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2-01 21:20:05

AC 밀란/2024-25 시즌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AC 밀란
파일:하위 문서 아이콘.svg   하위 문서: AC 밀란/2024-25 시즌/리그
,
,
,
,
,
#!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
2023-24 시즌 2024-25 시즌 2025-26 시즌
파일:AC 밀란 로고.svg
AC 밀란 2024-25 시즌
회장 파올로 스카로니 (Paolo Scaroni)
단장 공석 ()
감독 파울루 폰세카 (Paulo Fonseca)[1] -> 세르지우 콘세이상 (Sérgio Conceição)
주장 다비데 칼라브리아[2]
부주장 테오 에르난데스
경과
(세리에 22R 종료 기준)
파일:세리에 A 로고.svg 7위
21경기[3] 9승 7무 5패 32득점 23실점
파일:코파 이탈리아 로고.svg 8강 진출
(1전 1승 0무 0패 6득점 1실점)
파일:UEFA 챔피언스 리그 로고 화이트.svg 리그 페이즈 13위
8경기 5승 0무 3패 14득점 11실점
파일:수페르코파 이탈리아나 로고.webp 우승
2경기 2승 0무 0패 5득점[4] 3실점
합산 성적[A] <colbgcolor=#fff,#191919><colcolor=#000,#fff> 승률 53.57%
32전 17승 7무 8패 57득점 38실점 +19
최다 득점자[A] 크리스천 풀리식, 티자니 라인더르스 (11득점)
최다 도움자[A] 하파엘 레앙, 유수프 포파나 (6도움)

1. 개요2. 선수단
2.1. 임대 선수 명단
3. 유니폼 및 메인 스폰서
3.1. 2024-25 시즌 부착 패치
4. 이적 시장
4.1. 여름 이적 시장
4.1.1. 영입4.1.2. 방출
4.2. 겨울 이적 시장
4.2.1. 영입설4.2.2. 방출/임대 설4.2.3. 영입4.2.4. 방출
5. 프리 시즌
5.1. 친선 경기
5.1.1. VS 라피트 빈 (원정,1:1 무)
5.2. 미국 투어
5.2.1. VS 맨시티 (중립, 3:2 승)5.2.2. VS 레알 마드리드 (중립, 1:0 승)5.2.3. VS 바르셀로나 (중립, 2:2 무, PSO 4:3 승)
5.3. 트로페오 베를루스코니 컵
5.3.1. VS 몬차 (홈, 3:1 승)
6. 정규 시즌
6.1. 파일:세리에 A 로고.svg 세리에 A6.2. 파일:UEFA 챔피언스 리그 엠블럼.svg UEFA 챔피언스 리그
6.2.1. 리그 페이즈
6.2.1.1. MD1 vs 리버풀 (홈, 1:3 패)6.2.1.2. MD2 vs 레버쿠젠 (원정, 1:0 패)6.2.1.3. MD3 vs 클뤼프 브뤼허 (홈, 3:1 승)6.2.1.4. MD4 vs 레알 마드리드 (원정, 1:3 승)6.2.1.5. MD5 vs 슬로반 브라티슬라바 (원정, 2:3 승)6.2.1.6. MD6 vs 츠르베나 즈베즈다 (홈, 2:1 승)6.2.1.7. MD7 vs 지로나 (홈, 1:0 승)6.2.1.8. MD8 vs 자그레브 (원정, 2:1 패)
6.3. 16강 PO vs 페예노르트
6.3.1. 1차전 (원정, -:-)6.3.2. 2차전 (홈, -:-)
7. 파일:logo_main_coppaitalia_frecciarossa.png 코파 이탈리아
7.1. 16강 vs 사수올로 (홈, 6:1 승)7.2. 8강 vs 로마 (홈, :)
8. 수페르코파 이탈리아나
8.1. 4강 vs 유벤투스 (중립, 1:2 승)8.2. 결승 vs 인테르 (중립, 2:3 승)
9. 시즌 총평
9.1. 전반기

1. 개요

AC 밀란 2024-25 시즌에 관한 문서.
기본 시간 단위는 한국 시각, 기본 화폐 단위는 유로

2. 선수단

파일:AC 밀란 로고.svg
AC 밀란 2024-25 시즌 스쿼드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border: 0px solid; margin-bottom: -15px"
AC 밀란 2024-25 시즌 스쿼드
파일:칼라브리아 24-25.png
파일:베나세르 24-25.png
파일:모라타 24-25.png
파일:로프터스치크 24-25.png
파일:요비치 24-25.png
2 (C) 4 7 8 9
다비데 칼라브리아
Davide Calabria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 DF
1996.12.06
2015~2025
이스마엘 베나세르
Ismaël Bennacer

파일:알제리 국기.svg | MF
1997.12.01
2019~2027
알바로 모라타
Alvaro Morata

파일:스페인 국기.svg | FW
1992.10.23
2024~2028
루벤 로프터스치크
Ruben Loftus-Cheek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 MF
1996.01.23
2023~2027
루카 요비치
Luka Jović

파일:세르비아 국기.svg | FW
1997.12.23
2023~2025
파일:Leao-Large 24-25.png
파일:풀리식 24-25.png
파일:라인더르스 24-25.png
파일:메냥 24-25.png
파일:오카포 24-25.png
10 11 14 16 17
하파엘 레앙
Rafael Leão

파일:포르투갈 국기.svg | FW
1999.06.10
2019~2028
크리스천 풀리식
Christian Pulisic

파일:미국 국기.svg | FW
1998.09.18
2023~2028
티자니 라인더르스
Tijjani Reijnders

파일:네덜란드 국기.svg | MF
1998.07.29
2023~2028
마이크 메냥
Mike Maignan

파일:프랑스 국기.svg | GK
1995.07.03
2021~2026
노아 오카포
Noah Okafor

파일:스위스 국기.svg | FW
2000.05.24
2023~2028
파일:Zeroli-Large.webp
파일:TheoHernandez-Large.png
파일:alejandro Jimenez-Large.webp
파일:추쿠에제 24-25.png
파일:Emerson Royal-Large.webp
18 19 (VC) 20 21 22
케빈 제롤리
Kevin Zeroli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 MF
2005.01.11
2022~2027
테오 에르난데스
Theo Hernández

파일:프랑스 국기.svg | DF
1997.10.06
2019~2026
알렉스 히메네스
Álex Jiménez

파일:스페인 국기.svg | DF
2005.05.08
2023~2028
사무엘 추쿠에제
Samuel Chukwueze

파일:나이지리아 국기.svg | FW
1999.05.22
2023~2028
에메르송 로얄
Emerson Royal

파일:브라질 국기.svg | DF
1999.01.14
2024~2028
파일:토모리 24-25.png
파일:플로렌치 24-25.png
파일:치아우 24-25.png
파일:Fofana-Large.webp
파일:파블로비치 24-25.png
23 24 28 29 31
피카요 토모리
Fikayo Tomori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 DF
1997.12.19
2021~2027
알레산드로 플로렌치
Alessandro Florenzi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 DF
1991.03.11
2021~2025
말리크 치아우
Malick Thiaw

