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8-15 18:06:56

국립부경대학교/용당캠퍼스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국립부경대학교
파일:관련 문서 아이콘.svg   관련 문서: 국립부경대학교/대연캠퍼스
#!if 문서명2 != null
, [[]]
#!if 문서명3 != null
, [[]]
#!if 문서명4 != null
, [[]]
#!if 문서명5 != null
, [[]]
#!if 문서명6 != null
, [[]]

파일:부산광역시 휘장_White.svg 부산광역시의 대학별 캠퍼스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파일:경성대학교 UI.svg 경성대학교 캠퍼스 파일:고신대학교 심볼.svg 고신대학교 (송도캠퍼스 · 영도캠퍼스)
파일:동명대학교 엠블럼.svg 동명대학교 캠퍼스 파일:동서대학교 엠블럼.svg 동서대학교 (주례캠퍼스 · 센텀캠퍼스)
파일:동아대학교 UI.svg 동아대학교 (승학캠퍼스 · 부민캠퍼스 · 구덕캠퍼스) 파일:동의대학교 UI.svg 동의대학교 (가야캠퍼스 · 양정캠퍼스)
파일:부경대학교 엠블럼.svg 부경대학교 (대연캠퍼스 · 용당캠퍼스) 파일:부산가톨릭대학교 심볼.svg 부산가톨릭대학교 캠퍼스
파일:부산교육대학교 로고.svg 부산교육대학교 캠퍼스 파일:부산대학교 심벌마크.svg 부산대학교 (부산캠퍼스 · 아미캠퍼스)
파일:부산외국어대학교 심볼.svg 부산외국어대학교 캠퍼스 파일:신라대학교 교표.svg 신라대학교 캠퍼스
파일:영산대학교 UI.svg 영산대학교 해운대캠퍼스 파일:인제대학교 교표.svg 인제대학교 부산캠퍼스
파일:한국해양대학교 심볼.svg 한국해양대학교 (아치캠퍼스 · 서부산융합캠퍼스 · 다운타운캠퍼스) }}}}}}}}}

