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른 동명이인에 대한 내용은 김희선(동명이인) 문서 참고하십시오.
{{{#!wiki style="margin: -6px -10px" | <tablewidth=100%><table bordercolor=#2282b9> | KBS 성우극회 소속 성우 | }}} | |||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 <colbgcolor=#2282b9><colcolor=#fff><rowcolor=#fff> 기수 및 연도 | 성우 | ||||
특기 (1948) | 남 | |||||
여 | ||||||
제1기 (1954) | 남 | 김수일, | ||||
여 | 고은정, 김소원, | |||||
1955 | 남 | |||||
여 | ||||||
제2기 (1956) | 남 | |||||
여 | ||||||
1957 | 남 | |||||
여 | ||||||
제3기 (1958) | 남 | |||||
여 | ||||||
1960 | 남 | |||||
여 | ||||||
제4기 (1961) | 남 | |||||
여 | ||||||
제5기 (1961) | 남 | |||||
제6기 (1962) | 여 | |||||
1963 | 남 | |||||
여 | ||||||
제7기 (1964) | 남 | 김종성, | ||||
여 | ||||||
제8기 (1965) | 남 | |||||
여 | 정민희 | |||||
1966 | 남 | |||||
여 | 박영남, | |||||
제9기 (1967) | 남 | |||||
여 | 김순환, | |||||
제10기 (1968) | 남 | |||||
여 | ||||||
제11기 (1969) | 남 | |||||
여 | ||||||
제12기 (1970) | 남 | 김규식, 김세한, | ||||
여 | 김정미, 손정아 | |||||
제13기 (1971) | 남 | 김도현, | ||||
여 | 강연숙, | |||||
제14기 (1972) | 남 | |||||
여 | ||||||
1973 | 남 | |||||
여 | 김민, 박은숙, | |||||
1975 | 남 | |||||
여 | ||||||
1976 | 남 | 설영범, | ||||
여 | ||||||
제15기 (1977) | 남 | |||||
여 | 강미형, 고선형, | |||||
1978 | 남 | |||||
여 | ||||||
1979 | 남 | |||||
여 | 강희선, | |||||
제16기 (1980) | 남 | 김창주, 신흥철, 유제상, 이호인 | ||||
여 | 서미옥, 이연희, | |||||
제17기 (1982) | 남 | |||||
여 | ||||||
제18기 (1983) | 남 | 강구한, | ||||
여 | ||||||
제19기 (1984) | 남 | 김태웅, | ||||
여 | ||||||
제20기 (1986) | 남 | 박규웅, | ||||
여 | ||||||
제21기 (1988) | 남 | 강수진, | ||||
여 | 문일옥, 송덕희, | |||||
제22기 (1990) | 남 | |||||
여 | 김순영, | |||||
제23기 (1992) | 남 | 구자형, | ||||
여 | 권성은, 김지민, 김희선, | |||||
제24기 (1994) | 남 | 김영진, 박정민, 성수경, 이주원 | ||||
여 | 김수진, 김진주, | |||||
제25기 (1995) | 남 | |||||
여 | 구민선, 은영선, 임미진 | |||||
제26기 (1997) | 남 | 류다무현, 변영희, 원호섭, 유동균, 이장원, 임진응 | ||||