파일:독일 국기.svg | DF
2001.08.08
2022~2027
유수프 포파나
Youssouf Fofana

파일:프랑스 국기.svg | MF
1999.01.10
2024~2028
스트라히냐 파블로비치
Strahinja Pavlović

파일:세르비아 국기.svg | DF
2001.05.24
2024~2028
파일:Terracciano-Large 24-25.webp
파일:가비아 24-25.png
파일:Sportiello-Large.webp
파일:Musah-Large 24-25.webp
파일:Abraham-Large.webp
42 46 57 80 90
필리포 테라치아노
Filippo Terraciano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 DF
2003.02.08
2024~2028
마테오 가비아
Matteo Gabbia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 DF
1999.10.21
2017~2026
마르코 스포르티엘로
Marco Sportiello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 GK
1992.05.10
2023~2027
유누스 무사
Yunus Musah

파일:미국 국기.svg | MF
2002.11.29
2023~2028
태미 에이브러햄
Tammy Abraham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 FW
1997.10.02
2024~2025[1]
파일:Torriani-Large.png
파일:AC 밀란 로고.svg
파일:AC 밀란 로고.svg
파일:AC 밀란 로고.svg
파일:AC 밀란 로고.svg
96 - - - -
로렌초 토리아니
Lorenzo Torriani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 GK
2005.01.31
2024~2027
구단 정보
<colbgcolor=#000000> 단장: 파일:UEFA EURO FRA.png 제프리 몬카다 / 감독: 파일:UEFA EURO POR.png 세르지우 콘세이상 / 홈구장: 산 시로
출처: AC 밀란 공식 웹사이트, 트랜스퍼마크트, 최종 수정 일자 2024년 10월 27일

[1] AS 로마에서 임대
}}}}}}}}} ||

2.1. 임대 선수 명단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border: 0px solid; margin-bottom: -15px"
AC 밀란 2024-25 시즌 임대 선수 명단
파일:Kalulu-Large2324.webp
파일:Adli-Large2324.webp
파일:살레마커스.png
파일:Pobega-Large2324.webp
파일:Colombo-Large2324.webp
- - - - -
피에르 칼룰루
Pierre Kalulu

파일:프랑스 국기.svg | DF
2000.06.05
유벤투스 FC 임대
야신 아들리
Yacine Adli

파일:프랑스 국기.svg | MF
2000.07.29
ACF 피오렌티나 임대
알렉시스 살레마커스
Alexis Saelemaekers

파일:벨기에 국기.svg | FW
1999.06.27
AS 로마 임대
톰마소 포베가
Tommaso Pobega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 MF
1999.07.15
볼로냐 FC 1909 임대
로렌초 콜롬보
Lorenzo Colombo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 FW
2002.03.08
엠폴리 FC 임대
파일:Romero-Large2324.webp
파일:Pellegrino-Large.webp
파일:Vasquez-Large.png
파일:AC 밀란 로고.svg
파일:AC 밀란 로고.svg
- - - - -
루카 로메로
Luka Romero

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 | MF
2004.11.18
데포르티보 알라베스 임대
마르코 펠레그리노
Marco pellegrino

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 | DF
2002.07.18
CA 인데펜디엔테
임대
데비스 바스케스
Devis Vásquez

파일:콜롬비아 국기.svg | GK
1998.05.12
엠폴리 FC
임대
마르코 라제티치
Marko Lazetić

파일:세르비아 국기.svg | FW
2004.01.22
FK TSC 바치카 토폴라 임대
구단 정보
<colbgcolor=#000000> 단장: 파일:UEFA EURO ITA.png 제프리 몬카다 / 감독: 파일:UEFA EURO POR.png 세르지우 콘세이상 / 홈구장: 산 시로
출처: AC 밀란 공식 웹사이트, 트랜스퍼마크트, 최종 수정 일자 2024년 10월 27일
}}}}}}}}} ||

3. 유니폼 및 메인 스폰서

2024-25 시즌 유니폼
파일:밀란 24-25 HOME.webp 파일:밀란 24-25 AWAY.webp 파일:밀란 24-25 THIRD.webp 파일:밀란 24-25 GK HOME.webp 파일:밀란 24-25 GK AWAY.webp 파일:밀란 24-25 GK THIRD.webp
어웨이 서드 GK 홈 GK 어웨이 GK 서드
<rowcolor=#000000> 메인 스폰서 슬리브 스폰서 유니폼 메이커
파일:emirates fly better.png 파일:MSC 크루즈 로고.svg 파일:푸마 로고.svg

