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9-12 12:05:17

계룡버스


파일:나무위키+유도.pn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충청남도 계룡시 면허의 시내버스 노선에 대한 내용은 계룡시 시내버스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파일:대전광역시 휘장_White.svg 대전광역시 버스 회사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경익운수 계룡버스 국민버스
금남교통 대전BRT 대전교통
대전버스 대전승합 대전운수
동건운수 동인여객 산호교통
유성마을버스마을 한일버스 협진운수
}}}}}}}}} ||

계룡버스[1]
업종명 운수업
설립일 1962년 8월 5일
대표 김창중
위치 대전광역시 대덕구 덕암로81번길 82 (상서동)
전화번호 042)639-6800~4
차량번호 대전 75 자 20##, 90##

1. 개요2. 운행중인 노선3. 면허 체계4. 보유 차종5. 관련 문서

1. 개요

대전광역시시내버스 회사이다.

본사는 대전광역시 대덕구 덕암로81번길 82(상서동)에 있고, 2024년 기준으로 총 9개 노선, 95대를 운용하고 있다.

1956년 설립하여 대전시내버스 사업을 가장 먼저 시작하였다. 1979년 한일버스/협진운수/신일교통(산호교통) 등이 이 회사에서 분리 독립해 설립하였으며, 분사 이후로는 아시아버스[2], 현대버스, 대우버스를 골고루 도입하였다가 2001년부터 2004년까지는 대우버스만을 도입하였고 2005년부터는 현대버스도 다시 도입하였다. 대형차는 2012년부터는 완전히 현대버스로 전향했으며 중형차는 현대버스와 대우버스를 병행 출고했다.

대전광역시 시내버스에서 마지막까지 디젤차량을 운행한 회사였다.

2021년 6월 말에는 자일대우버스 베트남 이전에 의한 울산공장 조업 중단 문제로 3년만에 그린시티를 출고했으며, 개선형으로는 첫 출고다. 수소버스 충전은 학하동 수소충전소를 이용한다.

2021년 10월 말에는 대전승합에 이어 일렉시티 수소전기버스를 출고해 613번에 투입되었다.[3] 12월 말에 1대 더 출고해 102번에도 투입되었다.

자일대우버스 울산공장 가동 재개 및 베트남 수입 개시로 2022년 3월 31일에는 오랜만에 NEW BS090을 출고했으며[4], 자일대우버스의 최종 폐업처리가 확정된 이후인 2022년 9월에는 그린시티를 다시 출고했는데 무려 인천 취소분 차량이다.[5] 따라서 비록 자체출고분은 아니지만 대전광역시도 플라스틱 시트 옵션 고상차량을 보유하게 되었다. 116번 투입.

대전 최후의 대형 고상버스 출고 회사이다. 대전도 2022년 3월 이후 대형 대차는 저상버스로만 하고 있다.

대전에서 드물게 좌석 봉 추가설치는 일절 하지 않는다. 대신 미개선형 하차벨을 개선형 버전 하차벨로 교체한 차량이 있다.[6]

2023년 일렉시티 전기버스를 첫 출고했으며, 2024년 1월 대전에서 대전버스에 이어 2번째로 일렉시티 타운을 출고해 918번에 투입됐다.

이름이 '계룡버스'이지만 계룡시 시내버스 노선은 없으며, 2024년 3월 26일 202번에서 철수하면서 계룡시로 들어가지도 않는다. 애초에 이 회사가 계룡시보다 먼저 생겼으며[7] 대전 지역에서도 계룡산에서 따온 '계룡'이라는 상호명을 전통적으로 많이 썼다.