여 | 김상현, 오길경, 은미, 이명원, | |||||
제27기 (1999) | 남 | 사성웅, 안용욱, 양석정, 윤세웅, 이규석 | ||||
여 | 김지혜, 민지, 소연, 신소윤, 이현주 | |||||
제28기 (2000) | 남 | 고재균, 김래환, 변현우, 임채헌, 위훈, 최정호 | ||||
여 | ||||||
제29기 (2002) | 남 | 박찬희, 신찬혁, | ||||
여 | 김희영, 나지형, 송정희, 이미향, 임주현, 전숙경 | |||||
제30기 (2003) | 남 | 곽윤상, 김대중, 손정성, 이광수, 진웅, 최창석 | ||||
여 | 권연희, 서지연, 안영아, 유지원, 은정, 최하나 | |||||
제31기 (2005) | 남 | 박영재, 방우호, 심승한, 이지환, 주재규, 차진욱 | ||||
여 | 박지윤, | |||||
제32기 (2006) | 남 | |||||
여 | 강유경, 김희진, 박희은, 안소이, 전지원, 전진아 | |||||
제33기 (2008) | 남 | 김목용, 김태영, 이문희, 전승화, 정성훈, 조규준 | ||||
여 | 강보라, 배진홍, 안찬이, 양유진, 조세령, 최정현 | |||||
제34기 (2009) | 남 | 김두용, 김상백, 배영규, 윤호, 이찬우, 임정길 | ||||
여 | 신송이, 우현주, 이미연, 이미형, 이제인, 홍수정 | |||||
제35기 (2010) | 남 | 백선우, 이희탁, 조연우, 최현철, 한복현 | ||||
여 | 권문정, 공경은, 김태리, 김소희, 지화정 | |||||
제36기 (2011) | 남 | 권도일, 권창욱, 김도담, 김동하, 박상훈, 탁원정 | ||||
여 | 강규리, 김민신, 박상경, 사문영, 선은혜, 이영미 | |||||
제37기 (2012) | 남 | 김인, 박노식, 백성식, 전상조, 조민수, 채안석 | ||||
여 | 금령, 김두리, 김자연, 윤정화, 조경아, 최윤정 | |||||
제38기 (2013) | 남 | 김현수, 박진우, 신범식, 심인종, 윤용식, 전종구 | ||||
여 | 길라영, 김사라, 우성은, 이아름, 전영수, 한혜정 | |||||
제39기 (2014) | 남 | 공준호, 서승휘, 송대선, 이상운, 임호기, 장병관 | ||||
여 | 김경진, 김한나, 문지영, 변혜숙, | |||||
제40기 (2015) | 남 | 김진수, 석승훈, 이규창, 이정민, 장희문, 허성재 | ||||
여 | 민아, 남유정, 서다혜, 오주희, 이명호, 이자영 | |||||
제41기 (2016) | 남 | 구지원, 선우현수, 이진무, 정의진, 최결, 홍후백 | ||||
여 | 김성화, 리우, 송하랑, 이다슬, 이현애, 채지희 | |||||
제42기 (2017) | 남 | 김용, 김인형, 박주광, 임주완, 하지형 | ||||
여 | 신온유, 이지선, 임희진, 최하리, 허예은 | |||||
제43기 (2018) | 남 | 김용석, 나은혁, 서정익, 오해성, 이명상 | ||||
여 | 김나혜, 나인애, 박하진, 방시우, 혜원 | |||||
제44기 (2019) | 남 | 김희승, 송백경, 장지민, 지병문, 황원종 | ||||
여 | 김다운, 김봄, 김이안, 김성희, 유인선 | |||||
제45기 (2020) | 남 | 송기원, 유선일, 이수안, 최현식 | ||||
여 | 박의주, 정해은, 천송이, 한이정 | |||||
제46기 (2021) | 남 | 박기욱, 박성광, 윤세하, 이창현 | ||||
여 | 김순미, 배하경, 수현, 이눈솔 | |||||
제47기 (2022) | 남 | 이주봉, 이현준, 임의주, 전병하 | ||||
여 | 강한별, 권선영, 오은수, 최현지 | |||||
