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스코룹스키 · 2 홀름 · 4 일리치 · 6 모로 · 7 오솔리니 · 8 프로일러 · 9 카스트로 11 은도이 · 15 카살레 · 16 코라자 · 17 엘아주지 · 18 포베가 · 19 퍼거슨 (C) · 20 에비셔 21 오드가르드 · 22 리코야니스 · 23 바뇰리니 · 24 달링가 · 26 루쿠미 · 28 캄비아기 29 데실베스트리 · 30 도밍게스 · 31 뵈케마 · 33 미란다 · 34 라발리아 · 39 에스타니스 · 80 파비안 · # 칼라브리아 |
|
*해당 문서는 간략화한 것입니다. 스쿼드에 대한 자세한 정보는 여기를 참고해주세요. |
다비데 칼라브리아의 역임 직책 | |||||
{{{#!folding ▼ | AC 밀란 주장 | ||||
알레시오 로마뇰리 (2018~2022) | ▶ | 다비데 칼라브리아 (2022~2025) | ▶ | 마이크 메냥 (2025~) |
| |||||
<colbgcolor=#a21c26><colcolor=#fff> 볼로냐 FC 1909 No. - | |||||
다비데 칼라브리아 Davide Calabria | |||||
출생 | 1996년 12월 6일 ([age(1996-12-06)]세) | ||||
이탈리아 롬바르디아주 브레시아 | |||||
국적 | [[이탈리아| ]][[틀:국기| ]][[틀:국기| ]] | ||||
신체 | 키 178cm / 체중 77kg | ||||
포지션 | 라이트백, 라이트윙, 중앙 미드필더 | ||||
주발 | 오른발 | ||||
소속 | <colbgcolor=#a21c26><colcolor=#fff> 유스 | AC 밀란 (2006~2015) | |||
선수 | AC 밀란 (2015~ ) → 볼로냐 FC 1909 (2025~ / 임대) | ||||
국가대표 | 7경기 (이탈리아 / 2020~ ) | ||||
SNS | |||||
정보 더 보기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colbgcolor=#a21c26><colcolor=#ffffff> 등번호 | AC 밀란 - 2번 이탈리아 축구 국가대표팀 - 12번 | |||
가족 | 아버지 바티스타 칼라브리아 여동생 사라 칼라브리아(1999년 5월 4일생) |
[clearfix]
1. 개요
이탈리아 국적의 볼로냐 FC 1909 소속 축구 선수. 포지션은 라이트백.2. 클럽 경력
3. 국가대표 경력
밀란에서 큰 발전을 보인 것이 좋은 평가를 받아 2020년 11월 드디어 국가대표에 선발되었다. 크로아티아와의 친선경기에 교체출장하며 국가대표로 데뷔했다. 또 18일 네이션스리그 조별리그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전에서 93분에 로렌초 인시녜와 교체출장했다.유로 2020에서는 부상때문에 국가대표에서 탈락했다. 유로 이후 첫 국가대표 선발에서 소집되지 않았다가 라짜리가 부상을 당해 대체 소집되었다. 월드컵 예선에서는 교체로 두경기를 소화했다.
그러나 2022년 들어서 다시 소집이 되지 않고 있어 좀 당황스러운 상황이다. 밀란에서 주전 멤버인 칼라브리아는 국대 소집이 되지 않고 오히려 로테이션 멤버인 플로렌치가 국대에 뽑히는(...) 아이러니한 상황이다.
그러다가 2022년 6월 다시 국가대표에 소집되어 네이션스리그 헝가리전과 독일전에서 선발로 뛰었다.
그러나 이후 2023년에는 또다시 국가대표에 소집되지 않고 있다. 부상이 잦은 편이긴 하지만, 실력에 비해 상당히 찬밥신세이다.
2023년 11월 국가대표에 다시 소집되었다. 그러나 부상으로 인해 뛰지는 못하게 됐다.
만치니와 스팔레티 모두 디로렌초를 선발로 고정시키고, 백업으로 만치니는 주로 플로렌지와 톨로이를, 스팔레티는 주로 다르미안과 캄비아소를 3백, 4백 가리지 않고 밀고 있는 상황이기에 칼라브리아를 아예 뽑지도 않는 상황이 계속 비일비재하다. 심히 안습한 상황.
4. 플레이 스타일
유망주 시절에는 빠른 주력과 테크닉을 바탕으로 기대를 받았다. 풀백으로서 필요한 빠른 발, 활동량과 그것을 뒷받침하는 체력, 어린 나이임에도 잘 잡힌 피지컬까지 더해 공수양면으로 활발한 모습을 보인다. 공격 시 드리블 돌파를 시도하는데, 솔로 플레이를 통한 돌파보다는 원 투 패스를 즐겨하며, 공이 없는 상황에서 적절한 타이밍의 오버랩과 언더랩을 시도한다.