이원화 캠퍼스 목록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colbgcolor=#fff,#191919> 파일:가천대학교 엠블럼.svg 가천대학교 글로벌캠퍼스(경기도 성남시)
메디컬캠퍼스(인천광역시 연수구)
파일:가톨릭대학교 앰블럼.svg 가톨릭대학교 성신교정(서울특별시 종로구)
성심교정(경기도 부천시)
성의교정(서울특별시 서초구)
파일:강원대학교 엠블럼.svg 강원대학교 춘천캠퍼스(강원도 춘천시)
삼척캠퍼스(강원도 삼척시 교동)
도계캠퍼스(강원도 삼척시 도계읍)
파일:경기대학교 로고.svg 경기대학교 수원캠퍼스(경기도 수원시)
서울캠퍼스(서울특별시 서대문구)
파일:경북대학교 심벌마크.svg 경북대학교 대구캠퍼스(대구광역시 북구)
상주캠퍼스(경상북도 상주시)
파일:경상국립대학교 원형 엠블럼.svg 경상국립대학교 칠암캠퍼스(경상남도 진주시)
창원캠퍼스(경상남도 창원시)
통영캠퍼스(경상남도 통영시)
파일:경인교육대학교 엠블럼.svg 경인교육대학교 인천캠퍼스(인천광역시 계양구)
경기캠퍼스(경기도 안양시)
파일:경희대학교 로고.svg 경희대학교 서울캠퍼스(서울특별시 동대문구)
국제캠퍼스(경기도 용인시)
파일:계명대학교 로고.svg 계명대학교 성서캠퍼스(대구광역시 달서구)
대명캠퍼스(대구광역시 남구)
모빌리티캠퍼스(대구광역시 달성군)
파일:강릉원주대학교 엠블럼.svg 국립강릉원주대학교 강릉캠퍼스(강원도 강릉시)
원주캠퍼스(강원도 원주시)
파일:국립경국대학교 로고A.svg 국립경국대학교 안동캠퍼스(경상북도 안동시)
예천캠퍼스(경상북도 예천군)
파일:공주대학교 엠블럼.svg 국립공주대학교 신관캠퍼스(충청남도 공주시)
천안캠퍼스(충청남도 천안시)
예산캠퍼스(충청남도 예산군)
파일:목포대학교 심볼.svg 국립목포대학교 도림캠퍼스(전라남도 무안군)
목포캠퍼스(전라남도 목포시)
남악캠퍼스(전라남도 무안군)
대불캠퍼스(전라남도 영암군)
나주캠퍼스(전라남도 나주시)
파일:부경대학교 엠블럼.svg 국립부경대학교 대연캠퍼스(부산광역시 남구)
용당캠퍼스(부산광역시 남구)
파일:한국교통대학교 심볼.svg 국립한국교통대학교 충주캠퍼스(충청북도 충주시)
증평캠퍼스(충청북도 증평군)
의왕캠퍼스(경기도 의왕시)
파일:단국대학교 심볼.svg 단국대학교 죽전캠퍼스(경기도 용인시)
천안캠퍼스(충청남도 천안시)
파일:동국대학교 심볼.svg 동국대학교 서울캠퍼스(서울특별시 중구)
바이오메디캠퍼스(경기도 고양시)
파일:동아대학교 UI.svg 동아대학교 승학캠퍼스(부산광역시 사하구)
구덕캠퍼스(부산광역시 서구)
부민캠퍼스(부산광역시 서구)
파일:동의대학교 UI.svg 동의대학교 가야캠퍼스(부산광역시 부산진구)
양정캠퍼스(부산광역시 부산진구)
파일:명지대학교 엠블럼.svg 명지대학교 인문캠퍼스(서울특별시 서대문구)
자연캠퍼스(경기도 용인시)
파일:부산대학교 심벌마크.svg 부산대학교 부산캠퍼스(부산광역시 금정구)
밀양캠퍼스(경상남도 밀양시)
양산캠퍼스(경상남도 양산시)
파일:백석대학교 UI.svg 백석대학교 천안캠퍼스(충청남도 천안시)
방배캠퍼스(서울특별시 서초구)
파일:상명대학교 엠블럼.svg 상명대학교 서울캠퍼스(서울특별시 종로구)
천안캠퍼스(충청남도 천안시)
파일:성균관대학교 엠블럼.svg 성균관대학교 인문사회과학캠퍼스(서울특별시 종로구)
자연과학캠퍼스(경기도 수원시)
파일:성신여자대학교 엠블럼.svg 성신여자대학교 돈암수정캠퍼스(서울특별시 성북구)
운정그린캠퍼스(서울특별시 강북구)
파일:안양대학교 심볼.svg 안양대학교 안양캠퍼스(경기도 안양시)
강화캠퍼스(인천광역시 강화군)
파일:을지대학교 UI.svg 을지대학교 대전캠퍼스(대전광역시)
성남캠퍼스(경기도 성남시)
의정부캠퍼스(경기도 의정부시)
파일:연세대학교 문장.svg 연세대학교 신촌캠퍼스(서울특별시 서대문구)
국제캠퍼스(인천광역시 연수구)
파일:영남대학교 엠블럼.svg 영남대학교 경산캠퍼스(경상북도 경산시)
대구캠퍼스(대구광역시 남구)
파일:전남대학교 심볼.svg 전남대학교 용봉캠퍼스(광주광역시 북구)
여수캠퍼스(전라남도 여수시)
파일:중부대학교 심볼.svg 중부대학교 충청캠퍼스(충청남도 금산군)
고양캠퍼스(경기도 고양시)
파일:중앙대학교 엠블럼.svg 중앙대학교 서울캠퍼스(서울특별시 동작구)
다빈치캠퍼스(경기도 안성시)
파일:총신대학교 엠블럼.svg 총신대학교 사당캠퍼스(서울특별시 동작구)
양지캠퍼스(경기도 용인시)
파일:한경국립대학교 UI.svg 한경국립대학교 안성캠퍼스(경기도 안성시)
평택캠퍼스(경기도 평택시)
파일:한국외국어대학교 엠블럼.svg 한국외국어대학교 서울캠퍼스(서울특별시 동대문구)
글로벌캠퍼스(경기도 용인시)
파일:홍익대학교_UI_Blue.svg 홍익대학교 서울캠퍼스(서울특별시 마포구)
세종캠퍼스(세종특별자치시)
}}}}}}}}} ||
파일:부경대학교 흰색 로고.svg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캠퍼스
대연캠퍼스 용당캠퍼스
대학 정보
역사 역대 총장 상징 연구 시설
학부 대학원 출신 인물 사건 사고
}}}}}}}}} ||