제48기 (2023) | 남 | 박준모, 이도하, 전종건, 최우성 | ||||
여 | 박송, 엄지은, 임지현, 주예진 | |||||
제49기 (2024) | 남 | 김시우, 김용효, 정상일, 최인일 | ||||
여 | 김정운, 배주원, 유승희, 정수현 | |||||
타 성우극회: 대교방송 · 투니버스 · CBS · EBS · 대원방송 · MBC · PBC | ||||||
※ 송백경 성우를 포함 회색은 문서가 없는 성우이고, 최연소 성우는 밑줄로, 최고령 성우는 볼드체로, 은퇴한 성우나 제명되거나 사망한 성우는 | }}}}}}}}} |
{{{#!wiki style="margin: -6px -10px" | <tablewidth=100%><table bordercolor=#ffffff><table bgcolor=#ffffff> | CPBC 성우극회 소속 성우 |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 기수 및 년도 | 성우 | |
1990년 | <colbgcolor=#ffffff,#191919> 남 | <colbgcolor=#ffffff,#191919> | |
여 | | ||
타 성우극회: 대교방송 · 투니버스 · CBS · EBS · 대원방송 · MBC · KBS | |||
회색은 문서 없음, | }}}}}}}}} |
<colbgcolor=#000000><colcolor=#ffffff> KBS 성우극회 23기 성우 | |
김희선 Kim Hee-sun | |
출생 | 1969년 12월 29일 ([age(1969-12-29)]세) |
국적 | [[대한민국| ]][[틀:국기| ]][[틀:국기| ]] |
학력 | 서울예술대학교 (방송연예과 / 전문학사) |
소속 | 前 CPBC 성우극회 1기 KBS 성우극회 23기 (프리랜서) |
활동 시기 | CPBC: 1990년 ~ 1992년 KBS: 1992년 ~ 1994년 프리랜서: 1995년 ~ 현재[1] |
링크 |
[clearfix]
1. 개요
젊은 시절 |
2. 활동
한때 SBS가 애니메이션을 많이 틀어줄 당시 조연급 캐릭터를 많이 맡았었다. 프리큐어, 방가방가 햄토리, 카드캡터 사쿠라 등. 중복 캐스팅이 좀 많이 되었으나[3] 음색을 그 때 그 때 다르게 해서 중복 캐스팅인 게 티가 안 난다. 대원방송에서는 김정규가 연출을 맡은 작품을 많이 맡았다.주로 주인공의 엄마나 성숙한 여성, 여성 악역을 잘 맡는다. 그러나 바스토프 레몬의 티엘과 코라처럼 신비한 소녀 역할, 태극천자문의 비비나 아장닷컴의 님프 같은 말괄량이 소녀 역할, XXX HOLiC에서의 모코나나 방가방가 햄토리의 머플러처럼 귀여운 마스코트 역할도 가능하다.
2013년, 한국창조경영브랜드대상에서 방송 부문으로 대상을 받았다. 해당기사
2014년 3월, 자신의 동기인 안소연처럼 성우 지망생을 위한 책을 적었다. 해당 책 소개
2014년 8월 27일, 인터뷰를 진행했다.
2017년 11월 7일, JTBC에서 하는 한名회 5회에 출연했다. 본인을 포함한 김희선의 이름을 가진 동명이인[4]들이 나왔다. 수능 영어듣기평가 안내방송과 고스톱 게임, 햄토리의 머플러 역으로 자신을 소개했다. 배우 김희선과 같은 방송계에서 활동해서 기자들이 착각하고 전화하는 일이 종종 있었다고.
한때 김정규가 원장으로 있는 'SBS 아카데미 스피치 연기학원'의 학과장도 겸하고 있었으나 현재는 1기수 선배인 김승준이 운영하는 성우학원 사운디스트에 있으며, 한국영상대학교 방송영상스피치과에서 7년간 겸임교수로 재직했다. 그녀의 제자 중 한 명이 이상호이다.
선배 성우 강희선과 이름이 비슷해서 헷갈릴 수 있다.
