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
,
,
,
,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1. 개요
서로 대립하거나 경쟁(선의의 경쟁 포함)하는 관계를 일컫는 말. 직역하면 '경쟁자'이다. Rival(라이벌)의 어원은 stream, 즉 시내, 개천이고, 강을 의미하는 river의 어원은 bank of a river이란 뜻인 ripa이다. 좁은 시내, 개천의 자원과 통행의 주도권을 놓고 경쟁해야 하는 관계이기 때문에 형성된 단어로 보인다.라이벌은 경쟁을 통해서 서로를 인정하고 발전하는 구도라고 할 수 있다. 상대를 인정하는 마음 같은 게 없고 그냥 적의로만 가득 찬 관계이거나, 서로를 못 잡아먹어 안달인 구도는 라이벌이 아니라 그냥 적, 아치 에너미다. 숙적이나 앙숙 관계에서는 상대의 존재를 절대 용납하지 않고 양쪽 모두 자기가 정의임을 자처한다. 즉, 상대는 조금이라도 인정할 가치 그딴 거 없이 반드시 멸해야 할 존재일 뿐이나 때에 따라서는 라이벌로 취급하거나 라이벌로 병행하는 경우도 종종 있다.
영어권에서는 흔한 클리셰 중 하나인 동료이자 라이벌[1]인 관계를 일컬어 Frenemy(Friend + enemy; 프레너미)라고 한다.
라이벌은 서로 동성인 경우가 비교적 많지만 이성인 경우도 있다. 그러한 경우 서로 경쟁하면서도 호감을 가지게 되는 경우도 있다.
스포츠에서 라이벌끼리 맞붙을 때에는 더비 매치(주로 축구) 및 시리즈(주로 야구)라는 용어를 사용한다.
지구상 최고(古)의 라이벌은 바로 개미(공격) VS 흰개미(방어)로 무려 1억 년 넘게 대립해 왔고 지금도 진행 중이다.
괴도물에서는 도망치는 괴도와 그 괴도를 쫓는 형사 혹은 탐정 사이에 라이벌 의식 비슷하면서 신뢰하는 경향이 있다.[2]
게임에서 플레이어 캐릭터의 라이벌이라는 설정을 가진 NPC가 나오기도 한다. 액션 게임이나 롤플레잉 게임의 경우 대개 플레이어형 보스로 나오며 라이벌이랍시고 나온 캐릭터가 너무 쉽게 쓰러지면 플레이어에게 깊은 인상을 줄 수 없기 때문에 난이도는 굉장히 어렵게 나오는 경우가 많다. 게임에 따라선 적들이 플레이어의 레벨이나 능력치에 비례해서 강해지는 레벨 스케일링 개념이 없는 게임이라도 라이벌 캐릭터만은 예외적으로 레벨 스케일링이 적용되는 경우도 있다. 리듬 게임에서는 자신이 등록한 플레이어의 스코어를 확인할 수 있는 시스템으로 일부 게임에 도입되어 있으며 자신의 평균 실력 확인이나 플레이 동기를 부여해주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
2. 라이벌의 종류
2.1. 실존 라이벌
2.2. 창작물에서의 라이벌 캐릭터
2.3. 만화에서의 라이벌
| | |
쿄 vs 이오리[3] | 해리 vs 말포이 | 라이거 vs 도르가 |
| | |
스파이더맨 vs 베놈 | 히맨 vs 스켈레토 | 히이로 vs 젝스 |
| | |
유기 vs 케이이치 | 엑셀 vs 시바 | 세츠나 vs 그라함 |
| | |
아무로 vs 샤아 | 류 vs 사가트 | 템진 vs 라이덴 |
| | |
옵티머스 vs 메가트론 | 진라이 vs 오버로드 | 리틀 비퍼 vs 칼라미티 코요테 |
| | |
손오공 vs 베지터 | 하오마루 vs 겐주로 | 솔 vs 카이 |
2.3.1. 로맨스/순정 장르에서의 라이벌
육체적인 싸움을 한다기보다는 기술이나 외모 혹은 목표로 하는 것에 대해 라이벌이 되는 경우가 많다. 대표적으로 유리가면의 마야와 아유미.2.4. 스포츠의 라이벌
2.4.1. 축구
2.4.2. 야구
- 두산 베어스 vs LG 트윈스 (KBO)
