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6-20 16:20:45

날라 시네프로

파일:external/defected.com/warp_logo.jpg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소속 아티스트
!!! Aphex Twin Autechre Battles
Bibio Boards of Canada Broadcast Clarissa Connelly
Daniel Rossen Danny Brown Darkstar Evian Christ
Flying Lotus Gonjasufi Hudson Mohawke James Ellis Ford
Kassa Overall Kelela Kelly Moran KWES.
Leila LFO  LoneLady Lorenzo Senni
Mark Pritchard Mira Calix Mount Kimbie Nala Sinephro
Nightmares on Wax Oli XL Oneohtrix Point Never Plaid
Rustie Seefeel Slauson Malone 1 Squarepusher
Squid Stereolab TNGHT Wu-Lu
Yves Tumor
}}}}}}}}} ||

<colbgcolor=#C69D5B><colcolor=#fff> 날라 시네프로
Nala Sinephro
파일:DSC01385.webp
출생 1996년
벨기에 브뤼셀
국적
[[벨기에|]][[틀:국기|]][[틀:국기|]]
직업 음악가, 프로듀서, 레코딩 엔지니어
활동 2020년 – 현재
학력 버클리 음악대학 (중퇴)
레이블 Warp
악기 페달 하프, 건반 악기, 바이올린, 백파이프
링크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 |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 파일:Bandcamp 아이콘.svg

1. 개요2. 생애3. 디스코그래피
3.1. 정규 앨범3.2. EP
4. 여담

[clearfix]

1. 개요

파일:f2825b0065fd424b6dac79f3a4631096ed1094d4.jpg
벨기에재즈 뮤지션.

2. 생애

피아노 교사인 벨기에인 어머니와 재즈 색소폰 연주자인 카리브인 아버지[1] 사이에서 태어났으며, 브뤼셀 외곽에 있는 개조된 버려진 집에서 자랐다. 부모님이 음악인이라 어린 시절부터 음악을 좋아했으며, 3살부터 피아노를 쳤다. # 10대 시절에는 턱에서 종양을 발견해서, 수술로 종양을 적출하기도 했다. 시네프로는 인터뷰에서 "항상 눈물을 흘리는 사람은 엄마뿐이었어요. 하지만 나는 어깨를 으쓱했습니다. '젠장, 난 슈퍼우먼이 될 거야. 난 완전히 살아남을 거야'라고 생각했죠"라고 말했다.[2]

10대 중반에 생화학자가 꿈이어서 과학을 공부했으며, 2012년에는 재즈학과가 있는 브뤼셀에 예술 고등학교로 전학을 가 재즈에 대해 2년동안 공부했다. 이곳에서 페달 하프, 바이올린, 백파이프를 연주하는 법을 배웠다. 시네프로는 인터뷰에서 하프에 대해 "이 악기는 마치 내 언어처럼 느껴졌습니다. 강하지만 조용한 목소리입니다"라고 회상했다. 또한 당시 스페인의 재즈 여름 캠프에 등록했고, 캠프의 교사는 시네프로에게 보스턴의 버클리 음악대학에 진학할 것을 추천했다.

시네프로는 버클리 음악대학을 1년동안 다녔으며[3], 이곳에서 라이브 사운드 엔지니어로 일하기도 했다. 2017년에는 런던으로 이주하여, 두 번째 재즈 대학에 다녔지만, 이 학교도 빠르게 그만두었다.[4] 중퇴 후에는 런던 재즈씬에서 활동을 시작했다. 런던 재즈 밴드 스팀 다운, 색소포니스트 누비아 가르시아, 트롬보니스트 로지 터턴, 가수 코비 세이와 함께 공연을 했고, 네오 소울 가수 데마에와 런던 컨템포러리 오케스트라 예술 감독 로버트 에임스 같은 뮤지션들과 함께 작업했다.

2019년 12월, 더 가디언이 선정한 '2020년 신인 아티스트 50인' 목록에 이름을 올렸으며, 2021년 8월에는 인디 레이블 워프 레코즈와 계약을 맺었다. # 또 이 해에 데뷔 앨범 〈Space 1.8〉을 발표했다.[5] 이 앨범은 평론가들에게 호평을 받았으며, AllMusic은 '광대하고 명상적인 음악이 앰비언트와 스피리추얼 재즈를 융합한다'라고 평했다. # 피치포크 역시 호평을 했으며, 2021년 올해의 앨범 24위로 선정하기도 했다. # 앨범 발표 이후에는 콘서트나 다양한 재즈 페스티벌에 참여해, 왕성한 공연 활동을 하고 있다.

3. 디스코그래피

3.1. 정규 앨범

<rowcolor=#fff> 발매일 음반 레이블 비고
2021. 09. 03. Space 1.8 Warp

3.2. EP

<rowcolor=#fff> 발매일 음반 레이블 비고
2021. 08. 05 Live at Real World Studios with Edward Wakili​-​Hick & Dwayne Kilvington Warp 라이브 앨범

4. 여담

  • 하프를 연주하는 것은 자신에게 치료의 한 형태라고 말했다. #
  • 부모님과 친구들에게 자신이 하프를 연주하고 있다는 것을 숨겼다고 한다. 인터뷰에서 "금전적으로는 이상했어요. 내 방에 내가 연주할 수 없는 15,000파운드짜리 악기가 있다고 말하면 당신은 '그러지 마세요!'라고 말할 것입니다"라고 말했다.
  • 반골 기질이 있는 듯 하다. 인터뷰에서 "저는 제 자신을 하프 연주자로 생각하지 않고 작곡가로 생각합니다. 작년에 헤비메탈 음악을 만들었고 기타도 조금 연주했습니다. 저는 이상하고 엽기적인 인디 음반도 만들었습니다. 저는 백파이프를 5년 동안 연주할지도 모릅니다. 사람들이 저를 '하프 레이디(the harp lady)'라고 부르려고 노력할수록, 저는 그 헤비메탈 음반을 만들게 될 것입니다. 누군가가 저를 특정한 방향으로 몰아가려고 한다면, 저는 그 반대로 할 것입니다"라고 말했다.
  • 자신과는 정반대의 음악을 듣는 것을 좋아한다고 밝혔다. 예를 들어 리아나의 'Work'가 그 해 제일 많이 들었던 곡이었고, 카디 비도 많이 들었다고 한다. #
  • 2020년부터 2021년까지 NTS 라디오에서 DJ로 활동하기도 했다. 선곡 리스트

[1] 마르티니크계, 과들루프계 인물이다.[2] 이 사건 이후 몇 달 동안 쾌락주의를 받아들이고 브뤼셀 클럽에서 일렉트로닉 뮤직을 "현실 탈출 방법"으로 확립한 "하드코어 사운드"를 탐구했다고 밝혔다. #[3] 하모니나 실기 수업을 여러가지 받거나 전세계 음악에 대해 배웠다고 한다.[4] 시네프로는 인터뷰에서 "유색인종인 나는 학교에서 내가 만들고 싶은 것과 내가 만들 공간이 충분하지 않다고 느꼈습니다"라고 말했다.[5] 직접 작곡, 프로듀싱, 연주, 엔지니어링, 녹음, 믹싱을 담당한 앨범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