3.1. 2024-25 시즌 부착 패치

AC 밀란 2024-25 시즌 부착 패치
파일:UCL_7.png
UEFA 배지 오브 오너

4. 이적 시장

4.1. 여름 이적 시장

====# 영입설 #====
공격수
  • [영입 완료] 알바로 모라타: 지르크지 딜이 깨진 이후 7월부터 밀란의 새로운 스트라이커 후보로 급부상 했다. 모라타의 방출조항은 13m이라는 저렴한 가격으로 세리에에서 뛰어본 경험도 있기에 좋은 영입이 될것으로 보인다. 이후 16일에 로마노의 here we go가 뜨면서 이적이 사실상 확정되었다. 19일에 오피셜이 뜨면서 이적이 확정되었다
  • [임대 완료] 태미 에이브러햄: AC밀란은 모라타 영입 이후 서브공격수로 에이브러햄 영입을 원한다는 보도가 상당히 많아졌다. 하지만 AC 밀란은 임대 후 이적 옵션을 넣길 원하고 있고, AS 로마는 무조건 이적시키려고 하고 있어 사실상 영입은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 이후 밀란 감독 폰세카가 서브공격수로 요비치에 만족하고 있다는 보도가 나오면서 사실상 영입이 무산된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이후 폰세카 체제 밀란 성적이 나락을 가면서 급하게 임대로 영입되었다.
  • [종료] 조슈아 지르크지: 밀란은 오랜 시간 지르크지를 공격의 뉴페이스로 노렸고 지르크지 또한 밀란행에 열망을 보였다. 이후 지르크지와 밀란과의 개인 합의가 완료 되었단 소식이 떴고 밀란은 지르크지의 바이아웃 금액을 제시하려 했다. 하지만 지르크지의 에이전트가 커미션을 15m까지 올려버렸고 이것이 터무니 없다고 생각한 밀란은 이 제안을 거절하며 협상이 파토났다. 지르크지는 결국 맨유로 이적했다.
  • [종료] 세루 기라시: 지루의 대체자로 노렸지만 기라시는 프리미어 리그 진출을 노리고 있기 때문에 사실상 밀란행을 거절한 것으로 보였다. 그러나 사실 밀란도 적극적이지 않았고 의외로 빅클럽들도 크게 관심을 보이지 않았다. 이후 도르트문트 HWG가 뜨면서 도르트문트로 이적이 확실시 되었다
  • [종료] 베냐민 세슈코: 지루의 대체자로 영입을 노린다는 보도가 나왔다. 하지만 밀란은 지르크지 영입을 강력하게 추진하며 세슈코에게는 큰 관심이 없는 것으로 보인다. 결과적으로 세슈코가 라이프치히와 재계약을 진행했고 이후 밀란은 지르크지 딜이 깨지고 바로 모라타 영입을 추진하면서 새슈코 영입 보도는 완전히 사라졌다.
  • [종료] 로멜루 루카쿠: 지르크지와 딜이 깨진 후 AC 밀란이 차선책으로 루카쿠를 원한다는 보도가 있었다. 밀란은 임대를 원하고 있는데, 첼시는 루카쿠를 임대가 아닌 완전 이적으로 판매하기를 원하고 있어 비현실적이란 반응. 밀란 또한 비싼 연봉과 적지 않은 나이로 인해 크게 적극적이지는 않은 모양새라 잠깐 보도가 나온 이후 아무 소식이 없다. 결국 모라타를 영입하면서 영입설은 그대로 종료되었다.
  • [종료] 산티아고 히메네스: 젊은 재능의 선수를 노리고 있기 때문에 관심이 있는 것으로 보이지만, 아스널, 첼시, 토트넘, 레알 마드리드, 아틀레티코 마드리드까지 히메네스를 노리고 있어서 현실적인 어려움이 있다. 스타일 상으로도 밀란이 원하는 프로필과는 다소 거리가 있어 잠깐 이적설이 나온 후 특별한 보도가 없었다. 밀란이 모라타를 노리는 게 알려지면서 영입설 자체가 사라졌다.

미드필더
  • [영입 완료] 유수프 포파나: 이적시장 초반부터 밀란이 영입을 원하고 있고 포파나 본인도 밀란에서 뛰길 바라고 있다. 유로가 끝난 시점에 모나코에게 직접 밀란으로 이적 요청을 하였다고 하며, 만약 영입에 성공한다면 라인더스, 베나세르와 함께 좋은 활약을 할것으로 보인다. 긴 협상 끝에 8월 15일 파브리지오 로마노가 HWG를 선언하며 사실상 AC 밀란행이 확정되었다.
  • [종료] 아드리앙 라비오: 몬카다의 픽이며 밀란은 라비오의 재능을 높게 평가하고 있다. 유로가 끝나고 나서 본격적으로 협상에 들어갈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너무 높은 연봉으로 인해 크게 적극적이지 않은 모양새이다. 밀란은 좀 더 필요한 유형인 포파나 영입에 올인한 것으로 보인다.
  • [종료] 페데리코 키에사: 모따가 유벤투스에 키에사 자리가 없음을 천명했고, 키에사의 폼이 잦은 부상 이후 많이 떨어져있어 방출 명단에 올랐다. 이적료는 낮은 편이나 연봉이 워낙 높고 폼이 떨어져 선뜻 영입을 원하는 구단이 없는 가운데 AC 밀란 이적설이 떴다. 자국 선수가 부족해 스쿼드 짜는데 어려움이 있는 밀란 입장에서도 키에사 영입은 나쁘지 않은 카드일 수 있다. 유벤투스는 살레마커스와 트레이드를 원했으나 폰세카 감독이 살레마커스 방출을 원치 않는데다 키에사의 연봉이 워낙 높아 밀란이 거절한 것으로 보인다.
  • [종료] 마누 코네: 유수프 포파나 영입 불발시 마누 코네를 플랜B로 노리고 있다는 보도가 많이 나오고 있다. 마누 코네 역시 팀을 떠나려는 열망이 강해 이적료만 맞춰준다면 어렵지않게 영입이 가능할 것으로 보이며, 특별한 경쟁자도 없을 것으로 보인다. 포파나 영입이 불확실해지면서 마누 코네 영입보도가 많아지는 중. 하지만 포파나가 영입되었음에도 불구하고 계속 마누 코네를 노리고 있음이 밝혀졌고, 즐라탄이 직접 마누 코네 영입을 원한다는 말까지 했다. 하지만 스쿼드 자원이 너무 많아 방출없이 영입을 할 수 있을지 의문인 상황이며, 마누 코네가 유리몸이기에 영입 자체를 반대하는 팬들도 많다. AS 로마행 급물살을 타면서 AC 밀란은 마누 코네 영입을 포기한 것으로 보인다.
  • [종료] 피에르에밀 호이비에르: 밀란 측이 제안한 것은 아니고 놀랍게도 토트넘 측이 먼저 제안했다고 한다. 다만 4월 이후론 관련 소식이 끊겼기 때문에 유의미한 진전이 이뤄지지 않았을 가능성이 높다.
  • [종료] 소피앙 암라바트: 이탈리아의 투토스포르트는 복귀하더라도 피오렌티나 복귀 혹은 밀란 이적을 하게 될 가능성이 있다고 언급했다. 풋볼 이탈리아 역시 밀란 측이 이적료만 지불하면 충분히 이적할 수 있다고 언급했다. 하지만 포파나 영입설이 구체화되면서 암라바트 보도 자체가 사라졌다.
  • [종료] 라자르 사마르지치: 몬카다가 이전부터 강력하게 노린 선수이다. 그러나 밀란이 책정한 것보다 요구 이적료가 높은데다 밀란의 방출 작업이 수월하지 않아 영입이 쉽지는 않은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밀란은 이번 이적시장 막바지까지 사마르지치를 노릴 것으로 보인다. 아탈란타가 사마르지치를 임대영입하면서 밀란은 사마르지치 영입에 실패했다.

