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letter-spacing: -1px" | 감천초등학교 | 괴정초등학교 | 구평초등학교 |
낙동초등학교 | 다대초등학교 | 다선초등학교 | |
다송초등학교 | 당리초등학교 | 몰운대초등학교 | |
보림초등학교 | 사남초등학교 | 사동초등학교 | |
사하초등학교 | 서천초등학교 | 승학초등학교 | |
신남초등학교 | 신촌초등학교 | 신평초등학교 | |
옥천초등학교 | 을숙도초등학교 | 응봉초등학교 | |
장림초등학교 | 중현초등학교 | 하남초등학교 | |
하단초등학교 | 효림초등학교 | }}}}}}}}} | |
초등학교 · 중학교 · 고등학교 | |||
학교 틀 둘러보기 |
<colbgcolor=#c4161d><colcolor=#fff> 다대초등학교 多大初等學校 Dadae Elementary School | |
| |
개교 | 1904년 4월 1일 |
성별 | 남녀공학 |
형태 | 공립 |
교장 | 정명숙 |
교감 | 김*애 |
교화 | 개나리 |
교목 | 동백나무 |
학생 수 | 704명[기준] |
교직원 수 | 47명[기준] |
관할 교육청 | 부산광역시서부교육지원청 |
주소 | 부산광역시 사하구 다대로 499 |
홈페이지 | |
<nopad> |
[clearfix]
1. 개요
다대초등학교는 부산광역시 사하구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이다.2. 학교 연혁
- 2023년 3월 1일: 36학급 편성(특수학급 2학급 포함)
- 2023년 3월 1일: 통합교육과정 연구학교 지정운영
- 2023년 3월 1일: 인공지능(AI)교육 선도학교 지정운영
- 2023년 2월 17일: 111회 졸업식(졸업생 157명, 총 15,131명)
- 2022년 3월 1일: 온라인 콘텐츠 교과서 활용 선도학교 지정운영
- 2022년 3월 1일: 교실수업개선 연구학교 지정운영
- 2022년 3월 1일: 통합교육 선도학교 지정운영
- 2022년 2월 18일: 110회 졸업식(졸업생 127명, 총 14,974명)
- 2021년 9월 1일: 제40대 정명숙 교장선생님 취임
- 2021년 3월 2일: 37학급 편성(특수학급 1학급 포함)
- 2021년 2월 19일: 제109회 졸업식(졸업생 164명, 총 14,848명)
- 2021년 2월 1일: 1학년 교실환경 개선사업(6개반)
- 2020년 10월 27일: 창의융합형 과학실 구축
- 2020년 10월 23일: 부산형 블렌디드 교실 구축(40개 교실)
- 2020년 8월 31일: 소운동장 바닥 탄성포장
- 2020년 4월 21일: 교실 및 특별실 칠판 교체(46개 교실)
- 2020년 2월 21일: 제108회 졸업식(졸업생 151명, 총 14,684명)
- 2019년 10월 9일: 한글날 기념 백일장 대회
- 2019년 8월 4일: 무한상상실 구축
- 2019년 4월 26일: 학생자치 임원 리더십캠프
- 2019년 4월 25일: CCTV 6대 추가 설치
- 2019년 2월 28일: 방과후 연계형 돌봄교실 구축
- 2019년 1월 29일: 돌봄교실 인테리어 및 전담실 칸막이 공사
- 2018년 12월 20일: 교실 및 특별실 정보통신시설 개수 공사
- 2018년 8월 8일: 일본 초,중등 교사단 방문(교사 8명, 장학사 1명, 글로벌빌리지 본부장 1명)
- 2018년 3월 1일: 제39대 남흥현 교장선생님 취임
- 2018년 2월 14일: 제106회 졸업식(졸업생 140명, 총 14,386명)
- 2017년 2월 17일: 제105회 졸업식(졸업생 162명, 총 14,246명)
- 2015년 2월 17일: 제103회 졸업식(졸업색 165명, 총 13,928명)
- 2014년 3월 31일: 다대초등 110주년 기념행사
- 2013년 12월 20일: 체육활동 및 줄넘기운동 우수학교 교육감 표창
- 2012년 3월 1일: 교재 생물 중심학교 운영
- 2012년 2월 16일: 제100회 졸업식(졸업생 215명, 총 13,352명)
- 2011년 12월 30일: 교육정보화 우수학교 서부교육지원청교육장 표창
- 2011년 3월 1일: 부산교육대학교 교육실습 협력학교 운영
