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4-23 19:31:50

냉수리 고분군


{{{#!wiki style="margin: -10px"<tablebordercolor=#0071bb> 파일:경상북도 휘장_White.svg }}}
{{{#!wiki style="margin:0 -10px"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1~50호]⠀
{{{#!wiki style="margin:-10px 0"
1.
  1.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ddd ;"
의성읍도서동의회나무[A]}}}
  1.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ddd ;"
돗질무명사지}}}
  1.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ddd ;"
원절강무명사지}}}
  1.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ddd ;"
영천용평동의가죽나무}}}
  1.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ddd ;"
나서동요촌부락고분군}}}
  1.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ddd ;"
기사동고분군}}}
  1.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ddd ;"
양동의향나무[A]}}}
  1.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ddd ;"
서부동고분군}}}
  1.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ddd ;"
도산외촌동돌무덤}}}
  1.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ddd ;"
포항보경사탱자나무[A]}}}
  1. 천생산성
  2. 정기룡장군유적
  3.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ddd ;"
신숭겸장군유적[5]}}}
  1. 안동태사묘
  2. 매학정일원
  3.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ddd ;"
황악산직지사일원}}}
  1. 주흘산조령관문일원
  2. 서악서원
  3.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ddd ;"
법광사지[6]}}}
  1.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ddd ;"
의창읍 이팝나무 군락[7]}}}
  1.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ddd ;"
울진쌍전리의배나무[8]}}}
  1.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ddd ;"
울진하원리의굴참나무}}}
  1. 휴천리지석및입석
  2. 전사벌왕릉
1.#26 전고령가야왕릉
  1.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ddd ;"
문경모산굴[A]}}}
  1. 안동광음동분청사기요지
  2. 신동입석
  3.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ddd ;"
인동입석[10]}}}
  1. 경주간묘
  2. 김인문묘
  3. 김양묘
  4. 경주능지탑지
  5.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ddd ;"
경주효불효교지[11]}}}
  1.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ddd ;"
안동미림동굴[A]}}}
  1. 영덕대소산봉수대
  2. 신유장군 유적
  3. 호미곶 등대
  4. 경산산전동분청사기요지
  5. 월천서당
  6. 퇴계종택
  7. 서산서원
  8.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ddd ;"
안동송리동은행나무[A]}}}
  1.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ddd ;"
침수정계곡일원[A]}}}
  1. 상서장
  2.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ddd ;"
화산산성[15]}}}
  1. 월회당
  2.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ddd ;"
성주해평동측백나무}}}
  1.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ddd ;"
안동송천동의모감주나무[A]}}}

[1] 천연기념물 제559호로 승격[A] 경상북도 기념물 중 자연유산에 해당하는 항목을 경상북도 자연유산으로 지정변경하며 지정해제[A] [A] [5] 대구광역시 기념물 제1호로 지정변경[6] 사적 제493호로 승격[7] 천연기념물 제561호로 승격[8] 천연기념물 제408호로 승격[A] [10] 경상북도 문화유산자료 제184호로 지정변경[11] 사적 제457호로 승격[A] [A] [A] [15] 대구광역시 기념물로 지정변경[A]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51~100호]⠀
{{{#!wiki style="margin:-10px 0"
<table bordercolor=#fff,#1c1d1f>
1.#51 전금강성장군황보능장묘
  1.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ddd ;"
옥동서원[17]}}}
  1. 견훤산성
  2. 경주표암
  3. 채미정--[18]
  4. 고산서원
  5.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ddd ;"
영일 우각동 향나무[A]}}}
  1.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ddd ;"
적천사 은행나무[20]}}}
  1. 도산서당(부고산숙)
  2. 금오서원
  3. 상주 흥암서원
  4. 임고서원
  5.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ddd ;"
임고서원은행나무[A]}}}
  1. 벽산생가
  2. 검산성
  3.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ddd ;"
경주동부동은행나무[A]}}}
  1. 금오산성
    {{{-2 67-1. 금오산성(구미시 소속)
    67-2. 금오산성(칠곡군 소속)
    67-3. 금오산성(김천시 소속)}}}
  2. 청도옥산동토기요지
  3. 사현정
  4. 입암서원 일원
  5.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ddd ;"
입암서원의향나무}}}
  1. 울릉남서동고분군
  2. 울릉현포동고분군
  3.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ddd ;"
예연서원[23]}}}
  1.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ddd ;"
상주 두곡리 은행나무[A]}}}
1.#76 김면장군유적
  1. 상주 임란북천전적지
  2. 조지훈생가
  3. 석탈해왕탄강유허
  4.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ddd ;"
인각사경내[25]}}}
  1. 영천충효재
  2. 해동청풍비
  3. 심산김창숙생가
  4. 갈암종택
  5. 종오정일원
  6. 박정희대통령생가
  7. 신돌석장군생가지
  8. 용산서원
  9. 존애원
  10. 이강년생가지
  11.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ddd ;"
금릉추량리은행나무[A]}}}
  1. 고령안화리암각화
  2.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ddd ;"
금성단[27]}}}
  1. 구암정사
  2. 영일냉수리고분
  3. 남미질부성
  4.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ddd ;"
의성월소리소나무[A]}}}
  1. 경주석장동암각화
  2. 청도범곡리지석묘군
  3.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ddd ;"
청도명대리뚝향나무[A]}}}

