레젠다리움의 역사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보기 · 닫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 아이눌린달레 | |||||||||||||||||
발라들의 시대 | 등불의 시대 | 아르다 최초의 전쟁 | ||||||||||||||||
나무의 시대 | 쿠이비에냐르나 | 권능들의 전쟁 | 대여정 | 벨레리안드의 첫 전투 | 놀도르의 망명 (페아노르의 맹세 | 만도스의 저주) | 제1차 동족살상 | 다고르 누인길리아스 | |||||||||||||||||
태양의 시대 | 태양의 제1시대 | 다고르 아글라레브 | 다고르 브라골라크 | 니르나에스 아르노에디아드 | 제2차 동족살상 | 곤돌린의 몰락 | 제3차 동족살상 | 분노의 전쟁 | ||||||||||||||||
제2시대 | 요정-사우론 전쟁 (과슬로 강의 전투) | 세상의 개변 | 최후의 동맹 전쟁 (다고를라드 평원의 전투) | |||||||||||||||||
제3시대 | 앙마르 전쟁 (포르노스트 전투) | 친족분쟁 | 대역병 | 전차몰이족 전쟁 | 에오를의 맹세 | 난쟁이와 오르크의 전쟁 (아자눌비자르 전투) | 다섯 군대 전투 | 엘론드 회의 | 반지전쟁 (오스길리아스 전투 | 아이센 여울목 전투 | 나무 밑의 전투 | 나팔산성 전투 | 아이센가드 전투 | 너른골 전투 | 펠렌노르 평원의 전투 | 모란논 전투 | 강변마을 전투) | |||||||||||||||||
제4시대 이후 | 다고르 다고라스 | }}}}}}}}} |
<colbgcolor=#3b3630><colcolor=#fff> 레젠다리움의 전쟁 난쟁이-오르크 전쟁 War of Dwarves and Orcs | ||
<nopad> | ||
시기 | ||
T.A. 2793 - 2799 | ||
장소 | ||
안개산맥 일대 (군다바드부터 모리아까지) | ||
교전국 | 철산 에레보르 | 안개산맥의 오르크 |
지휘관 | 무쇠발 다인 스라인 2세 소린 2세 | 아조그†[1] |
병력 | 두린 일족 다른 난쟁이 가문 | 안개산맥의 오르크 |
피해 | 심각한 피해 | 심각한 피해 |
결과 | 난쟁이의 승리 | |
영향 | 두린 일족이 에레드 루인에 정착함 오르크들이 백색산맥에 정착함 백색산맥에 정착한 오르크들이 로한을 지속적으로 침략함 |
[clearfix]
1. 개요
제3시대에 벌어진 난쟁이와 오르크들의 대전쟁이다.2. 배경
제3시대 1980년, 크하잣둠에서 후일 두린의 재앙이라 불리게 될 발로그가 깨어났다. 난쟁이들은 저항하였으나 이기지 못하고 패퇴하여 북쪽으로 밀려났고, 일부는 북쪽으로, 일부는 스라인 1세를 따라 에레보르를 거쳐 회색산맥에 정착하였다. 이후 300년 동안 번영하였지만 용들에게 밀려 일부는 철산으로, 일부는 왕 스로르를 따라 에레보르로 다시 이주하여 마침내 산 밑의 왕국을 건설하였다. 이후 200년 동안 번성하지만 결국에는 스마우그에게 에레보르가 함락되면서 다시금 고난의 시절이 시작되게 된다. 대부분은 철산의 동족에게로 갔지만 왕과 왕을 따르는 일부는 스로르를 따라 던랜드에 정착하게 된다.스로르는 아들 스라인 2세에게 자신의 왕위와 반지를 넘기고 다시금 모리아의 후계자로서 고향에 다시 돌아가지만 아조그에게 사망하게 되고, 이에 분노한 스라인 2세는 안개산맥의 오르크들에게 선전포고하여 6년간의 난쟁이와 오르크의 전쟁이 시작되게 된다.
3. 진행
이 전쟁에서 난쟁이들은 안개 산맥의 오르크 야영지를 전부 점령하며 마침내 모리아 동문에 도달하게 되고, 이 전쟁의 마지막을 장식하게 되는 아자눌비자르 전투를 벌이게 된다. 자세한 내용은 아자눌비자르 전투 참고. 모든 난쟁이 가문들이 모두 모여 벌인 아자눌비자르 전투는 최후에 저 멀리 철산에서의 증원으로 인하여 승리하게 되지만 피로스의 승리였다.4. 결과
난쟁이군은 엄청난 피해를 입었는데[2], 어찌나 피해가 컸던지 돌을 파 그 안에 시신을 안치하는 난쟁이 전통 방식의 장례는 엄두도 못내고 전사자들의 시신을 한 곳에 모아 화장을 했다. 그 후 전사자의 유족들은 그에 대해 언급할 때 '그 분은 화장되셨지' 한마디로 족했다고 한다. 난쟁이다운 자존심과 슬픔이 담겨있는 말. 게다가 발로그가 여전히 모리아에 남아 있었기 때문에 난쟁이들은 모리아를 점령하길 포기하고 후퇴하게 된다.스라인 2세는 청색산맥으로 이주하여 왕국을 재건하지만 이후 충신들과 함께 에레보르로 틸환하기 위한 여행을 떠나던 도중 돌 굴두르 근방에서 사우론에게 잡혀 난쟁이의 마지막 힘의 반지를 잃고 죽임을 당하게 된다.
북부 오르크도 큰 피해를 입었고, 피해를 추스리고 호빗 시점에서 재정비한 군세도 이후 벌어진 다섯 군대 전투에서 4분의 3를 잃으며 결정적인 피해를 다시 입게 된다. 이렇게 연이어 큰 피해를 입은 탓에 북부 오르크는 그 영향력을 완전히 상실하고[3], 이후 반지전쟁은 주로 남부를 중심으로 벌어지게 된다.
일부 오르크 무리는 난쟁이와 오르크의 전쟁에서 입은 피해를 만회하고나, 북부를 떠나 남쪽의 백색산맥에 새롭게 근거지를 마련하려고 했다. 이 때문에 로한과 곤도르가 자신들의 후방인 백색산맥에서 오르크를 모조리 소탕하느라 꽤나 고생해야 했다.
[1] 다인에게 죽는다. 실사영화에서는 다섯 군대 전투까지 살아남아 다섯 군대 전투에서 참나무방패 소린에게 죽는다.[2] 스로르 외에도 두린 왕가의 직계인 소린의 남동생 프레린, 방계 왕족인 발린과 드왈린의 아버지인 푼딘, 그리고 무쇠발 다인의 아버지 나인도 이 때 전사했다.[3] 반지의 제왕 시점에서 이들의 활동이라면, 모리아에 먼저 들어온 반지원정대를 괴롭히거나, 이들을 추적하는 것 정도다. 이마저 추적에 나선 오르크 대부분은 로스로리엔에게 요격당하고, 일부는 아이센가드에 합류해서 우루크하이에게 노예처럼 부려지다가 전멸하게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