1. 개요
1.1. 공학도서관(24)1.2. 광개토관(13)
2. 교통
2.1. 교내 셔틀버스

1. 개요

파일:부경대학교 용당캠퍼스 캠퍼스맵.jpg
용당캠퍼스 캠퍼스맵
파일:부경대 용당캠퍼스.jpg
용당캠퍼스 전경
통합 전 부산공업대학교의 소재지인 캠퍼스로 약 10만 평 규모로 대연캠퍼스에서 직선거리로 약 2km 정도 떨어져 있다. 용당캠퍼스는 부산, 울산, 경남 지역 기업들에게 개방되어 산학연 혁신캠퍼스인 드래곤밸리로 특화 운영되고 있다.# 5년 동안 총 100억 원의 국고를 지원받아 시설을 기업 친화적으로 리모델링한다.

용당동이라는 지명에서 착안하여 하늘을 비상하는 용처럼 큰 기업들의 보금자리라는 뜻으로 작명했다. 부경대가 용당캠퍼스를 통째로 개방해 조성한 드래곤밸리에는 현재 300여개 기업이 입주해 1,500여명의 직원들이 근무하고 있다. 드래곤밸리 입주 기업들은 부경대의 산학협력 인프라 활용 및 LINC+사업단, 산학연협력단지조성사업단(URP+), 창업지원단 등과 협업하여 연구 및 기술개발 등의 활동을 펼치고 있다.

대연캠퍼스와 달리 용당캠퍼스는 주위에 아무것도 없고 뒷쪽의 조그마한 동네와 산과 바다가 전부라 공부를 하기에는 최적인 환경요건을 갖추었다. 부산항이 바로 옆에 위치해 있기에 크레인의 움직임을 쉽게 볼 수 있고 어떤 컨테이너 박스가 들어오고 나갔는지 지나갈 때마다 확인하는 학생들도 있다. 그와 더불어 항구를 이용하는 선박들의 밤낮 가리지 않고 울리는 뱃고동을 들을 수 있다. 후문쪽에서 볼 수 있는 야경은 괜찮은 편이다. 부산항대교와 부산역 주변이 보이기 때문이다. 날이 좋으면 저 멀리 대마도가 보인다.

교직원이 증언하기로는 용당캠퍼스가 위치해 있는 산의 바로 뒤에는 달동네처럼 모인 집들 때문에 산을 깎아 평지로 만들지도 확장도 못하고 있다고 참고로 그 땅은 국유지로 학교 땅이라 주인도 함부로 못한다. 전국의 국립대 주변에도 이런 곳이 몇 군데 있다. 어떤 곳은 주민들이 땅을 싸게 불하하라고 난리치는 곳도 있었다. 수십 년간 국유지를 점유하고 있을 경우 소액의 벌금만 내면 사유지로 편입할 수 있는 제도를 악용하는 것이다.

1.1. 공학도서관(24)

파일:부경대 공학도서관.png
공학도서관
일명 공도, 용당캠퍼스 공학도서관은 주변에 아무것도 없어서 실로 공부 밖에 할 게 없다. 대연캠퍼스로 모든 학과가 이전한지라, 시험 기간에 대연캠퍼스 열람실이 부족해서 갈 경우 외에는 거의 갈 일이 없다. 아니면 정말 조용히 집중해서 공부하고 싶을 때 가면 좋다.