[17] 사적 제532호로 승격[18] 명승 제52호로 승격[A] 경상북도 기념물 중 자연유산에 해당하는 항목을 경상북도 자연유산으로 지정변경하며 지정해제[20] 천연기념물 제402호로 승격[A] [A] [23] 대구광역시 기념물 제11호로 지정변경[A] [25] 사적 제374호로 승격[A] [27] 사적 제491호로 승격[A] [A]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101~150호]⠀
{{{#!wiki style="margin:-10px 0"
<table bordercolor=#fff,#1c1d1f>
1.#101
  1. 수봉정
  2. 청도읍성
  3. 오졸재박한주여표비및비각
  4. 독용산성
  5.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ddd ;"
안동석수암향나무[A]}}}
  1.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ddd ;"
의성사촌리향나무[A]}}}
  1.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ddd ;"
청송침류정향나무[A]}}}
  1.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ddd ;"
청도하평리은행나무[A]}}}
  1.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ddd ;"
예천죽림리향나무[A]}}}
  1.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ddd ;"
예천사부리소나무[A]}}}
  1. 의성김씨학봉종택
  2. 상주 김준신의사 제단비
  3. 동강서원
  4. 경주손순유허
  5. 갈암금양강도지
  6. 해저김건영가옥
  7.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ddd ;"
영천약남리회화나무[A]}}}
  1.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ddd ;"
청도상리돌배나무[A]}}}
  1. 영일 일월지
  2. 상주 공검지
  3.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ddd ;"
장사진의병장유적[38]}}}
  1.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ddd ;"
경산자인의계정숲[A]}}}
  1.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ddd ;"
영해경수당향나무[A]}}}
  1. 상주 병풍산 고분군
1.#126 함창 오봉산 고분군
  1. 상주 금흔리 이부곡 토성
  2.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ddd ;"
의성금성산고분군[41]}}}
  1. 용강서원충열사및14의사묘정비
  2. 전홍유후설총묘
  3. 도강서당
  4. 김종무충신정려비
  5. 충신의사단비
  6. 용산산성
  7.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ddd ;"
문경장수황씨종택의탱자나무[42]}}}
  1.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ddd ;"
경산은호리의스토로마톨라이트화석[A]}}}
  1. 백하구려
  2. 개암종택
  3. 죽유종택
  4. 상주 조공제
  5. 상주 승곡리 추원당
  6. 영양돈간재및주사
  7. 가야산산성
  8. 고천서원
  9. 성주옥성리의열각
  10. 역동서원
  11.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ddd ;"
상주낙화담소나무[A]}}}
  1. 박열의사생가지
  2.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ddd ;"
포항화진리해당화군락}}}
  1.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ddd ;"
안동위리의나무화석[A]}}}

[A] 경상북도 기념물 중 자연유산에 해당하는 항목을 경상북도 자연유산으로 지정변경하며 지정해제[A] [A] [A] [A] [A] [A] [A] [38] 대구광역시 기념물로 지정변경[A] [A] [41] 사적 제555호로 승격[42] 천연기념물 제558호로 승격[A] [A] [A]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151~181호]⠀
{{{#!wiki style="margin:-10px 0"
<table bordercolor=#fff,#1c1d1f>
1.#151
  1. 영천청제
  2. 의병장 신태식 생가지
  3. 울진죽변등대
  4. 안동 장태사공 성곡재사
  5. 임란의병 한천전 승첩지
  6. 봉화사동추원재
  7. 구미용수암
  8.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ddd ;"
순흥의연리지송[A]}}}
  1. 섬계서원
  2. 청도 탁영종택
  3. 성주 옥천서원
  4. 안동 화천서원
  5. 안동 임천서원
  6. 울진 대풍헌
  7. 영주 이산서원
  8.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ddd ;"
김천유성리소나무[A]}}}
  1.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ddd ;"
한강 무흘강도지[A]}}}
  1.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ddd ;"
성주동원리반송과도래솔군락[A]}}}
  1. 안동 정재종택
  2.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ddd ;"
성주백인당향나무[A]}}}
  1. 영주 의산서원
  2. 예천 문효세자 태실
  3. 예천 폐비윤씨 태실
  4. 안동 청성서원
1.#176 봉화 청량정사
  1. 경주부 관아건물
  2. 봉화 녹동리사와 직방당
  3. 경산 하양 육영재
  4.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ddd ;"
예천 수한리 소나무[A]}}}
  1. 봉화 충효당

