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 정사(正史) 국가 공인 역사서 | 삼국사기 | 고려사 | |||
실록(實錄) 제왕의 일대기를 다룬 편년체 기록물 | †고려실록 | 조선왕조실록 | ||||
절요(節要) 방대한 정사 기록을 요약한 기록물 | 고려사절요 | 삼국사절요 | ||||
통감(通鑑) 통치에 도움이 되는 기록물 | 동국통감 | |||||
강목(綱目) 강목체를 적용한 기록물 | 동사강목 | 동국통감제강 | †본조편년강목 | |||
여사제강 | 동사회강 | 대동사강 | ||||
휘찬려사 | 국조정토록 | |||||
사략(史略) | †본조사략 | 동국사략 | ||||
일기(日記) 국가 공문서 | 승정원일기 | 일성록 | 동궁일기 | |||
각사등록 | 비변사등록 | |||||
역사시(歷史詩) | 응제시주 | 제왕운기 | ||||
기타 | 삼국유사 | †개황력 | 대사편년 | |||
대사기 | 속무정보감 | 국조통기 | ||||
발해고 | 해동고승전 | 동국병감 | ||||
단군세가 | 기자지 | 동사 | ||||
해동명장전 | †단군고기 | †신라고기 | ||||
†백제고기 | †해동고기 | †본국고기 | ||||
†삼한고기 | †고려고기 | 연려실기술 | ||||
동사보유 | 동국역대총목 | 동사세가 | ||||
해동역사 | 열조통기 | 동사찬요 | ||||
기타 실전(失傳) | <colbgcolor=#fff,#191919>고구려 | †유기 | †신집 | |||
신라 | †국사 | †제왕연대력 | †화랑세기 | |||
백제 | †백제기 | †백제신찬 | ||||
†백제본기 | †서기 | |||||
고려 | †구삼국사 | †가락국기 | †편년통록 | |||
†왕대종족기 | †성원록 | †금경록 | ||||
위서(僞書) | 환단고기 | 규원사화 | 단기고사 | |||
부도지 | 화랑세기 박창화 필사본 | 격암유록 | ||||
†: 실전(失傳)되어 현재는 존재하지 않음. | ||||||
번외: 현대 역사서 한국사 | }}}}}}}}} |
해동고승전 (海東高僧傳) | |
소재지 | 서울특별시 관악구 관악로 1, 103동 서울대학교 규장각한국학연구원 (신림동,서울대학교) |
수량/면적 | 2권 1책 |
제작시기 | 1215년 |
1. 개요
고려의 승려 각훈[1]이 저술한 한반도의 족적을 남긴 스님들의 이야기를 다룬 책. 해동(海東)은 한반도를 의미하는 단어고 고승(高僧)이란 큰 뜻을 세운 스님을 뜻하며 전(傳)은 다양한 이야기를 묶은 책을 의미한다. 삼국사기나 삼국유사에서 나오지 않는 이야기들이 등장해 한국 불교사 연구에 중요한 서적이기도 하다. 현재는 서울대학교 규장각에 보관 중이며 한국사데이터베이스에서 번역본을 볼 수가 있다.편찬시기는 불명이나 고종 10년(1215년)에 지어진 것으로 추정되는데 이는 책 내용중에 "순도가 한반도[2]에 불교를 처음 들여온지 844년이 지났다."는 문구가 있어 이를 역순으로 계산해 추정한 것이다.
책은 중국 고승전을 참조해 만들었다는 것을 감안해 총 10권[3]으로 추정되나 정확한 권수는 알수가 없다. 현존하는 책은 1910년대에 해인사의 한 불탑에 들어 있던 것을 주지스님이 발견해 세상에 드러났다.
삼국사기에는 신라의 인물 김대문이 "고승전을 지었다."는 내용이 나오지만 그 책과 이 책 사이의 연관성은 알 수 없다. 학계에선 "같은 책인지 아닌지는 알 수 없다"고 하여 여지를 남기고 있다.#
2. 특징
- 삼국사기 등 일반적인 기전체 서적들과 달리 철저하게 스님의 일생에 초점을 두고 있다. 따라서 기이한 이야기들도 빼지 않고 넣었는데 용이 나타나 기적을 행한 이야기, 위대한 고승이 물에 들어가도 젖지 않고 불에 들어가도 타지 않은 일화라던지[4], 한 고승이 입적하자 푸른 물결이 그의 시신 주변으로 몰려왔고 그 고승은 그 물길을 따라 중국으로 떠났다[5], 신성한 3가지 향을 피우자 위독했던 왕녀가 낫는 이야기[6]등등 유교사관에 입각해 괴력난신과 술이부작을 적용하여 쓴 삼국사기[7]와는 반대되는 모습이다.
- 자료 부족으로 "위대한 인물들의 업적을 기리고 싶으나 기록이 없는게 한이다!"라는 사론을 남긴 삼국사기와 마찬가지로 편찬된 당시에 이미 삼국시대 기록이 상당수 사라진 상태라 "훌륭한 공적은 글로써 후대에 알려야 하지만 보이지가 않는구나."라는 한탄이 남아있다.
그리고 지금은 그렇게 한탄한 사람이 남긴 글조차 대부분 소실됐고... 돌고 도는 수레바퀴.
3. 차례
4. 인용 서적
- 국사(國史) : 거칠부가 편찬한 신라의 역사책을 말하는 것인지, 고려 초에 편찬된 구삼국사 혹은 삼국사기를 말하는 것인지는 알 수 없다.
- 기로기(耆老記)
- 수이전(殊異傳)
- 화랑세기(花郎世紀) : 김대문이 저술한 화랑에 대한 책.
- 의상전(義湘傳)
- 신라국기(新羅國記)
[1] 책의 서문에 "경기 오관산 영통사 주지인 각훈이 고종의 명을 받아 책을 썼다."는 내용이 나와 국왕이 임무를 맡길 정도로 유명한 스님으로 추정되지만 이 외에는 어떤 삶을 살았는지 기록이 없다.[2] 정확히는 고구려[3] 중국 양나라의 혜교(慧皎)가 기틀을 잡은 십과(十科) 체재는 고승전을 저술할때 역경(譯經), 의해(義解), 신이(神異), 습선(習禪), 명률(明律), 유신(遺身), 송경(誦經), 흥복(興福), 경사(經師), 창도(唱導)로 구성하도록 되어 있다.[4] 마라난타 전[5] 안함 전.[6] 아도 전.[7] 물론 삼국사기도 삼국의 건국신화를 비롯한 일부 설화는 "말도 안되는 이야기지만 일단 남겨진 글이니 쓰긴 쓴다."면서 기록하긴 했지만, 삼국유사나 해동고승전 등과 비교해보면 많이 쳐내긴 했다.[8] 신라십성.[9] 법흥왕을 말하며 이차돈에 관한 내용도 나온다.[10] 진흥왕을 말한다.[11] 신라십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