용당캠퍼스 공학도서관 2층은 빈 옆자리에 자기 가방과 책을 놔두어 사람이 못 앉게 하는 양심없는 진상들도 많으니 주의.123

1.2. 광개토관(13)

용당캠퍼스 생활관인 광개토관은 대연캠퍼스의 세종관과 차이가 크다. 세종관 1관과 2관은 구관 신관 차이라 질적인 차이가 있을 뿐 2인실이든 1인실이든 호실 내에 화장실이 있다. 그러나 광개토관은 지어진 역사가 매우 오래되어 2인실이라고 해도 네 개의 호실이 하나의 큰 거실과 같은 방에 들어 있는 이중 실내 구조를 따르고, 공용 냉장고도 이 4실 공용으로 거실에 있기에 말이 2인실이지 사실상 8인실이며, 심지어 이 공용 거실을 다함께 청소하는 제도까지 있다.

화장실은 옆 거실 사이에 있기에 옆 거실과 통합으로, 즉 16명이서 공용으로 쓰게 돼 있다. 그마저도 화장실에 샤워실까지 겸하고 샤워 칸은 달랑 두 칸이다. 임시로 옷을 벗어서 보관할 수 있는 곳도 없기 때문에 사실상 화장실에서 자기 호실까지는 알몸으로 다녀도 이상할 게 없어진다. 샤워실이 공용이니 목욕 바구니나 목욕 가방을 지참해 슬리퍼를 신고 걸어서 오갈 수밖에 없다. 광개토관 A동의 경우 5층이라도 엘리베이터가 없어서 계단을 타고 다녀야 하고, 이 때문에 짐을 옮길 때 곤란해진다. B동은 엘리베이터가 있다.

위는 주로 광개토관 A동에 대한 설명이고, 광개토관 B동의 경우 A동에 비해 신식 건물이라 B동보다 편리하다. 2인 1실 방 세 개가 한 호실이며 두 호실이 한 화장실을 사용한다. 12명이 한 화장실을 쓰는 경우라 화장실이 상당히 크다. A동과 다르게 엘리베이터가 설치되어 있으며 지하에 학생 휴식공간과 세탁실, 자판기 등이 있다. 또 기숙사 식당과 연결된 통로가 있어 우천 시에도 비를 맞지 않고 식당이용이 가능하다. 거실에서 신선대부두가 보인다.

2021년 1학기부터 부산광역시 코로나19 생활치료센터로 전환되어 학부생의 입주가 불가능하다.

2. 교통

파일:부경대학교 엠블럼.svg 국립부경대학교 경유 버스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color=#fff> 대연캠퍼스
교문 앞 10 20 22 24
27 39 131 155
남구2
경성대부경대역 1001 1003
40 41 42 51
83 83-1 108 남구1
사상6
LG메트로시티, 남부면허시험장 3001 3006
더비치푸르지오써밋, 상수도사업본부, 대연비치아파트 583 남구8 공항리무진1
용당캠퍼스
교문 앞 10 68 134 138
138-1 155 583
동명대학교후문 3001 3006
교내 사상6
부경대용당캠퍼스(후문) 남구6
}}}}}}}}} ||

교내 정거장으로 남구 10번 마을버스가 진입했으나 해당 노선이 사상6번과 통합되면서 단축이 되어 교내로 진입하는 노선 버스는 없었다가 해당 노선이 2025년 8월 15일 단축 구간이 연장되면서 다시 버스가 돌아왔다.

교내 후문쪽에 남구6번이 경유하지만, 유창그린방면만 경유를 하는 상태라서 못골역쪽으로 갈려면 유창그린까지 올라가거나 해피타운까지 내려가야한다.

2.1. 교내 셔틀버스

파일:부경대학교 셔틀버스1.png 파일:부경대학교 셔틀버스 2.png
셔틀버스
대연캠퍼스와 용당캠퍼스를 오가는 셔틀버스가 있다. 교외 정류장은 없다. 용당캠퍼스의 중앙로터리 정류장에서 승하차한다. 대연캠퍼스에서는 공학1관 앞, 중앙로터리, 정문에서 승차할 수 있고, 양어장에서 하차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