수비수
  • [영입 완료] 스트라히냐 파블로비치 : 잘츠부르크에서는 30m를 불렀고, 밀란은 20m을 부른 가운데 클럽 간에 계속 협상 중이라고 한다. 만약 영입된다면 지난시즌에 지적받던 수비진의 높이 보강 뿐 아니라 보트만 때부터 노리던 왼발 센터백을 영입할 수 있게 된다. 유로 2024에서 활약이 뛰어나 노리는 클럽이 많다. 그러나 파블로비치가 밀란행을 강력하게 원하고 있어 밀란으로 이적이 거의 확실시되고 있다. 8월 1일에 오피셜이 뜨면서 이적이 확정되었다.
  • [영입 완료] 에메르송 로얄: 토트넘에서 주전 경쟁이 밀리며 이적을 결심 했고 구단도 동의해 방출 대상에 포함 시킨 상태다. 밀란은 이적료를 10m+@ 정도로 책정했고 토트넘은 25m을 책정해 가격이 너무 맞지 않아 이적 협상이 지지부진 해져 가는 중이다. 사실상 종료에 가까워진 듯 하다. 하지만 밀란의 신임감독 폰세카가 우측풀백 영입을 요구했고, 양 측의 이적료 견해 차이가 좁혀져 이적이 유력해졌다. 8월 9일 파브리지오 로마노가 HWG를 선언하며 사실상 AC 밀란행이 확정되었다.
  • [종료] 알레산드로 부온조르노: 밀란이 지난시즌부터 계속해서 원하고 있지만 요구 이적료가 너무 높아 밀란이 영입을 추진하지 않는 것으로 보인다. 결국 나폴리로 이적하며 끝이 났다.
  • [종료] 김민재: 뮌헨에서 주전경쟁에 다소 어려움을 겪는 김민재에게 밀란이 관심을 보였다는 보도가 있었다. 그러나 잠깐 보도가 나온 이후 별다른 이야기가 나오지 않았다. 밀란이 원하는 왼발 센터백도 아닌데다 이적료나 연봉 또한 밀란이 차이가 크기에 밀란의 영입 기조와 맞지않아 그냥 루머였던 걸로 보인다.
====# 방출/임대 설 #====
공격수
  • [방출 완료] 올리비에 지루: 5월 26일에 있던 세리에 A 최종전을 끝으로 밀란에서 은퇴하며 로스엔젤러스 FC로의 이적이 완료 되었다.
  • [방출설] 디보크 오리기: 지난 시즌 임대에서도 폐급 취급을 받은데다 프로의식이 부족해 1군에서 쫓겨나 개인 훈련 중이다. 명단에서는 이미 제외되었으며 방출 혹은 계약 해지 가능성이 높다. 만약 방출이 무산된다면 명단에서 제외될 것으로 보인다.
  • [종료] 루카 요비치: 계약을 연장했으나 경기력도 다소 애매하고 폰세카가 원하는 스타일이 아니라는 보도가 이어졌다. 그래서 요비치를 판매하고 타미 에이브러햄을 영입하려고 한다는 이야기가 돌았다. 하지만 요비치를 원하는 구단이 없었던데다 이적 시장 막판에 급하게 방출하려고 한 탓에 그냥 팀에 남게 되었다.
  • [종료] 하파엘 레앙: 여러 해외 구단과 연결이 되었으나 레앙이 자신의 팀은 밀란 뿐이라고 선언했고, 밀란 또한 NFS을 선언해 이적설은 무산되었다.

미드필더

* [방출 완료] 샤를 더케텔라러: 6월 15일로 아탈란타로 완전 이적을 시키며 방출했다.
  • [임대 완료] 야신 아들리: 미드필더 자원이 과포화된데다 신임감독 폰세카의 평가도 좋지 않아 아들리 방출설이 이적시장 초반부터 계속 나오고 있다. 아들리는 무조건 밀란에 남겠다는 의지를 보이고 있으나 스쿼드에 자리가 부족해 판매가 되지 않으면 명단 제외 가능성까지 있다. 팀에서는 나가라는 압박이 점점 심해지고 있어 방출 가능성이 높다. 이후 피오렌티나로 임대 이적했다.
  • [방출설] 이스마엘 베나세르: 사우디 구단들이 베나세르에게 관심이 있다고 한다. 밀란 또한 부상이 잦고 이적료를 많이 챙길 수 있는 베나세르를 판매하고 싶어하는 듯하다.
  • [임대 완료] 톰마소 포베가: 프리시즌에 다소 찬밥신세인 포베가또한 방출설이 나오고 있다. 그리고 뜬금 없이 볼로냐로 임대설이 돌기 시작하더니 결국 볼로냐로 임대 이적했다.
  • [임대 완료] 알렉시스 살레마커스: 임대 후 볼로냐에 이적이 유력했으나 모따가 유벤투스 감독으로 부임하면서 임대복귀하였다. 밀란은 살레마커스를 팔려고 했으나 프리시즌에 엄청난 경기력을 보이며 볼로냐 임대 이전과 다른 선수임을 증명했다. 이러한 활약은 폰세카에게 상당히 인상적으로 다가왔고 살레마커스를 밀란에 남기겠다는 뉘앙스의 인터뷰를 하기도 했다. 결국 폰세카의 요청으로 인해 살레마커스의 이적은 없던 일이 되었다. 이후 모따의 유벤투스가 살레마커스와 키에사의 교환을 제의했다는 보도도 있었으나 밀란은 그다지 관심을 보이지 않았다. 하지만 이후 폰세카가 급하게 타미 에이브러햄을 원하면서 맞교환 형태로 임대가 이루어졌다. 완전 이적 옵션이 없는 단순 임대.

수비수

* [임대 완료] 피에르 칼룰루: 에메르송 로얄 영입 후 밀란에서 입지가 거의 사라졌다. 이에 토디보 영입에 실패한 유벤투스가 칼룰루를 임대로 노리고 있다. 두 클럽간에 간격이 점점 좁혀지면서 결국 유벤투스로 임대를 가게 되었다.
  • [방출설] 포데 발로투레: 이적 시장 초반부터 명단에서 제외되며 방출 리스트에 올라갔다. 선수 본인은 영국행을 강력히 추진 중이나 지난 시즌 임대에서 최악이었기에 가능성이 거의 없다. 이적시장이 끝나기 전에는 방출될 가능성이 높다. 하지만 발로투레가 실력에 맞지 않게 빅리그만을 원하고 있어 쉽지는 않을 것으로 보인다.
  • [종료] 테오 에르난데스: 매 이적 시장마다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선수다. 현재 맨유도 연결 되어 있긴 하지만, 바이에른 뮌헨과 강력하게 연결되었다. 그러나 밀란에서 NFS을 선언하며 이적설은 종식되었다.

