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11-30 18:04:53

레미 킬미스터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롤링 스톤이 2020년 가장 위대한 베이시스트 50명을 선정한 순위다.
<rowcolor=#fff> 1위 2위 3위 4위 5위
제임스 제머슨 찰스 밍거스 존 엔트위슬 부치 콜린스 캐럴 케이
<rowcolor=#fff> 6위 7위 8위 9위 10위
잭 브루스 래리 그레이엄 자코 파스토리우스 폴 매카트니 론 카터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11위-50위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rowcolor=#fff> 11위 12위 13위 14위 15위
필 레시 윌리 딕슨 스탠리 클라크 존 폴 존스 도널드 ‘덕’ 던
<rowcolor=#fff> 16위 17위 18위 19위 20위
찰리 헤이든 로비 셰익스피어 크리스 스콰이어 버딘 화이트 릭 댕코
<rowcolor=#fff> 21위 22위 23위 24위 25위
기저 버틀러 플리 빌 와이먼 게디 리 클리프 버튼
<rowcolor=#fff> 26위 27위 28위 29위 30위
이스라엘 카차오 로페스 데이비드 후드 애스턴 "패밀리 맨" 배럿 티나 웨이머스 밥 무어
<rowcolor=#fff> 31위 32위 33위 34위 35위
버나드 에드워즈 스팅 레미 킬미스터 리처드 데이비스 루이스 존슨
<rowcolor=#fff> 36위 37위 38위 39위 40위
레 클레이풀 존 맥비 피노 팔라디노 킴 고든 빌 블랙
<rowcolor=#fff> 41위 42위 43위 44위 45위
조지 포터 주니어 토니 레빈 마이크 와트 조셉 마크웰라 에스페란자 스폴딩
<rowcolor=#fff> 46위 47위 48위 49위 50위
피터 훅 릴랜드 스클라 킴 딜 더프 맥케이건 썬더캣
}}}}}}}}} ||
같이 보기: 명반, 명곡, 앨범 커버, 아티스트, 송라이터, 기타리스트, 보컬리스트 1 / 2, 베이시스트, 드러머, 듀오}}}}}}}}}
<colbgcolor=#000><colcolor=#fff> 레미 킬미스터
Lemmy Kilmister
파일:external/gipsypaladini.com/Lemmy-1.gif
본명 이언 프레이저 킬미스터
Ian Fraser Kilmister
이명 이언 프레이저 윌리스
Ian Fraser Willis
출생 1945년 12월 24일
영국 스태포드셔 주 스토크온트렌트
사망 2015년 12월 28일 (향년 70세)
미국 캘리포니아 주 로스앤젤레스
신체 키 178cm
국적
[[영국|]][[틀:국기|]][[틀:국기|]]
직업 음악가, 싱어송라이터
장르 하드 록, 헤비메탈
악기 보컬, 베이스 기타
소속 호크윈드 (1970~75)
모터헤드 (1975~2015)
활동 1965년 ~ 2015년
자녀 2명
링크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1. 개요2. 생애 및 활동 내역
2.1. 생애2.2. 뮤지션으로서의 삶
3. 음악적 특징4. 개인사

[clearfix]

1. 개요

LEMMY IS GOD[1][2][3]
영국의 로큰롤 밴드 모터헤드의 작곡가/리드싱어/베이시스트. 동시에 로큰롤 트리뷰트 성격의 컨셉 밴드인 헤드캣의 리더이기도 하였다. 카리스마적 이미지와 헤비한 음악, 항상 턱을 높게 치켜들고 더 높이 세운 마이크를 내린채 걸걸하게 내지르는 특유의 외침같은 보컬 자세로 유명했다.