- LG 트윈스 vs 롯데 자이언츠 (KBO)
- 롯데 자이언츠 vs NC 다이노스 (KBO)
- KIA 타이거즈 vs 삼성 라이온즈 (KBO)
- 두산 베어스 vs 삼성 라이온즈 (KBO)
- 롯데 자이언츠 vs 삼성 라이온즈 (KBO)
- 롯데 자이언츠 vs SSG 랜더스 (KBO)
- LG 트윈스 vs 키움 히어로즈 (KBO)
- SSG 랜더스 vs kt wiz (KBO)
- 두산 베어스 vs SSG 랜더스 (KBO)
- 롯데 자이언츠 vs KIA 타이거즈 (KBO)
- 두산 베어스 vs KIA 타이거즈 (KBO)
- 뉴욕 양키스 vs 보스턴 레드삭스 (MLB)
- LA 다저스 vs 샌프란시스코 자이언츠 (MLB)
- 시카고 컵스 vs 세인트루이스 카디널스 (MLB)
- LA 다저스 vs LA 에인절스 (MLB)
- 요미우리 자이언츠 vs 한신 타이거스 (NPB)
- 사이타마 세이부 라이온즈 vs 후쿠오카 소프트뱅크 호크스 (NPB)
2.4.3. 미식축구
- 커맨더스 - 카우보이스 라이벌리
- 카우보이스 - 이글스 라이벌리
- 피츠버그 스틸러스 vs 볼티모어 레이븐스
- 시카고 베어스 vs 그린베이 패커스
- 뉴욕 자이언츠 vs 필라델피아 이글스
- 뉴잉글랜드 페이트리어츠 vs 인디애나폴리스 콜츠
- 마이애미 돌핀스 vs 뉴욕 제츠
- 캔자스시티 치프스 vs 라스베가스 레이더스
- 그린베이 패커스 vs 샌프란시스코 49ers
- 캔자스시티 치프스 vs 버팔로 빌스
2.4.4. 테니스
2.4.5. 대학교
- 미시간 대학교 vs 오하이오 주립대학교: 일명 the game, 가장 유명한 미국 대학교 간의 스포츠 라이벌이다. 미식축구가 특히 유명하며 짝수해는 오하이오 주립, 홀수해는 미시간대학교의 홈경기로 대학미식축구 경기를 갖는다.
- 오클라호마 대학교 vs 텍사스 대학교 오스틴: 일명 Red River Shootout, 남부지역의 두 플래그십 대학교 간의 라이벌 경기. 매년 중립경기로 미식축구 종목의 라이벌 전을 벌인다. 양교가 위 두 학교가 속해 있는 Big-12 컨퍼런스의 주축을 이룬다.
- 듀크 대학교 vs 노스캐롤라이나 대학교: 미국의 손꼽히는 대학농구 라이벌
- UCLA vs 서던 캘리포니아 대학교
- 플로리다 대학교 vs 마이애미 대학교: 여기에 플로리다 주립대학교 까지 플로리다주 버전 삼국지가 매년 펼쳐진다.
- 한국과학기술원(KAIST) vs 포항공과대학교: 포카전
2.4.6. e스포츠
- T1 vs Gen.G Esports (리그 오브 레전드)
- RunAway vs Lunatic-Hai (오버워치)
- Crazy Raccoon vs Team Falcons (오버워치)[4]
3. 관련 문서
[1] 라이벌 외에도 '한때는 친구였으나 이제는 적', '겉으로는 친한 척하지만 속으로는 배신할 생각을 하고 있는 사람'도 뜻한다.[2] 대표적으로 세인트 테일에서는 세인트 테일은 사연 없는 물건은 훔치지 않는다고 형사(?)쪽에서 의뢰주에게 못을 박아버리고 의뢰주의 뒷조사까지 다 해 버린다. 루팡 3세에서도 제니가타 코이치 경부에게 애칭으로 부르고 전화번호 교환도 할 정도로 상당히 친하다.(그래도 만나면 잡고 튀는 관계) 괴도 키드에서도 나카모리 경부가 키드는 절대 총을 쏘지 않고 사람을 죽이지 않는다고 신뢰하고 있기도 한다. 게다가 탐정(코난)과도 한 번씩 협력관계가 되기도 한다.[3] KOF 94 초기에는 니카이도 베니마루가 팀원이면서 라이벌 포지션으로 기획되었으나 95부터는 야가미 이오리의 등장으로 인해 양상이 완전히 바뀌었다. 사실상 테리와 료의 라이벌 구도가 묻히는 결과를 초래했다.[4] 일명 C팔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