4.1.1. 영입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fff 3%, #e21c2b 3%, #e21c2b 4.5%, #000 4.5%, #000 10%, transparent 10%, transparent 90%, #000 90%, #000 95.5%, #e21c2b 95.5%, #e21c2b 97%, #fff 97%), linear-gradient(to bottom, #fff 5%, transparent 5%), repeating-linear-gradient(to right, #000 46.5%, #000 53.5%, #e21c2b 53.5%, #e21c2b 56.5%, #cd333a 56.5%, #cd333a 57.5%, #e21c2b 57.5%, #e21c2b 60.5%)"<tablewidth=100%> AC 밀란 2024-25 여름 이적 시장 - 영입/임대 명단
FROM 공식발표 국적 포지션 한글 성명 로마자 성명 이적/임대 비용
파일:아틀레티코 마드리드 로고.svg 7.19 파일:스페인 국기.svg FW 알바로 모라타 Álvaro Morata 이적 13M
파일:FC 레드불 잘츠부르크 로고.svg 7.31 파일:세르비아 국기.svg DF 스트라히냐 파블로비치 Strahinja Pavlović 이적 18M+2M
파일:토트넘 홋스퍼 FC 로고.svg 8.12 파일:브라질 국기.svg DF 에메르송 로얄 Emerson Royal 이적 15M+@
파일:AS 모나코 FC 로고.svg 8.17 파일:프랑스 국기.svg MF 유수프 포파나 Youssouf Fofana 이적 25M
파일:AS 로마 로고.svg 8.30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FW 태미 에이브러햄 Tammy Abraham 임대 1.5M
}}} ||

4.1.2. 방출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fff 3%, #e21c2b 3%, #e21c2b 4.5%, #000 4.5%, #000 10%, transparent 10%, transparent 90%, #000 90%, #000 95.5%, #e21c2b 95.5%, #e21c2b 97%, #fff 97%), linear-gradient(to bottom, #fff 5%, transparent 5%), repeating-linear-gradient(to right, #000 46.5%, #000 53.5%, #e21c2b 53.5%, #e21c2b 56.5%, #cd333a 56.5%, #cd333a 57.5%, #e21c2b 57.5%, #e21c2b 60.5%)"<tablewidth=100%> AC 밀란 2024-25 여름 이적 시장 - 방출/임대 명단
TO 공식발표 국적 포지션 한글 성명 로마자 성명 방출/임대 비용
파일:로스앤젤레스 FC 로고.svg 5.15 파일:프랑스 국기.svg FW 올리비에 지루 Olivier Giroud 계약 만료 -
파일:아탈란타 BC 로고.svg 6.15 파일:벨기에 국기.svg MF 샤를 더케텔라러 Charles De Ketelaere 완전 이적 22M+옵션2M[8]
파일:유벤투스 FC 로고.svg 8.21 파일:프랑스 국기.svg DF 피에르 칼룰루 Pierre Kalulu 임대 3.3M
파일:볼로냐 FC 1909 로고.svg 8.24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MF 톰마소 포베가 Tommaso Pobega 임대 -
파일:ACF 피오렌티나 로고.svg 8.28 파일:프랑스 국기.svg MF 야신 아들리 Yacine Adli 임대 2M
파일:AS 로마 로고.svg 8.30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MF 알렉시스 살레마키어스 Alexis Saelemaekers 임대 -
}}} ||

4.2. 겨울 이적 시장

4.2.1. 영입설

공격수
  • [이적 무산] 마커스 래시포드: 맨유에서 완전히 입지가 밀려난 래시포드에 대한 임대 계약이 현재 진행 중이다. 사우디의 오퍼를 거절한 래시포드는 최소한 유럽 리그에서 뛸 수 있는 팀을 원했고, EPL 선수들로 재미를 보고 있는 밀란에서 관심을 보이고 있다. 밀란에선 15M의 오퍼를 준비 중이며 그 이상은 낭비라고 생각하고 있다. 만약 맨유에서 비드를 거절한다면 28년 6월까지의 임대로 방향을 선회할 것으로 보인다. 다만 도르트문트도 관심을 보이고 있는 선수라 어떻게 될지는 더 지켜봐야 한다. 하지만 밀란은 래시포드 영입을 포기하고 카일 워커 영입에 집중하기로 했다고 한다.
  • [이적설] 주앙 펠릭스: 첼시에서 자리를 잡고 있는 펠릭스에게 밀란이 관심을 보이고 있으며, 심지어 문의까지 넣은 상태라고 전해진다.

수비수
  • [임대 완료] 카일 워커: 이제 워커의 계약 기간이 얼마 안 남아 있는데, 현재 에메르송 로얄이 세리에로 건너와서도 적응하지도 못하고 엉망인 폼을 보이고 있기 때문에 그를 대체 하려는 의도로 보인다. 현재는 이적 협상이 마무리 단계에 접어 들었고, 곧 오피셜 기사가 뜰 것이라 예상된다. 22일로 로마노의 Here we go가 뜨며 임대 이적이 완료 되었다.

4.2.2. 방출/임대 설

공격수
  • [방출설] 노아 오카포: 작년 시즌에 큰 기대를 받고 밀란으로 건너왔지만 현실은 36경기 6골 3도움으로 매우 저조했다. 결국 방출설이 돌며 밀란을 떠날 것이 유력 해졌다. 파브리지오 로마노는 급여는 라이프치히가 지불하고 필수 이적은 포함하지 않는다며, 11일자로 메디컬 테스트를 진행할 예정이라고 전했다.
  • [방출설] 루카 요비치: 22/23 시즌에서 피오렌티나에서 13골 3도움으로 나쁘지 않은 활약을 보였고, 밀란으로 이적 했다. 그리고 밀란에서의 첫번째 시즌에서 9골 1도움을 기록해 나쁘지 않은 수치를 보였다. 그런데 그 다음 시즌에서 거짓말 같이 입지가 나빠졌다. 밀란이 알바로 모라타와 태미 에이브러햄을 영입했기 때문이다. 이 때문에 출전 시간이 리그 17경기 동안 78분 밖에 되지 않는다. 이에 밀란에서는 요비치의 방출을 강력히 추진 중에 있다.

4.2.3. 영입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fff 3%, #e21c2b 3%, #e21c2b 4.5%, #000 4.5%, #000 10%, transparent 10%, transparent 90%, #000 90%, #000 95.5%, #e21c2b 95.5%, #e21c2b 97%, #fff 97%), linear-gradient(to bottom, #fff 5%, transparent 5%), repeating-linear-gradient(to right, #000 46.5%, #000 53.5%, #e21c2b 53.5%, #e21c2b 56.5%, #cd333a 56.5%, #cd333a 57.5%, #e21c2b 57.5%, #e21c2b 60.5%)"<tablewidth=100%> AC 밀란 2024-25 겨울 이적 시장 - 영입/임대 명단
FROM 공식발표 국적 포지션 한글 성명 로마자 성명 이적/임대 비용
파일:맨체스터 시티 FC 로고.svg 1.24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DF 카일 워커 Kyle Walker 임대 -
}}} ||