2. 운행중인 노선

<rowcolor=#fff> 간선
<rowcolor=#fff> 번호 기점 주요 경유지 종점 배차 간격
102 수통골 한밭대학교 - 현충원역 - 유성온천역 - 충남대학교 - 정부청사역 - 오정농수산물시장 - 한남대학교북문 - 중리네거리 - 복합터미널 - 우송대학교 - 대동역 - 원동네거리 대전역동광장 7~10
105[공동배차] 충대농대 충남대학교 - 유성온천역 - 대전일보사 - 큰마을네거리 - 탄방역 - 충남고 - 오정농수산오거리 - 한남대학교 - 대전복합터미널 - 가양네거리 - 명석고 비래삼호아파트 9~11
113 서남부터미널 도마네거리 - 변동오거리 - 괴정네거리 - 갈마삼거리 - 갈마초등학교 - 월평역 - 충남대학교 - 유성온천역 - 현충원역 - 한밭대학교 - 수통골입구 - 별밭공원 학하동 22~25
601 비래동 대전복합터미널 - 홍도지하차도 - 오룡역 - 태평오거리 - 변동오거리 - 안골네거리 - 도솔터널 - 목원대네거리 - 법원등기국 - 트리풀시티9단지 - 유성고 구암동 21~23
613 비래동 가양비래공원 - 한국폴리텍대학 - 성남네거리 - 대전역 - 중구청 - 서대전네거리역 - 버드내아파트 - 도마삼거리 - 변동근린공원 - 내동네거리 갈마아파트3단지 14~17
<rowcolor=#fff> 지선
<rowcolor=#fff> 번호 기점 주요 경유지 종점 배차 간격
116 안산동 국방과학연구소 - 외삼중 - 반석역 - 지족역 - 송림마을5~6단지 - 유성경찰서 - 노은역 - 유성시장 - 구암역 - 유성온천역 - 대전교통공사 - 은하수네거리 - 선사유적지 - 무지개.샛별아파트 월평주공아파트 24~32
918 탑립동 청벽산공원삼거리 - 테크노밸리4~5단지 - 북대전IC - 중앙백신연구소 - 한남대대덕캠퍼스 - 엑스포아파트 - 문지삼거리 - 대덕고 - 신세계백화점 - 정부대전청사 - 삼천중 - 크로바아파트 - 시청역 시청 22~29
<rowcolor=#fff> 외곽
<rowcolor=#fff> 번호 기점 주요 경유지 종점 배차 간격
61
(61-1)
대전대학교 용운국제수영장 - 판암주공4~5단지 - 판암역 - 동신과학고 - 줄골 - 비룡교차로 - 금성마을 - 양지말 - 동명초교 - 중말(대청호자연생태관) - 동명초교 - 가래울 - 원마산 - 양구례마을 냉천골 일 4회
61
(61-2)
용운국제수영장 - 판암주공4~5단지 - 판암역 - 동신과학고 - 줄골 - 비룡교차로 - 금성마을 - 양지말 - 동명초교 - 대청호자연생태관 천개동 일 4.5회

3. 면허 체계

  • 대전 7520##호(도시형 대차분), 9002~9027호(좌석 대차분)

4. 보유 차종

4.1. 현재 보유 차종

4.1.1. 현대자동차

4.1.2. 자일대우버스

4.2. 과거 보유 차종

4.2.1. 현대자동차

4.2.2. 자일대우버스

4.2.3. 기아

5. 관련 문서



[1] 등기상 정식 명칭은 계룡뻐스였다가 2020년 계룡버스로 변경[2] 분사 전에 도입한 아시아 AB185, 1982년~1983년에 도입한 AM907, 1992년~1994년에 도입한 AM937E, 1996년에 도입한 직행좌석 및 중형차량[3] 원래 이 차량도 102번에 투입될 예정이었으나, 비래동~신대차고지 간 거리가 수통골~학하동 본사 간 거리보다 가까워 비래동 출발인 613번에 우선 투입되었다.[4] 다만 2021년 여름에 제작된 차량으로, 당시 대우버스 공장이 일시적으로 가동되었을 때라 경기고속 취소분을 가져온 것이 유력하다.[5] 인천 취소분 특징은 천연가스폰트가 13년식 이전 차량의 휴먼굵은팸체를 이용한 자체 슬로건 "매연없는 천연가스버스"이다.[6] 개선형 하차벨이 내구성 문제로 인해 구형 하차벨로 교체하는 차량도 많은 상황을 생각해보면 대비되는 부분이다.[7] 계룡대 3군본부보다도 먼저 생겼다.[공동배차] 협진운수와 공동배차[9] 1987년~1989년에 좌석부문에 대량 도입하여 1990년대 중반까지 자사 좌석버스의 주류를 이루기도 하였다.[10] 1993년 당시 증차분으로 2대 도입하였다.[11] 1992년 도입분으로 5대 있었다.[12] 3대 있었는데 전 차량 모두 1999년 말에 도입한 차량이다.[13] 2006년에 1대 도입하였다.[14] 1984년~1985년에 도입한 중문 슬라이딩 형식이 많았고, 이외에 1983년에 도입한 전중문 폴딩형식도 적지 않게 있었다.[15] 1988년 초까지 출고된 2등식 전조등 형식차량을 구 한밭여객과 같이 1997년 말까지 운행했다.[16] 2000년대 초중반까지 대우버스 위주로 도입했던 업체 치곤 특이하게도 1993년~1995년 당시에는 도시형/좌석 모든 부문에 자체 신차로 도입하는 경우가 단 1번도 없었다. 1998년~1999년이 되어서야 좌석부문에 1993년~1994년형 차량을 중고로 도입하였다. 9024호의 경우 96년식 쇠창틀 전문형이었는데 06년 12월까지 굴렸고, 대전 최후의 대우 하이파워 쇠창틀 전문형으로 이름을 남긴다.[17] 9015~9017 3대는 대전시내버스 마지막 디젤차량이었으며, 2013년 초에 뉴 슈퍼 에어로시티 일반버스로 모두 대차되었다.[18] 2007년에 4대 도입하였다. 후에 일반/저상 각 2대씩 대차되었다.[19] 1996년 오지노선 투입 목적으로 도입한 버스이다.[20] 1996년 말 입석→중형 전환분 버스이다.[21] 1992년~1994년 좌석형 및 1996년 직행좌석 1대 도입분이다. 이후 직행좌석 폐선으로 인해 폐차되어 결번되었다.[22] 1992년~1994년에 도입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