부상을 당하며 한동안 성장이 지체되다가 피올리 부임 후 공수양면으로 발전했는데, 특히 태클 능력이 많이 발전했다. 나이가 들면서 수비 집중력과 위치 선정이 발전하면서 태클의 타이밍과 정확도가 올라간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리그 내에서 순위권에 드는 태클을 보여주고 있는 등 칼라브리아의 대표적인 장점 중 하나라고 평가받을 정도. 다른 단점이었던 부정확한 킥 능력도 향상되어 크로스의 질도 수준급이 되었고, 방향을 전환하는 롱패스의 정확도도 매우 올라갔다. 또한 기회가 나면 중거리슛도 자주 시도하는 편인데, 킥이 꽤 강력해 위협적인 편이다.
성장 후 칼라브리아의 가장 돋보이는 플레이는 유망주 시절에도 좋은 평가를 받았던 오프 더 볼 상황에서의 적절한 타이밍의 오버래핑과 언더래핑이다. 풀백의 기본적인 움직임인 공격 상황에서의 오버래핑을 통한 측면을 벌려주는 움직임도 즐겨하지만, 여러 차례의 부상을 당한 이후에는 언더래핑으로 중앙에 들어와 미드필더 숫자 싸움에 가담해 중원 힘싸움에 도움을 주는 것에 더욱 두각을 드러낸다. 우리 팀의 공격일 때에는 중앙으로 들어와 중거리슈팅을 가져가거나 측면으로 빠져 드리블로 공을 운반하는 모습도 자주 보여준다. 주장으로서 경기 내내 많은 활동량을 바탕으로 하는 투지 넘치는 플레이를 보여주며 특히 상대편의 공격을 태클이나 적절한 수비로 끊어내는 부분은 계속 발전하고 있다.
과거에 비해 크로스의 정확도가 올라가고 전반적인 수비 기술과 판단력이 좋아졌지만, 문제는 좋아진 폼을 찾아가던 와중에 점차 부상이 많아졌다는 것. 부상을 자주 겪으면서 스피드가 많이 느려졌고 킥의 기복도 심해졌다. 잔부상이 많아지면서 점점 유리몸화가 되어가고 있다는 것이 칼라브리아의 가장 큰 단점으로, 반대쪽의 테오는 철강왕에 가까운 모습인데 반해 칼라브리아는 적절한 관리가 꼭 필요한 스타일이다.
5. 기록
5.1. 대회 기록
- AC 밀란 (2015~ )
- 세리에 A: 2021-22
- 수페르코파 이탈리아나: 2016, 2024
6. 여담
- 인성이 매우 좋은 것으로 알려졌다. 연패로 팀의 사기나 분위기 모두 떨어졌을 때, 팀 선수들 모두 다 고급 레스토랑의 초청해 본인이 다 계산하며 분위기를 어느 정도 풀었고, 인종차별을 당한 선수들이나, (예. 마이크 메냥) 적응을 잘 하지 못 하였던 선수 (예. 샤를 더케텔라러)를/을 독려 해주는 등, 팀의 주장으로써
실력은 그다지 믿음직 스럽진 못 해도좋은 행실을 선보였다.
- 15세가 될 때까지 벤치멤버에 머물러있어서 축구를 관두려고 했었다고 한다. 부모님이 브레시아에서 밀라노까지 힘들게 매일 차로 데려다주시는데 출전도 못하니까 부모님께 짐이 되는 것 같았다고. 하지만 이후 발전하면서 유스에서 좋은 활약을 했고 결국 밀란 주전멤버가 되었다.
- 찰하놀루, 케시에와 더불어 팬들에게 제일 많이 까이는 선수 중 하나였다. 그런데 2020년 세 선수가 나란히 포텐이 터지면서 리그 탑클래스 자원으로 자리잡았다.
피올리 매직
- 2019-20 시즌 이후 라리가로 이적이 유력했다. 하지만 프리시즌의 좋은 폼, 콘티의 부상, 영입을 원한 팀들의 낮은 이적료 제안으로 인해 이적이 무산되었다. 그런데 2020-21시즌에 엄청나게 발전한 기량을 보이며 리그 탑클래스로 성장했고, 확고한 주전 자원이 되었다.
- 2020-21 시즌 각성하면서 칼푸, 칼브로타 등의 별명이 생겼다. 또한 미드필더로 출전해도 상당히 잘해서 칼미히라고 부르기도 한다.
- 유스 출신으로 밀란에 대한 애정과 충성심이 상당히 강한 것으로 알려져있다. 이런 점이 돈나룸마와 엄청나게 비교되기도 한다.
- 같이 밀란 유스 시절을 보낸 마누엘 로카텔리, 파트리크 쿠트로네, 잔루이지 돈나룸마 등 선수들은 밀란을 떠났는데 혼자 남아서 밀란의 주전으로 뛰고 있다. 그 중에서 유베팬임을 공공연히 밝히고 결국 유베로 떠난 로카텔리, 돈만 밝히며 재계약 때마다 문제를 일으키다 팀을 떠난 돈나룸마와 충성심에서 비교가 된다는 평가를 받는다.[1] 실력으로 인해 팬들에게 비판받을 때조차 밀란에 대한 사랑을 자주 드러낸 선수이며 재계약 등에서도 문제를 일으킨 적이 없다. 칼라브리아가 유일한 근본이라며 팬들의 사랑을 받는 것은 이런 이유이다.