3. 출연작
3.1. 애니메이션
- 고 녀석 맛나겠다 2: 함께라서 행복해 - 세라[5]
- 갓슈벨 - 루퍼
- 강철의 연금술사 2003년판(애니원, 챔프) - 트리샤 엘릭, 슬로스, 셰스카
- 괴물의 아이 - 렌의 어머니
- 비밀일기(KBS) - 남선주[6]
- 기동전사 건담 SEED(애니원, 챔프) - 라크스 클라인[7][8][9], 에자리아 쥴
- 다카하시 루미코 극장(애니원, 챔프)
- 화분 속 비밀 - 루리코
- 일탈 가족 파이어 - 할머니
- 당신의 존재만으로 - 주부
- 라즈베리 타임즈 - 시나몬, 샌디 엄마
- 러브 인 러브(애니원, 챔프) - 가이아
- 바람의 검심 -메이지 검객 낭만기-(애니원, 챔프) - 연아, 어린 월강
- 바람의 검심: 유신지사를 위한 진혼가(애니원, 챔프) - 타카츠키 토키
- 바람의 검심 성상편(애니원, 챔프) - 산죠 츠바메, 라이코지 치즈루
- 바스토프 레몬(KBS) - 티엘, 코라
- 방가방가 햄토리(SBS) - 머플러
- 빛의 전사 프리큐어(SBS) - 빛의 여왕[10], 포이즈니, 묵하람 엄마, 서다희
- 프리큐어 Max Heart(대원방송) - 비브리스, 서다희, 묵하람 엄마, 패션, 퓨어링
- 쌍둥이 맑음(카툰네트워크) - 신정숙
- 아장닷컴(KBS) - 님프, 이모
- 오늘이 - 매일이, 구름이
- 우주의 기사 테카맨(SBS) - 마리
- 은하탐정 케인(SBS) - 니나
- 카드캡터 체리(SBS) - 문현아, 은다빈(1기, 2기)
- 캡틴 테일러(SBS) - 제이미
- 콘체르토 - 정세나
- 태극천자문(KBS) - 비비
- 태권왕 강태풍(KBS) - 지순영
- 환상마전 최유기(애니원) - 팔백서, 백룡, 나타 태자, 화남
- DEAR BOYS(애니원) - 류세희
- XXX HOLiC(챔프) - 모도키(검은 모코나)
- XXX HOLiC: 한 여름 밤의 꿈(챔프) - 모코나
3.2. 외화
- 가타카(KBS)
- 거장의 장례식(KBS) - 통역가(서보봉)
- 공작왕(KBS) - 직원
- 나의 인생, 나의 기타(KBS) - 멜로디의 엄마(엘리자베스 마블), 의사(저닌 거로펄로)
- 너티 프로페서(SBS) - 호텔 여성(리사 보일)
- 닥터후 시즌 5(KBS) - 소피(데이지 하가드)
- 닥터후 시즌 10(KBS) - 모이라(제니퍼 헤네시)
- 레지던트 이블(KBS) - 리사(하이케 마카치), 위생병(리즈 메이 브라이스)
- 링 2(KBS) - 에블린(시시 스페이식), 에밀리의 엄마(마릴린 매킨타이어)
- 못 말리는 서스펙트(KBS) - 리즈(마리사 치바스)
- 미스터리 알래스카(KBS) - 제니스(베스 리틀포드)
- 방탄승(SBS) - 아이 엄마(레이븐 다우다)
- 배트맨 비긴즈(SBS) - 마사 웨인(사라 스튜어트)
- 버추얼 웨폰(KBS) - 비서(황소벽)
- 성룡의 빅 타임(KBS) - 진자오 애인
- 스피드 2(KBS) - 드뉴(크리스틴 퍼킨스), 관광객(제사카 디즈), 흑인 여성(알리슨 딘)
- 아메리칸 스윗하트(KBS) - 기자
- 아문센(KBS) - 여직원
- 아스테릭스(KBS) - 아즈카노닉스 부인(애리엘 돔바슬)
- 에이리언 2(KBS) - 군인(신시아 데일 스콧), 청문회 위원(발레리 콜간), 의사(알리브 파슨스), 조종사(콜렛 힐러), 시스템 음성
- 영웅본색 3(SBS) - 마담(남연)
- 웨딩 플래너(SBS) - 페니(주디 그리어)
- 웨이트 오브 워터(KBS) - 아네트(비네사 쇼)
- 인비저블 서커스(KBS) - 한나(니콜라 오버먼)
- 줄리아(KBS)
- 존 Q(KBS) - 지나(로라 해링)
- 커맨더 인 치프(KBS) - 엘리슨 레마르크(리사 왈츠)
- 케이 팩스(SBS) - 발라즈 박사(앨프리 우더드)
- 콘 에어(KBS) - 케이시 포 (랜드리 올브라이트), 지니 (안젤라 페더스톤)[11]
- 포인트 블랭크(KBS) - 쉬지니(클레르 페로)
- 폰 부스(KBS) - 패멀라 맥파든(케이티 홈즈), 라나(메일리 플래너건)
- 하나 그리고 둘(KBS) - 팅팅(켈리 리)
3.3. 게임
- 임진록2 - 아사코
3.4. TV 방송
- 자원봉사 희망프로젝트 나누면 행복(MBC)
3.5. 기타
- 팟캐스트 북텔러리스트 - 2014년 ~ 현재
- 한국강사협회 이사 역임
4. 여담
- 선배 성우인 배한성·서혜정·문선희, 후배 성우인 박형욱·조예신과 함께 '성우'라는 소개서를 적었다. 맡은 부분은 파트 4인 라디오 드라마. 파트 5인 국내 영화 더빙. 파트 6인 외국 영화 더빙을 적었다.