2. 생애 및 활동 내역

2.1. 생애

1945년 크리스마스 이브 잉글랜드 태생으로 본명은 이안 프레이저 킬미스터(Ian Fraser Kilmister). 1967년 런던으로 상경해 71년부터 스페이스록 밴드 호크윈드에 가입하여 베이시스트로 활동하였으나 75년 약물 복용 문제로 해고당한다.[4]이후 친구를 포함한 멤버들을 규합해 자신의 밴드인 Bastards를 만들고 밴드명 때문에 방송출연이 금지되자 1975년 밴드명을 Motörhead로 변경하면서 본격적으로 오버그라운드에 이름을 알린다. 이후 23장의 정규 앨범과 수백 번의 투어를 여는 등 왕성한 활동을 하였다. 2015년 70세 생일파티로부터 이틀 후 병원에 입원해 검진을 받게 되는데, 뇌와 목에서 말기 암이 발견되어 남은 생이 몇 달 남지 않았다는 시한부 선고 받았다. 그러나 레미는 자신이 너무나 거칠고 빠른 삶을 살았기 때문에 오래 살 수 없을 것이라고 생각해왔기에 담담하게 받아들였다고 한다. 이후 퇴원하여 그가 좋아하는 비디오 게임을 즐기다 12월 28일 사망하였다.[5]
2016년 1월 9일 치러진 레미의 장례식
2016년 1월 9일, 레미의 장례식이 거행되었다. 모터헤드의 매니저 토드 싱어먼의 진행 아래 레미의 아들 폴 인더 킬미스터, 미키 디[6], 롭 핼포드, 데이브 그롤, 슬래시(기타리스트), 로버트 트루히요, 라스 울리히 그리고 트리플 H 등등 생전 고인과 깊은 연이 있던 사람들이 참석하여 추모의 뜻을 전하였다.

문서명은 레미 킬미스터이지만, 보통 성을 떼고 "Lemmy"(레미)라고만 불린다.

2.2. 뮤지션으로서의 삶

터프하고 '놀 줄 아는' 남성의 아이콘으로서 80년대 초반부터 급부상하여 마초적인 음악인의 플래그십이 되었다. 모터헤드 동시기 또는 그 이후 세분화된 헤비메탈 하위장르들이 흔히 흑마술과 박쥐 뜯어먹는 음악(...)으로 이미지가 각인된 것에 비해 이쪽은 경쾌한 로큰롤의 느낌을 일부 간직하고 있어서 나름 대중적인 면이 있었다. 본인의 외모부터가 근육질에 큰 코, 각진 턱, 수염, 긴 흑발이어서 '멋진 남자'의 아이콘으로 기능하며 걸걸하고 가래끓는듯한 하루에 줄담배를 100개피 정도는 펴야 나올듯한 보컬로 큰 인기를 누리기도 했고... 음악이 감이 잘 오지 않는다면 WWE의 레슬러 트리플 H의 등장곡으로 쓰인 The Game을 떠올리면 된다.[7]
모터헤드의 최대 히트곡 Ace Of Spades

Ace of Spades, Overkill, Too Late Too Late, We Are Motörhead, Damage Case 등 많은 히트곡들을 써낼 정도로 작곡 능력이 출중했으며 초창기 앨범의 히트곡만으로 앨범도 거의 내지않고 수십년동안 울궈먹는 여타 밴드와[8] 달리 데뷔 때부터 마지막까지 짧게는 1년 길게는 3년안에 앨범을 꾸준하게 내왔고, 2015년 그가 죽은 해에 23번째 앨범이자 마지막 유작 Bad Magic을 발매했다.
레미가 사망한 해에 발매된 모터헤드의 유작 Bad Magic의 수록곡 Till The End[9]

앨범 작업할 때도 상당히 진지한 입장이며 절대 허투루 앨범 작업을 하지 않았다. 락 스타로서 놀고 먹긴해도 뮤지션으로서 기본적인 자세를 가지고 있다. 과거 섹스 피스톨즈의 베이시스트 시드 비셔스가 베이스를 연주할 줄 모르는데도 밴드에 들어갔다고 하였을 때 기본적으로 악기도 연주 할 줄 모르는 놈이 무슨 밴드하냐고 일침을 가했고[10], 메탈리카와 합동 공연 전 리허설을 할 때 메탈리카의 문제점이 드럼에 있다는 것을 바로 캐치할 정도로 음악적 실력이 상당한 것을 알 수 있다.

