터즈 (2013)
빌드 스트라이크 건담 빌드 건담 Mk-II 스타 빌드 스트라이크 건담
파일:attachment/건담 G의 레콘기스타/logo.png 건담 G의 레콘기스타 (2014)
건담 G 셀프
파일:attachment/건담 빌드 파이터즈 트라이/logo_gbf_2nd.png 건담 빌드 파이터즈 트라이 (2014)
빌드 버닝 건담 트라이 버닝 건담 카미키 버닝 건담
파워드 짐 카디건 위닝 건담 스타 위닝 건담
라이트닝 건담 라이트닝 건담 풀 버니언 라이트닝 제타 건담
파일:attachment/기동전사 건담 THE ORIGIN/top_logo.png 기동전사 건담 THE ORIGIN (2015)
샤아 전용 자쿠 II
파일:철혈의 오펀스 로고-1.png 기동전사 건담 철혈의 오펀스 (2015)
건담 발바토스 건담 발바토스 루프스 건담 발바토스 루프스 렉스
건담 빌드 파이터즈 트라이 아일랜드 워즈 (2016)
카미키 버닝 건담 스타 위닝 건담 라이트닝 건담 스트라이더
건담 빌드 파이터즈 GM의 역습 (2017)
빌드 스트라이크 건담 코스모스 스타 버닝 건담
건담 빌드 파이터즈 배틀로그 (2017)
리버시블 건담
발리스틱 자쿠
건담 라이트닝 블랙 워리어 & 건담 드라이온 III 슈퍼 후미나 & 하이퍼 걍코 스트라이커 GN-X & GN-X IV TYPE.GBF
PG 건담 엑시아
빌드 스트라이크 건담 갤럭시 코스모스 A-Z 건담
파일:Gundam Thunderbolt Logo.png 기동전사 건담 썬더볼트 (2016)
풀아머 건담 아틀라스 건담 사이코 자쿠
파일:Mobile_Suit_Gundam_Twilight_Axis_HD_Logo.png 기동전사 건담 Twilight AXIS (2016)
자쿠 III 改 건담 AN-01 트리스탄 아하바 아질
파일:header_link01.png 건담 빌드 다이버즈 (2018)
건담 더블오 다이버 건담 더블오 다이버 에이스 건담 더블오 스카이
파일:MSG_NT_logo.png 기동전사 건담 NT (2018)
내러티브 건담 유니콘 건담 3호기 페넥스
}}}}}}}}}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레이와 (令和) (2019.5~)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color=#fff> 건담 빌드 다이버즈 리라이즈 (2019)
코어 건담 코어 건담 II
파일:섬광의 하사웨이_로고_png.png 극장판 기동전사 건담: 섬광의 하사웨이 (2021)
크시 건담
파일:기동전사 건담 수성의 마녀 로고.png 기동전사 건담 수성의 마녀 (2022)
건담 에어리얼 건담 에어리얼 개수형 건담 캘리번
건담 빌드 메타버스 (2023)
라 건담
파일:기동전사 건담 SEED FREEDOM 로고.png 기동전사 건담 SEED FREEDOM (2024)
라이징 프리덤 건담 스트라이크 프리덤 건담 2식
}}}}}}}}} ||
[ 각주 ]

[1] 토키타 코이치기동신세기 건담 X의 코믹스판의 자투리만화에서 듀오 맥스웰이 DX는 Duo Maxwell의 약자이니 자기한테 내놓으라는 억지를 부린다. 천하의 건담팔이 소년 가로드조차도 이 제안엔 "싫어"라고 딱 잘라 말한다.[2] 작명의 의도나 의미를 모르면 읽을 수 없는 이름의 건담의 대표로 자주 뽑힌다. 건담 DX 외에는 ZZ 건담, ν(뉴) 건담, V 건담, Ξ(크시) 건담, 0(오) 건담, 1.5(아이즈) 건담 등이 있다.[3] 애시당초 마이크로 웨이브를 수신받은 시점에서 에너지는 넘쳐나는데 X에서는 1문에 새틀라이트 캐논만 간신히 쓴 것이며, 기술의 발전으로 DX에 와서 2문으로 늘린 것. 허나 여전히 2문으로 새틀라이트 캐논을 발사해도 에너지는 차고 넘친다고 한다. 본편에서도 한번 충전해서 세 발을 쐈다.[4] 34화에서 대사 인증까지 해주면서 트윈 새틀라이트 캐논을 연사로 쏜다. 연사 텀이나 충전량 같은 것도 의미가 없는 게 해당 화 시작할때 미리 한번 충전해놓고 그걸로 3발까지 쏴버린다. 해당 화에서는 2연사만 나왔지만 대사로 최소한 한번 충전으로 최소 3연발을 쏴버리는 게 가능함을 유추할 수 있다. 애초에 G팔콘이 DX용이 아니라 GX용임을 생각하면 DX에게는 G팔콘의 새틀라이트 보조 능력이 별 의미가 없는 능력이나 연사가 안되는 GX에게는 쓸만할 수도 있다. 애니판 DX는 새틀라이트 시스템 운영에 있어서는 제약이란 게 전혀 없는 x사기 기체로 연출된다.[5] 전용 G컨트롤러는 신지구연방군이 갖고 있어서 본래 건담 X 디바이더를 조종할 때 쓰던 G컨트롤러를 사용했다. 덕분에 X 디바이더는 한동안 조종키가 없어서 봉인됐으며 이 시기에는 건담 에어마스터 버스트가 대신 활약한다.[6] 코르렐을 제외하면 단신으로 이긴 적이 없다. 코르렐과의 싸움도 메뚜기처럼 미친 듯이 날아다니다못해 무슨 개나리 스텝 수준의 기동력으로 DX를 압도하고, 라이플이나 발칸 사격을 모조리 회피하면서 왼팔을 실드째 잘라내고 백팩을 나이프로 찍어 추진기도 고장냈으며, 흉곽의 마이크로 웨이브 송신 패널까지 갈가리 찢어버려 새틀라이트 캐논마저 봉인하는 등의 상식을 초월하는 기동성에 압도당했으나, 의도하지 않은 럭키 펀치에 가까운 승리를 이뤘다. 나머지 전투에서도 두들겨 맞는게 대부분. 강력하기 그지없는 모습을 보여준 헤이세이 건담의 후계기 치고는 좋다고 할순 없는 취급이기에, 일본에서는 DX의 이런 취급도 네타거리가 되기도 한다.[7] 애니에선 대놓고 잔해가 우주를 떠도는것으로 한컷 등장.[8] 이랬기에 헤이세이 신건담 후반 주역기 중 유일하게 파괴된 후반 주역 건담이다,손상 하나 없던 갓 건담,리브라의 잔해를 트윈 버스터 라이플로 파괴하던 도중 외장의 일부가 대기권 내에서 뜯겨져 나갔지만 기본적으로 가변 기능과 움직이는게 모두 가능했던 윙 건담 제로의 경우를 보면 EW버전의 윙 제로는 논외로 두고 이야기한다 쳐도 DX 혼자만 파괴되었다.[9] 빔 자벨린, 트윈 빔 소드, 그레네이드로 건프라 HG 1/100의 구성품으로 모형화되었다.[10] 차이점이라면 DX의 리플렉터는 날개의 형상이기만 하지만 프리덤의 주익은 진짜 날개로 사용하고 투명/불투명 상태는 그렇다 쳐도 흉부에 에너지 마이크로 웨이브 수신장치에서 발사하는 DX랑은 다르게 프리덤은 핵엔진에서 출력을 끌어온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