4.2.4. 방출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fff 3%, #e21c2b 3%, #e21c2b 4.5%, #000 4.5%, #000 10%, transparent 10%, transparent 90%, #000 90%, #000 95.5%, #e21c2b 95.5%, #e21c2b 97%, #fff 97%), linear-gradient(to bottom, #fff 5%, transparent 5%), repeating-linear-gradient(to right, #000 46.5%, #000 53.5%, #e21c2b 53.5%, #e21c2b 56.5%, #cd333a 56.5%, #cd333a 57.5%, #e21c2b 57.5%, #e21c2b 60.5%)"<tablewidth=100%> AC 밀란 2024-25 겨울 이적 시장 - 방출/임대 명단
TO 공식발표 국적 포지션 한글 성명 로마자 성명 방출/임대 비용
파일:크루스 아술 로고.svg 1.18 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 MF 루카 로메로 Luka Romero 이적 -
}}} ||

5. 프리 시즌

5.1. 친선 경기

5.1.1. VS 라피트 빈 (원정,1:1 무)

파일:AC 밀란 로고.svg
친선경기
2024년 7월 21일 일요일 12:30 (UTC-5)
알리안츠 슈타디온 (오스트리아, 빈)
주심: 패트릭 코시엘니키
관중: 24,500명
파일:SK 라피트 빈 로고.svg
1 : 1
파일:AC 밀란 로고.svg
SK 라피트 빈 AC 밀란
- 파일:득점 아이콘.svg -
매치 리포트 | 경기 하이라이트

5.2. 미국 투어

5.2.1. VS 맨시티 (중립, 3:2 승)

파일:AC 밀란 로고.svg
미국 투어 1경기
2024년 7월 28일 일요일 07:00 (EDT+13)
양키 스타디움 (뉴욕 시티)
주심: 세르지 보이코
관중: 46,122명
파일:맨체스터 시티 FC 로고.svg
2 : 3
파일:AC 밀란 로고.svg
맨체스터 시티 AC 밀란
19' 엘링 홀란드
55' 제임스 매카티
파일:득점 아이콘.svg 30', 34' 로렌초 콜롬보
78' 마르코 나스티
경기 하이라이트 | 매치 리포트

5.2.2. VS 레알 마드리드 (중립, 1:0 승)

파일:AC 밀란 로고.svg
미국 투어 2경기
2024년 8월 1일 목요일 09:30 (KST)
솔저 필드 (일리노이, 시카고)
주심: 루비엘 바스케스
관중: 명
파일:AC 밀란 로고(2024-25 AWAY).svg
1 : 0
파일:레알 마드리드 CF 로고_Black.svg
AC 밀란 레알 마드리드
55' 사무엘 추쿠에제 (A. 마티아 리베랄리) 파일:득점 아이콘.svg -
매치 리포트 | 경기 하이라이트

5.2.3. VS 바르셀로나 (중립, 2:2 무, PSO 4:3 승)

파일:AC 밀란 로고.svg
미국 투어 3경기
2024년 8월 7일 수요일 08:30 (KST)
M&T 뱅크 스타디움 (메릴랜드, 볼티모어)
주심: 빅터 리바스
관중: 51,337명
파일:AC 밀란 로고(2024-25 AWAY).svg
2 : 2
(P.S.O. 4 : 3)
파일:FC 바르셀로나 로고.svg
AC 밀란 바르셀로나
- 파일:득점 아이콘.svg -
매치 리포트 | 경기 하이라이트

5.3. 트로페오 베를루스코니 컵

5.3.1. VS 몬차 (홈, 3:1 승)

파일:AC 밀란 로고.svg
친선경기
2024년 8월 14일 수요일 04:00 (KST)
산 시로 (밀라노)
주심: 안토니아 주아
관중: 54,089명
파일:AC 밀란 로고.svg
3 : 1
파일:AC 몬차 로고.svg
AC 밀란 몬차
- 파일:득점 아이콘.svg -
매치 리포트 | 경기 하이라이트

6. 정규 시즌

6.1. 파일:세리에 A 로고.svg 세리에 A

파일:세리에 A 로고.svg
AC 밀란 세리에 A 2024-25 시즌 현황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AC 밀란/2024-25 시즌/리그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6.2. 파일:UEFA 챔피언스 리그 엠블럼.svg UEFA 챔피언스 리그