후대에는 레미의 음악을 헤비메탈 내지는 스피드메탈 등으로 분류하며 로큰롤에서 헤비메탈로의 장르 확장을 개척한 대부로 부르지만, 본인은 매 콘서트마다 "Don't forget us. We are Motörhead. We play Rock 'n Roll!"이라는 고정멘트를 하며 자신의 음악을 '꽤 빠른 로큰롤'이라고 정의하는 편이다.[11]

모터헤드의 음악 스타일이 80년대 중후반을 풍미한 스래시 메탈의 태동에 큰 모티브가 된지라, 특히나 '빅4(슬레이어, 메탈리카, 메가데스, 앤스랙스)'를 비롯한 스래쉬 메탈, 80년대 후반 헤비메탈 뮤지션들에게 공통적으로 대부로 존경받는 인물로[12] 전성기 당시 영향력은 소위 말하는 영웅들의 영웅. 오늘날까지도 헤비메탈에 입문하는 음악인 또는 팬들이 자신이 좋아하는 뮤지션의 디스코그래피를 거슬러 올라가다 모터헤드의 커버곡을 발견한다거나, 자신이 좋아하는 뮤지션이 스스로 그의 팬임을 언급하는 등 여러 경로로 레미 킬미스터의 발자취를 접할 수 있다.
메탈리카와 함께 한 라이브. 최대한의 존중을 보여주는 메탈리카 멤버들의 모습에 레미는 쑥스럽게 웃는 모습을 보인다.[13]

오지 오스본과는 클럽에서 처음 만났는데, 이 당시 둘다 뮤지션으로서 자리를 잡은 상태였기 때문에 서로 바로 알아봤다고 한다. 그리고 이때는 주량이나 노는 게 리즈 시절 때라 금방 친해졌다고 한다. 각별한 사이였고[14] 오지 오스본이 은퇴를 고려하고 있을 때 상당한 곡들을 써주었고 히트를 첬다.[15] 이 때 써준 대표적인 곡들이 Mama I'm Coming Home,' 'See You on the Other Side,' 'Hellraiser'[16], 'I Don't Want to Change the World,' 'Desire"가 있다.
레미의 절친한 친구였던 오지 오스본이 2021년에 발표한 레미와의 듀엣버전 Hellraiser

저 카리스마적인 외모와는 달리 상당히 겸손하며 또 유머러스한 성격이라 메탈 밴드 후배들의 존경을 한몸에 받았다. 상남자 이미지와는 달리 애니메이션 스폰지밥에 곡을 제공하기도 하였고 BBC의 코미디 패널 예능 프로그램인 <Never Mind the Buzzcocks>에 출연하기도 했으며 KITKAT같은 과자 광고에 출연하기도 하였고,[17] 공식적으로 그의 마지막 영상은 핀란드 우유 회사인 Valio의 광고일 정도로 재밌는 아저씨로도 유명했다. 이 광고엔 그의 즉흥 연기가 담겨져있는데, 우유 광고임에도 불고하고 "난 우유 따윈 절대 안마셔, 이 쉐끼들아"라는 대사를 쳐준다. 그리고 광고가 나가던 해에는 레미가 사망한 다음해라 광고가 끝난 뒤엔 그를 추모하는 글을 보여준다.

3. 음악적 특징

브루스 디킨슨, 오지 오스본, 롭 핼포드와 함께 영국 헤비메탈 그 자체를 상징하는 뮤지션으로 꼽힌다.