[A] 경상북도 기념물 중 자연유산에 해당하는 항목을 경상북도 자연유산으로 지정변경하며 지정해제[A] [A] [A] [A] [A] [A]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번호 없음]⠀
{{{#!wiki style="margin:-10px 0"
<table bordercolor=#fff,#1c1d1f>
}}}}}}}}}}}}

파일:경주 천마총 장니 천마도.png 5~6세기 신라의 고총 고분군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신라의 중심과 지방 세력
경주 <colbgcolor=#fff,#000> 대릉원 고분군 경산 <colbgcolor=#fff,#000> 임당 고분군
금척리 고분군 영천 완산동 고분군
대구 구암동 고분군 포항 냉수리 고분군
달성 고분군 영덕 괴시리 고분군
불로동 고분군 강릉 초당동 고분군
의성 금성산 고분군 울산 중산리 고분군
성주 성산동 고분군 양산 북정리 고분군
선산 낙산리 고분군 창녕 교동 고분군
구미 황상동 고분군 상주 병풍산 고분군
달성 성산리 고분군 안동 태화동 고분군
현풍 양리 고분군 예천 대심리 고분군
충주 누암리 고분군 영주 읍내리 고분군
청원 미천리 고분군 보은 대야리 고분군 }}}
파일:고총 분포도 사본.jpg
: 신라의 고총 고분군
: 고구려/백제/가야의 고분군
}}}}}}

파일:영일 냉수리 고분군 전경.jpg
냉수리 A지구 7호분 발굴 당시 전경[출처]
1. 개요2. 조사 내용3. 관련 문서

1. 개요

포항시 북구 신광면 냉수리에 위치하는 신라의 고분군. 영일냉수리고분(迎日冷水里古墳)이라는 명칭으로 경상북도 기념물 제95호로 지정되어 있다.

2. 조사 내용

냉수리 고분군은 포항 신광면 냉수리에 위치하고 있다. 포항 냉수리 신라비의 출토지점에서 서남으로 약 1km 정도 떨어진 곳에 분포하고 있으며 다른 고분군들에 비해서 분포하는 정도가 다소 넓은 편이다. 발굴된 냉수리 A지구 7호분은 여타의 군집과는 달리 다소 독립적으로 존재하고 있다. 925번 지방도의 공사 중 냉수리 A지구 7호분이 훼손되면서 긴급발굴의 수요가 발생하여 국립경주박물관에서 1990년에 발굴조사를 실시하였다.

파일:냉수리 고분 도면.jpg

위의 사진과 도면에서 보이듯이 석실 자체는 신라 석실처럼 보이지만 연도 부분의 측실이 달린 경우는 신라 내에서는 사례를 찾아보기 어렵다. 이런 점에서 고구려 석실에 이실(耳室)이라고 측실이 영향을 준게 아닌가하고 추정하고 있다. 뿐만아니라 석실에서 이동식 부뚜막형 토기가 출토되는 점은 고구려 석실의 특징을 보여주는 점이기도 하다. 그러나 측실의 형태 자체가 고구려계라고 하기에는 형태적으로는 너무나도 상이하며 또 부뚜막형 토기 자체도 전형적인 고구려의 부뚜막형 토기는 아니다. 따라서 통상 고구려라고 말하지 직접적인 영향을 주었다고 보기에는 무리가 있다.

역사적으로 고구려가 남진했던 기록들 가운데서 지금의 흥해까지 진출했다는 점과 결부되기도 한다. 이와 관련된 유적으로는 영주 순흥면 읍내리 고분군이 있다. 이 고분군에도 고구려의 영향이 있는 고분이 있다.

냉수리 고분군은 포항의 고총 고분군이긴 하지만 다소 성격이 다르다. 통상 고총 고분군이라하면 5세기~6세기의 지역 대표적 성격을 지니는 고총군을 뜻하지만 포항의 냉수리 고분군과 영덕 괴시리 고분군은 모두 석실로 연대가 다소 늦다. 특히 포항 지역 자체는 포항 성곡리나 옥성리 등의 이른 시기에 지역을 대표하는 고분군들이 고총까진 아니지만 신라 형성기인 3~4세기에 이미 신라(경주)의 영향력 안으로 포섭되는 느낌을 강하게 주고 있다. 이러한 점은 울산의 여러 고분군들 또한 같은 부분. 이러한 맥락에서 고총 자체의 성립은 다소 늦었을 수 있다고 판단된다.

3. 관련 문서


[출처] 국립경주박물관, 1995, 냉수리 고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