파일:UEFA 챔피언스 리그 로고 화이트.svg
AC 밀란 UEFA 챔피언스 리그 2024-25 시즌 현황

6.2.1. 리그 페이즈

6.2.1.1. MD1 vs 리버풀 (홈, 1:3 패)
파일:UEFA 챔피언스 리그 로고 화이트.svg
2024-25 UEFA 챔피언스 리그 리그 페이즈 매치데이 1
2024년 9월 18일 수요일 04:00 (CEST+7)
스타디오 산 시로 (이탈리아, 밀라노)
주심: 에스펜 에스코스 (노르웨이)
관중: 59,826명
파일:AC 밀란 로고.svg
1 : 3
파일:리버풀 FC 라이버 버드 로고(화이트).svg
밀란 리버풀
3' 크리스티안 풀리식 (A. 알바로 모라타) 파일:득점 아이콘.svg 23' 이브라히마 코나테 (A. 트렌트 알렉산더아놀드)
41' 버질 반 다이크 (A. 코스타스 치미카스)
67' 도미니크 소보슬라이 (A. 코디 각포)
매치 리포트
Player of the Match: 라이언 흐라벤베르흐
6.2.1.2. MD2 vs 레버쿠젠 (원정, 1:0 패)
파일:UEFA 챔피언스 리그 로고 화이트.svg
2024-25 UEFA 챔피언스 리그 리그 페이즈 매치데이 2
2024년 10월 2일 수요일 04:00 (CEST+7)
바이 아레나 (독일, 레버쿠젠)
주심: 산드로 셰러 파일:UEFA SUI.png
관중: 30,210명
파일:바이어 04 레버쿠젠 로고(2024-25 HOME).svg
1 : 0
파일:AC 밀란 로고(2024-25 AWAY).svg
레버쿠젠 AC 밀란
51' 빅터 보니페이스 (A. 제레미 프림퐁) 파일:득점 아이콘.svg -
경기 하이라이트 | 매치 리포트
Player of the Match: 플로리안 비르츠
6.2.1.3. MD3 vs 클뤼프 브뤼허 (홈, 3:1 승)
파일:UEFA 챔피언스 리그 로고 화이트.svg
2024-25 UEFA 챔피언스 리그 리그 페이즈 매치데이 3
2024년 10월 23일 수요일 01:45 (CEST+7)
스타디오 산 시로 (밀란)
주심: 펠릭스 츠바이어
관중: 58,649명
파일:AC 밀란 로고(2024-25 THIRD).svg
3 : 1
파일:클뤼프 브뤼허 KV 로고.svg
밀란 클뤼프 브뤼허
34' 크리스천 풀리식
61', 71' 티자니 라인더르스 (A. 61' 노아 오카포, 71' 사무엘 추쿠에제)
파일:득점 아이콘.svg 51' 키리아니 사브 (A. 휴고 베틀레센)
경기 하이라이트 | 매치 리포트
Player of the Match: 미정
6.2.1.4. MD4 vs 레알 마드리드 (원정, 1:3 승)
파일:UEFA 챔피언스 리그 로고 화이트.svg
2024-25 UEFA 챔피언스 리그 리그 페이즈 매치데이 4
2024년 11월 6일 수요일 05:00 (CET+8)
에스타디오 산티아고 베르나베우 (마드리드)
주심: 슬라브코 빈치치
관중: 75,561명
파일:레알 마드리드 CF 로고.svg
1 : 3
파일:AC 밀란 로고.svg
레알 마드리드 밀란
23' 비니시우스 주니오르 (PK) 파일:득점 아이콘.svg 12' 말릭 치아우 (A. 12' 크리스천 풀리식)
39' 알바로 모라타
73' 티자니 라인더르스 (A. 73' 하파엘 레앙)
경기 하이라이트 | 매치 리포트
Player of the Match: 마이크 메냥
6.2.1.5. MD5 vs 슬로반 브라티슬라바 (원정, 2:3 승)
파일:UEFA 챔피언스 리그 로고 화이트.svg
2024-25 UEFA 챔피언스 리그 리그 페이즈 매치데이 5
2024년 11월 27일 수요일 02:45 (CET+8)
나로드니 푸트발로비 슈타디온 (브라티슬라바)
주심: 호세 마리아 산체스
관중: 22,500명
파일:ŠK 슬로반 브라티슬라바 로고.svg
2 : 3
파일:AC 밀란 로고.svg
S. 브라티슬라바 밀란
24' 티그란 바르세그얀 (A. 키리아코스 사비디스)
88' 니노 마르첼리 (A. 티그란 바르세그얀)
파일:득점 아이콘.svg 21' 크리스천 풀리식 (A. 태미 에이브러햄)
68' 하파엘 레앙 (A. 유수프 포파나)
71' 태미 에이브러햄
경기 하이라이트 | 매치 리포트
Player of the Match: 미정
6.2.1.6. MD6 vs 츠르베나 즈베즈다 (홈, 2:1 승)
파일:UEFA 챔피언스 리그 로고 화이트.svg
2024-25 UEFA 챔피언스 리그 리그 페이즈 매치데이 6
2024년 12월 12일 목요일 12:00 (CEST+7)
스타디오 산 시로 (밀라노)
주심: 헤수스 길 만자노
관중: 53,717명
파일:AC 밀란 로고(2024-25 THIRD).svg
2 : 1
파일:FK 츠르베나 즈베즈다 로고(2024-25 THIRD).png
밀란 츠르베나 즈베즈다
42' 하파엘 레앙 (A. 유수프 포파나)
87' 태미 에이브러햄
파일:득점 아이콘.svg 67' 네마냐 라돈지치
경기 하이라이트 | 매치 리포트
Player of the Match: 하파엘 레앙
6.2.1.7. MD7 vs 지로나 (홈, 1:0 승)
파일:UEFA 챔피언스 리그 로고 화이트.svg
2024-25 UEFA 챔피언스 리그 리그 페이즈 매치데이 7
2025년 1월 23일 목요일 12:00 (CEST+7)
스타디오 산 시로 (밀라노)
주심: 토비아스 슈틸러
관중: 66,030명
파일:AC 밀란 로고.svg
1 : 0
파일:지로나 FC 로고(2024-25 AWAY).svg
밀란 지로나
37' 하파엘 레앙 (A. 이스마엘 베나세르) 파일:득점 아이콘.svg -
경기 하이라이트 | 매치 리포트
Player of the Match: 하파엘 레앙

다행히 남은 두경기는 하위권 팀들과의 대결이라 2패후 6연승으로 다이렉트 16강 진출 확률을 높일 수 있는 기회다.
6.2.1.8. MD8 vs 자그레브 (원정, 2:1 패)
파일:UEFA 챔피언스 리그 로고 화이트.svg
2024-25 UEFA 챔피언스 리그 리그 페이즈 매치데이 8
2025년 1월 30일 목요일 05:00 (CET+8)
스타디온 막시미르 (자그레브)
주심: 프랑수아 르텍시에
관중: 18,856명
파일:GNK 디나모 자그레브 로고.svg
2 : 1
파일:AC 밀란 로고.svg
GNK 디나모 밀란
19' 마르틴 바투리나
60' 마르코 피아차 (A. 로나르 피에르 가브리엘)
파일:득점 아이콘.svg 53' 크리스천 풀리식 (A. 피카요 토모리)
<rowcolor=#000> - 파일:경고 퇴장 아이콘.svg 31', 39' 유누스 무사
경기 하이라이트 | 매치 리포트
Player of the Match: 미정
졸전을 치르면서 패배를 당했고, 16강 직행 또한 좌절되는 결과를 받아들여야 했다. 그나마 앞선 5경기에서 전승을 거둔 것이 리그 페이즈 탈락이라는 참사로 이어지는 것까지는 막아주었다. 결과적으로 해당 경기를 이긴 자그레브는 25위로 탈락하면서 이 결과는 양 팀 모두에게 손해가 되었다.

6.3. 16강 PO vs 페예노르트

6.3.1. 1차전 (원정, -:-)

파일:UEFA 챔피언스 리그 로고 화이트.svg
2024-25 UEFA 챔피언스 리그 녹아웃 플레이오프 1차전
2025년 2월 12일 수요일 05:00 (CEST+7)
스타디온 페예노르트 '더 카위프' (네덜란드, 로테르담)
주심: 파일:국기.svg 미정
관중: 0명
파일:페예노르트 로테르담 로고.svg
- : -
파일:AC 밀란 로고(2024-25 AWAY).svg
페예노르트 AC 밀란
- 파일:득점 아이콘.svg -
경기 하이라이트 | 매치 리포트
Player of the Match:

6.3.2. 2차전 (홈, -:-)

파일:UEFA 챔피언스 리그 로고 화이트.svg
2024-25 UEFA 챔피언스 리그 녹아웃 플레이오프 2차전
2025년 2월 19일 수요일 05:00 (GMT+9)
스타디오 산 시로 (밀라노)
주심: 파일:국기.svg 미정
관중: ?명
파일:AC 밀란 로고.svg
- : -
파일:페예노르트 로테르담 로고(2024-25 AWAY).png
밀란 페예노르트
- 파일:득점 아이콘.svg -
경기 하이라이트 | 매치 리포트
Player of the Match: 미정

7. 파일:logo_main_coppaitalia_frecciarossa.png 코파 이탈리아

파일:logo_main_coppaitalia_frecciarossa.png
AC 밀란 코파 이탈리아 2024-25 시즌 현황

7.1. 16강 vs 사수올로 (홈, 6:1 승)