베이스 연주가 상당히 인상적이다. 우선 베이스 앰프의 오버드라이브를 최대치로 설정하고, 기타처럼 코드를 잡고 피킹으로 친다. 이 때문에 레미의 목소리와 베이스의 소리가 비슷하다고 말하는 사람들도 있다. 하지만 이 때문에 기타 소리가 잘 들리지 않기도 하다.[18] 파워 트리오의 기본적인 1기타+1베이스로 큰 소리를 내다보니 베이스 음량도 최대치로 올려놔서 저음역대가 강조되지 않은 단순하고 일직선적인 음악을 한다. 그리고 그게 모터헤드의 가장 중요한 컨셉이었다.

여러 베이스 기타를 연주했지만[19] 그가 가장 많이 이용한 베이스 기타는 리켄배커 4000 시리즈의 베이스 기타들이다.[20] 이를 기념하여, 리켄배커에서는 4004 모델을 기반으로 레미의 시그니춰 베이스를 발매하였다. 이름하야 'Rickenbastard'. 시그니춰 베이스를 연주하는 레미의 모습. 정식 발매명는 4004LK이다. 그의 베이스는 장례식 때 마지막으로 소리를 낸 후 박물관에 기증이 되었다.

목소리가 독특한데, 특유의 긁어대는 듯한 걸걸한 목소리는 그의 트레이드 마크가 되었다. 레미의 보컬은 데이비드 보위와 함께 너무 특이하여 모창하기 어려운 사례중 하나로 꼽히곤 한다.[21][22] 단순히 긁는 목소리일 뿐만 아니라, 목소리 자체가 굵직해서 특유의 마초스러운 사운드를 연출하는 데 도움을 준다고 할 수 있다. 실제로 호크윈드 시절의 공연을 보면 레미의 목소리는 긁는 소리 없이 매끄럽게 흘러가지만 나중에도 들을 수 있는 굵직한 톤이 명확하게 잡혀 있다. 다만 보컬 자체에 음정이랄 게 거의 느껴지지 않기 때문에 다소 건조한 느낌을 준다.

4. 개인사

친부는 전직 영국공군 군종병이었는데 아내가 레미를 낳은지 얼마 되지 않아 이혼하고 가족을 떠났다. 레미의 어머니는 이미 두 아이의 아버지인 럭비 선수와 결혼을 하였는데 가족들과는 사이가 서먹했던 모양. 학창시절 어느 학생이 여자 애들에게 둘러 쌓여서 기타 연주를 하는 것을 보고 그 때부터 악기 연주에 관심을 가지게 되었고, 16살 때 비틀즈 공연을 보고 음악을 해야겠다고 마음 먹었다고한다. 그후 16세라는 어린 나이에 집을 나와 밴드를 하면서 음악인으로 살게 된다.

학창시절을 웨일즈 서부 끄트머리 지역에서 보냈는데 그 지역의 유일한 잉글랜드 출신인 연유로 시비를 걸어오는 전교생들과 매일 주먹다짐하고 싸워댔다고 한다.[23] 특유의 거친 성격은 이때부터 유래 했었을 것이다. 레미(Lemmy)란 예명은 'Lend me'의 변형인데 이 학창시절에 하루가 멀다하고 돈을 빌려대서 생긴 별명이라고 한다.

당대 락스타치곤 소박하게 살았는데, 혼자 살만한 작은 크기의 아파트에 살았으며 쉬는 날에는 집에서 비디오 게임을 하면서 시간을 보냈다. 비디오 게임을 상당히 좋아했는데 여긴 최신 게임기인 엑스박스부터 시작해서 옛날 레트로 게임, 솔리테어 전용 터치 모니터 게임기, 카지노용 슬롯 머신 등 게임 자체를 좋아했다. 오락실에서 게임하고 있는 사진도 심심치않게 발견할 수 있다. 집에 따로 아케이드 게임기를 구비는 해놓았지만, 오락실에 직접 가서 게임을 하는 것을 더 선호한 듯 하다. 종종 그가 좋아하던 LA 자택 주변에 있는 Rainbow Bar & Grill 식당/술집에서 슬롯머신 게임기로 놀았다고도 한다.