- 블로그에 성우가 되는데 도움이 되는 다양한 글이 많이 있다. 성우 지망생이라면 들어가보자.
[1] 2010년대 이후 활동이 대부분 줄어들었다.[2] PBC에서 라디오 드라마 제작을 중지해서 재입사하였다고 한다.[3] 성인 여성, 아역 등 골고루 연기했는데 모두 연기색이 다르다![4] 회사원, 트로트 가수(활동명은 Miss C에서 김해나로 활동한다고.), 웹 디자이너, 영양사, 여대생, 푸드 아트 심리 상담가 뿐만 아니라 남자 출연자도 나왔다! 2017년 기준으로 대법원의 자료에 따르면 김희선의 이름으로 등록된 사람은 5999명인데 이 중 남자는 468명이라고 한다. 그리고 김희선이란 이름이 가장 많이 등록된 해는 성우 본인이 태어난 1969년이라고 한다.[5] 오랜만의 애니 출연작.[6] 투니버스판은 이현진.[7] 미스캐스팅이라는 평이 많다. 캐릭터의 연령대를 잘못 잡았다는 것이 큰 이유다. 하지만 이는 김희선이 90년대 미소녀 연기어투로 연기한 것이 제일 큰 문제였다. 90년대에 이 작품이 나와서 더빙을 했다면 좋은 연기가 될 수 있었겠지만, 시대상 트렌드 변화를 감안하지 못한 것이 제일 큰 미스였다. 그걸 감안하고 들으면 연기는 괜찮은 편이다. 김희선 본인도 타나카 리에에 비하면 맞지 않은 연기를 한 건 인정하나 자신만의 라크스를 연기했기에 만족한다고 밝혔다. 다만 더빙 당시는 아직 2000년대 초반으로, 성우들의 연기 어조가 연극풍에서 자연스러운 어조로 넘어가는 과도기였음을 감안해야 한다. 때문에 김희선의 라크스 연기를 좋게 평가하는 팬들도 많다.[8] 김희선 본인도 처음에는 왜 자신이 이 캐릭터에 캐스팅되었을까 의아해하다가 마지막 장면에서 사람들을 향해 웅변하는 모습을 보고 '아. 이래서 나를 캐스팅했구나.' 했다고 한다. 자세한 내역은 그녀의 인터뷰 항목 참조.[9] 이후의 이야기를 다룬 극장판에서는 조경이가 담당했지만 나이와 위치에 비해 어린 목소리 때문에 호불호가 갈린다.[10] 빛의 여왕 역은 2기인 Max Heart에서는 서혜정이 담당하였다.[11] 두 배역 모두 SBS 방영판에서는 김지영.[12] 그녀의 후임으로 들어온 여학생 중 2명 또한 그녀처럼 진짜 성우가 되었다. 바로 MBC 소속의 김아영과 대교 소속의 윤미나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