- 2010년 12월 31일: 체육교육 우수학교 서부교육지원청교육장 표창
- 2010년 9월 1일: 창의인성교육 선도학교 운영
- 2008년 3월 1일: 문화재청 지정 문화유산 연구학교 운영(2년)
- 2007년 3월 1일: 현재 신축교사 이전[3]
- 2007년 1월 27일: 신축교사 준공
- 2006년 12월 29일: 방과 후 학교 유공 교육감 표창
- 2005년 12월 30일: 생각하는 교실 유공학교 표창(서부교육청 교육장)
- 2005년 4월 5일: 학교홈페이지 개선 구축
- 2005년 3월 5일: 신나는 노인교실 및 다대포 후리소리 전수학교 운영
- 2004년 10월 29일: 시 교육청 지정 전통예술교육 연구학교 운영 성과 보고회 개최
- 2004년 4월 1일: 다대초등 100주년 기념행사(제33대 류병관 교장)
- 2001년 11월 8일: 시 교육청 지정 특기 · 적성교육 연구학교운영 발표
- 2000년 3월 2일: 시 교육청 지정 특기 · 적성교육 연구학교 지정
- 2000년 2월 2일: 강당 겸 시청각실 개소
- 2000년 3월 1일: 43학급 편성(다선초등학교 학구조정으로 인함)
- 1999년 5월 31일: 학내전산망 개설
- 1999년 2월 28일: 시교육청 지정 사회교육시범운영발표
- 1998년 5월 1일: 어린이집 개원
- 1997년 3월 1일: 응봉초등학교 분리, 36학급 편성 [4]
- 1996년 9월 1일: 중현초등학교 분리
- 1996년 3월 28일: 교표 변경
- 1996년 3월 1일: 다대초등학교로 교명 변경
- 1990년 3월 1일: 다선초등학교 분리, 53학급 편성
- 1982년 4월 28일: 이순신 장군 동상 및 독서상 제막
- 1976년 4월 30일: 교문, 국기 게양대, 수위실, 게시판 준공
- 1971년 8월 14일: 운동장 정지 작업 및 석축공사 착공
- 1966년 3월 1일: 장림초등학교 분리
- 1953년 8월 6일: 부산 다대국민학교로 교명 변경
- 1943년 5월 22일: 다대포 공립국민학교 개교
- 1943년 4월 1일: 다대포 공립국민학교 설립 인가
- 1939년 5월 1일: 다대포 사립실용학교를 다대포 실용학교로 개명
- 1909년 8월 30일: 학교 설립 인가
- 1904년 4월 1일: 다대포 사립실용학교 개교(제1대 윤필호 교장)
2.1. 교화
- 교화: 개나리
- 탐스러운 꽃이 피는 활엽수. 새벽에 맑은 꽃 이슬 마시며 효름 어린이의 높은 기상을 내 나라 내 고장에 피우는 꽃.
2.2. 교목
- 교목: 동백나무
- 동백나무는 여러해살이로 한겨울에도 아름답게 피는 나무입니다. 다대 어린이의 변함없는 마음과 정직하고 솔직함, 슬기로움을 담고 있습니다.
3. 이용 가능한 대중교통
3.1. 버스
3.2. 도시철도
4. 출신 인물
5. 기타
- 2023년 기준 다대초 졸업생들은 주로 다송중학교와 두송중학교를[5] 많이 배정되고 다대중학교도 배정되는 경우는 소수에 속하지만 예전에는 다대중학교와 다대여중이 남녀공학이 되기전에는 남학생으로는 영남중학교,대동중학교,다대중학교를 많이 배정했고 다선중학교도 배정되었으며 여학생은 다대여자중학교와 장림여자중학교,다선중학교로 배정되었으나 다대중과 다대여중이 남녀공학이 되면서 다대초가 이전할때까지 초창기는 다대중학교와 다선중학교로 배정되었으며 남학생 한정으로는 영남중과 대동중 여학생한정으로는 다대중과 다선중외에 장림여중과 다송중도 배정되었지만 2000년부터 2003년까지는 장림여중과 다송중배정이 중지된것도 그 원인이 되었다. 그러나 2004년 중학교배정때 다선중학교 대신 다송중학교로 변경되었지만 2005년 중학교배정때 다선중학교로 잠시 변경되었고 그게 다대초 졸업생의 마지막 다선중학교 배정이었다. 2004년부터 2005년까지 여학생한정으로 장림여중을 배정된적이 있었지만 하지만 2006년에 두송중학교가 개교하면서 현재까지 다대중학교와 다송중학교와 두송중학교로 배정되지만 초기에는 다대중을 배정많이 했지만 세월이 흘러 두송중으로 많이 배정되며 2020년이후에는 다송중학교로 많이 배정된다.
- 구교사는 유아교육진흥원으로 사용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