파일:코파 이탈리아 로고.svg
2024-25 코파 이탈리아 16강
2024년 12월 4일 수요일 5:00 (UTC+9)
스타디오 산 시로 (밀라노, 롬바르디아주)
주심: 케빈 보나치나
관중: 31,392명
파일:AC 밀란 로고.svg
6 : 1
파일:US 사수올로 칼초 로고.svg
밀란 사수올로
12' 사무엘 추쿠에제
17' 티자니 라인더르스
21' 사무엘 추쿠에제 (A. 태미 에이브러햄)
23' 하파엘 레앙 (A. 루벤 로프터스치크)
56' 다비데 칼라브리아
62' 태미 에이브러햄 (A. 노아 오카포)
파일:득점 아이콘.svg 59' 사무엘레 물라티에리 (A. 재니스 앙티스트)
매치 리포트 | 경기 하이라이트

7.2. 8강 vs 로마 (홈, :)

파일:코파 이탈리아 로고.svg
2024-25 코파 이탈리아 8강
2025년 2월 6일 목요일 2:00 (UTC+9)
스타디오 산 시로 (밀라노, 롬바르디아주)
주심:
관중:
파일:AC 밀란 로고.svg
- : - 파일:AS 로마 로고.svg
밀란 로마
- 파일:득점 아이콘.svg -
매치 리포트 | 경기 하이라이트

8. 수페르코파 이탈리아나

8.1. 4강 vs 유벤투스 (중립, 1:2 승)

파일:수페르코파 이탈리아나 로고.webp
2024-25 수페르코파 이탈리아나 4강
2024년 1월 4일 토요일 4:00 (UTC+9)
알 아왈 파크 (리야드, 사우디 아라비아)
주심: 안드레아 콜롬보
관중: 24,783명
파일:유벤투스 FC 로고.svg
1 : 2
파일:AC 밀란 로고.svg
유벤투스 밀란
21' 케난 일디즈 (A. 사무엘 음방굴라) 파일:득점 아이콘.svg 71' (PK) 크리스천 풀리식
76' (OG) 페데리코 가티
매치 리포트 | 경기 하이라이트
Player of the Match: 크리스천 풀리식

8.2. 결승 vs 인테르 (중립, 2:3 승)

파일:수페르코파 이탈리아나 로고.webp
2024-25 수페르코파 이탈리아나 결승
2024년 1월 7일 금요일 4:00 (UTC+9)
알 아왈 파크 (리야드, 사우디 아라비아)
주심: 시모네 소자
관중: 24,841명
파일:FC 인테르나치오날레 밀라노 로고(2024-25).svg
파일:수페르코파 이탈리아나 우승컵.png
파일:AC 밀란 로고.svg
인테르나치오날레 AC 밀란
2 3
45+1' 라우타로 마르티네스 (A. 메흐디 타레미)
47' 메흐디 타레미 (A. 스테판 더프레이)
파일:득점 아이콘.svg 52' 테오 에르난데스
80' 크리스천 풀리식 (A. 테오 에르난데스)
90+3' 태미 에이브러햄 (A. 하파엘 레앙)
경기 하이라이트 | 매치 리포트
Player of the Match: 태미 에이브러햄

파일:24-25 수페르코파 이탈리아나 우승 (1).jpg

새로 부임한 세르지우 콘세이상 감독은 2경기 만에 밀란에게 우승컵을 안겨주었다.

9. 시즌 총평

9.1. 전반기

이번에 감독이 피올리에서 폰세카 감독으로 새롭게 바뀐만큼 밀란의 성적에 대해 기대했던 사람들이 많았는데 결론부터 말하자면 먼저 리그의 성적은 망했다. 그냥 망한 수준도 아니고 리그 8위에 승률은 41% 밖에 되지 않는다. 이 정도 수준은 우승 실패했단 이유로 리그 2위에 잘린 피올리 감독은 아득히 뛰어넘으며 5년 전까지 거슬러 올라가 마르코 지암파올로 감독이 있던 시절인 19/20 시절과 유사한 수준이다.이는 밀란이 감독 교체를 대실패 했단 것을 의미한다.

폰세카 감독은 리그 개막전부터 이해할 수 없는 일을 벌여왔다. 토리노를 상대로 루벤 로프터스치크를 3선에 배치한 것이 대표적. 전술적으로는 4-2-3-1 포메이션으로 높은 위치에서 강한 압박을 거는 전술을 시전했는데, 문제는 피올리의 전술에 적응했기 때문에, 새로 온 감독에 대한 선수들의 전술 이해도가 매우 떨어지는 모습을 보이며 대부분 실패했단 것이다. 이는 공격진의 공격 포인트에서도 나타난다. 전 시즌에서 공격을 책임지던 하파엘 레앙이 이번 시즌에선 3득점 4도움 수준으로 저조했다. 또한 테오 에르난데스도 웬만하면 평점 7점대를 찍지 못하고 상당히 침체된 모습을 보였다. 그리고 결국 폰세카 감독과 두 선수 사이의 불화설까지 나돌 지경까지 와버렸다.

물론 수확이 아예 없는 것은 아니였고, 더비 경기나 챔피언스 리그에서 레알 마드리드를 상대로 각각 1:2, 1:3으로 이긴 것은 좋은 결과였지만, 리그에서 유벤투스, 피렌체, 라치오 등 이겨야 할 상대들에게 이기지 못했다. 또한 아탈란타와 나폴리 같은 강팀들에게도 승점을 따오지 못한 것도 컸다. 결국 이런 부진이 18R 로마전까지 이어졌고 그 경기를 끝으로 폰세카 감독은 경질 되었고 콘세이상 감독이 새롭게 부임했다. 지금 밀란은 감독이 교체되고 후반기를 대비하는 과도기에 놓여있는 상태다. 또한 이 와중에도 티자니 라인더르스가 본인의 재능을 일깨워 5골 2도움을 기록한 점은 상당히 긍정적이다.


[1] 2024-25 세리에A 18R AS 로마전 이후 경질[2] 콘세이상 체제가 들어서고 나서부터는 칼라브리아가 선발로 나서더라도 주장 완장은 메냥이 차고 나오는 등 사실상 주장 역할을 메냥이 하고 있다. 다만 주장 교체 오피셜이 나오지 않았기에 현 주장은 칼라브리아가 맞다.[3] 9R 볼로냐전 연기[4] 페데리코 가티 1자책골[A] 프리시즌 기록은 합산하지 않음.[A] 프리시즌 기록은 합산하지 않음.[A] 프리시즌 기록은 합산하지 않음.[8] 셀온 이적 시 10% 이적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