- 꽤 심한 곱슬머리지만 꽤 어울린다는 평이 많다.
7. 같이 보기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border: 0px solid; margin-bottom: -15px" | AC 밀란 2024-25 시즌 스쿼드 | ||||||
<rowcolor=#000> 7 | 8 | 9 | 10 | 11 | |||
산티아고 히메네스 Santiago Giménez 2001.04.18 ([age(2001-04-18)]) 2025~2029 | 루벤 로프터스치크 Ruben Loftus-Cheek 1996.01.23 ([age(1996-01-23)]) 2023~2027 | 루카 요비치 Luka Jović 1997.12.23 ([age(1997-12-23)]) 2023~2025 | 하파엘 레앙 Rafael Leão 1999.06.10 ([age(1999-06-10)]) 2019~2028 | 크리스천 풀리식 Christian Pulisic 1998.09.18 ([age(1998-09-18)]) 2023~2027 | |||
<rowcolor=#000> 14 | 16 (C) | 19 (VC) | 20 | 21 | |||
티자니 라인더르스 Tijjani Reijnders 1998.07.29 ([age(1998-07-29)]) 2023~2028 | 마이크 메냥 Mike Maignan 1995.07.03 ([age(1995-07-03)]) 2021~2026 | 테오 에르난데스 Theo Hernández 1997.10.06 ([age(1997-10-06)]) 2019~2026 | 알렉스 히메네스 Álex Jiménez 2005.05.08 ([age(2005-05-08)]) 2024~2028 | 사무엘 추쿠에제 Samuel Chukwueze 1999.05.22 ([age(1999-05-22)]) 2023~2028 | |||
<rowcolor=#000> 22 | 23 | 24 | 28 | 29 | |||
에메르송 로얄 Emerson Royal 1999.01.14 ([age(1999-01-14)]) 2024~2028 | 피카요 토모리 Fikayo Tomori 1997.12.19 ([age(1997-12-19)]) 2021~2027 | 알레산드로 플로렌치 Alessandro Florenzi 1991.03.11 ([age(1991-03-11)]) 2022~2025 | 말리크 치아우 Malick Thiaw 2001.08.08 ([age(2001-08-08)]) 2022~2027 | 유수프 포파나 Youssouf Fofana 1999.01.10 ([age(1999-01-10)]) 2024~2028 | |||
| |||||||
<rowcolor=#000> 31 | 32 | 38 | 42 | 46 | |||
스트라히냐 파블로비치 Strahinja Pavlović 2001.05.24 ([age(2001-05-24)]) 2024~2028 | 카일 워커 Kyle Walker 1990.05.28 ([age(1990-05-28)]) 2025~2025[1] | 워렌 본도 Warren Bondo 2003.09.15 ([age(2003-09-15)]) 2025~2029 | 필리포 테라치아노 Filippo Terraciano 2003.02.08 ([age(2003-02-08)]) 2024~2028 | 마테오 가비아 Matteo Gabbia 1999.10.21 ([age(1999-10-21)]) 2017~2029 | |||
57 | <rowcolor=#000> 79 | 80 | 90 | 96 | |||
마르코 스포르티엘로 Marco Sportiello 1992.05.10 ([age(1992-05-10)]) 2023~2027 | 주앙 펠릭스 João Félix 1999.11.10 ([age(1999-11-10)]) 2025~2025[2] | 유누스 무사 Yunus Musah 2002.11.29 ([age(2002-11-29)]) 2023~2028 | 태미 에이브러햄 Tammy Abraham 1997.10.02 ([age(1997-10-02)]) 2024~2025[3] | 로렌초 토리아니 Lorenzo Torriani 2005.01.31 ([age(2005-01-31)]) 2024~2027 | |||
| | | | ||||
<rowcolor=#000> 99 | - | - | - | - | |||
리카르도 소틸 Riccardo Sottil 1999.06.03 ([age(1999-06-03)]) 2025~2025[4] | |||||||
구단 정보 | |||||||
<colbgcolor=#000000> 단장: | |||||||
출처: AC 밀란 공식 웹사이트, 트랜스퍼마크트, 최종 수정 일자 2025년 02월 06일 |
}}}}}}}}} ||
2024-25 시즌 구단별 주장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ff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555555,#aaaaaa | 조반니 디 로렌초 | 마티아 자카니 | 페데리코 바스키로토 | 로렌초 펠레그리니 |
마테오 페시나 | 마이크 메냥 | 요엘 포얀팔로 | 다르코 라조비치 | |
루이스 퍼거슨 | 하파엘 톨로이 | 알베르토 그라시 | 플로리앙 토뱅 | |
마누엘 로카텔리 | 라우타로 마르티네스 | 밀란 바델 | 레오나르도 파볼레티 | |
알레산드로 가브리엘로니 | 두반 사파타 | 엔리코 델프라토 | 루카 라니에리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