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 정사(正史) 국가 공인 역사서 | 삼국사기 | 고려사 | |||
실록(實錄) 제왕의 일대기를 다룬 편년체 기록물 | †고려실록 | 조선왕조실록 | ||||
절요(節要) 방대한 정사 기록을 요약한 기록물 | 고려사절요 | 삼국사절요 | ||||
통감(通鑑) 통치에 도움이 되는 기록물 | 동국통감 | |||||
강목(綱目) 강목체를 적용한 기록물 | 동사강목 | 동국통감제강 | †본조편년강목 | |||
여사제강 | 동사회강 | 대동사강 | ||||
휘찬려사 | 국조정토록 | |||||
사략(史略) | †본조사략 | 동국사략 | ||||
일기(日記) 국가 공문서 | 승정원일기 | 일성록 | 동궁일기 | |||
각사등록 | 비변사등록 | |||||
역사시(歷史詩) | 응제시주 | 제왕운기 | ||||
기타 | 삼국유사 | †개황력 | 대사편년 | |||
대사기 | 속무정보감 | 국조통기 | ||||
발해고 | 해동고승전 | 동국병감 | ||||
단군세가 | 기자지 | 동사 | ||||
해동명장전 | †단군고기 | †신라고기 | ||||
†백제고기 | †해동고기 | †본국고기 | ||||
†삼한고기 | †고려고기 | 연려실기술 | ||||
동사보유 | 동국역대총목 | 동사세가 | ||||
해동역사 | 열조통기 | 동사찬요 | ||||
기타 실전(失傳) | <colbgcolor=#fff,#191919>고구려 | †유기 | †신집 | |||
신라 | †국사 | †제왕연대력 | †화랑세기 | |||
백제 | †백제기 | †백제신찬 | ||||
†백제본기 | †서기 | |||||
고려 | †구삼국사 | †가락국기 | †편년통록 | |||
†왕대종족기 | †성원록 | †금경록 | ||||
위서(僞書) | 환단고기 | 규원사화 | 단기고사 | |||
부도지 | 화랑세기 박창화 필사본 | 격암유록 | ||||
†: 실전(失傳)되어 현재는 존재하지 않음. | ||||||
번외: 현대 역사서 한국사 | }}}}}}}}} |
1. 개요
檀君世家. 조선 후기의 문신 허목이 1667년 편찬한 역사책. 단군조선과 단군에 대한 내용이 기록되어 있다.2. 내용
허목은 1667년 자신의 문집인 《기언(記言)》에 기전체 역사서인 동사를 저술해 수록하였는데, 이 책에서 허목은 단군(檀君), 기자(箕子), 위만(衛滿), 신라, 고구려, 백제의 여섯 나라를 세가로 서술하고, 열전에는 부여, 숙신씨(肅愼氏), 삼한, 가락(駕洛), 대가야, 예맥, 말갈, 모라(毛羅) 등 10국을 서술했으며, 흑치열전(黑齒列傳)은 외기로 독립시켰다. 허목은 흑치열전에서 일본의 역사를 한국의 방계 역사로 보았고 말갈열전에서 말갈의 역사를 한국 역사의 일부로 보았다.이 중 가장 대표적인 것이 단군세가와 신라세가다.
단군세가에서 허목은 단군이 평양에 도읍한 것은 도당씨(陶唐氏)가 즉위한 지 25년이 되던 해라고 기록했으며 우(禹)가 제후(諸侯)들과 도산(塗山)에서 회합했을 때, 단군의 아들도 도산에 가서 우 임금에게 조회하였다고 주장했다.
이후 상나라 무정 시기에 죽었으며 송양(松壤) 서쪽에 단군총(檀君塚)이 있다고 주장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