아들이 둘 있는데 하나는 레미가 17살에 가진 자식이라 입양을 보냈으며 [24], 다른 아들인 Paul Inder는 아버지 처럼 음악을 한다, 현재는 예명으로 Paul Inder Kilmister라는 이름을 쓴다. 처음 만났을 땐 자신과 어머니를 책임지지 않은 것을 원망하였으나, 아버지와 정기적으로 계속 만나고 자기 역시 이쪽 계열 음악과 생활을 하다보니 아버지의 행동을 이해 할 수 있었다고 한다. 레미는 공연 뒷풀이 처럼 많은 사람들이 모인자리에서 늘 자기 아들이 소중하다는 것을 강조하는 등 자신의 혈육을 소중히 생각하는 모습을 보였다. 한번은 자신을 주인공으로 한 다큐멘터리에서 제작진에게 기념품과 트로피가 가득 찬 자신의 방을 보여줄 때, 이 방에서 가장 소중한 것이 무엇이냐고 질문을 받자 옆에 있던 자신의 아들을 가리키기도 했다. 레미의 공연에 종종 참여하여 기타를 연주하기도 했으며, 레미가 쇠약해진 후 그를 돌보며 임종까지 꼬박 한 달 동안 아버지의 곁을 지켰다. 지금은 프로듀서로 주로 활동을 하는 듯 하다.
관중들에게 "이 녀석이 내 아들 폴이오!" 라고 외치는 레미. [25]

별세하기 전까지 1,000명 이상의 여성과 잠자리를 가졌다고 알려져 있다. 수많은 여자를 만났지만 결혼은 하지 않았는데 자신의 쾌락적인 삶 때문에 가정을 이루는 것은 어렵다고 생각했다고 한다.

술은 건강이 악화되기 직전까지 근 40년간 하루에 잭 다니엘스를 한 병 이상 꼭 마셨다. 얼마나 마셨냐면, 그의 집에 방문했던 뮤지션들이 잭 다니엘스를 권유 받아서 한 병 받았는데 그 때 다들 한 병을 나눠마시라는 줄 알고 서로 나눠 마시고 있었는데 그 사이에 레미는 다른 병들을 가져와서 1인당 1병씩 주면서 본인은 그걸 맥주 마시듯이 마셨다고 한다. 또 투어를 돌아다닐 때마다 모터헤드의 로드크루들은 각종 장비와 함께 무수히 많은 잭 다니엘스가 들어있는 여러개의 박스와 함께 투어를 진행했다.

술과 담배 그리고 마약의 일종인 스피드를 즐겼지만 헤로인만큼은 위험하다고 하지 않았다고 한다. "Fast Die Old"라는 다큐멘터리에서는 투어에 동행한 오랜 친구가 헤로인을 복용하는 모습을 보여주기도 하였지만 그는 이에 회의적인 모습을 보여주었는데, 지미 핸드릭스를 비롯한 여러 뮤지션들의 죽음을 겪은 것, 그리고 젊을 적에 사랑했던 여인이 헤로인에 취한 채로 욕조에서 사망해있는 것을 발견한 일이 결정적이었다고 한다.

동시대의 많은 락스타들이 난잡한 폭행이나 마약, 음주운전 등으로 온갖 물의를 일으켰던 것에 비해 개인적인 쾌락을 즐겼을 뿐 술이나 약에 취해 한심한 모습을 보인 적이 없다고 메탈리카제임스 헷필드는 증언했다. 기껏해야 혼잣말을 작게 중얼거리는 모습을 보이는 정도였다고.

위압적인 이미지 때문에 언뜻 상상이 잘 안가지만 팬서비스가 좋기로 유명했다. 남녀 가리지 않고 사인이나 사진도 곧잘 해주었다. 후에 모터헤드의 기타리스트가 되는 필 캠벨이 어린시절, 레미의 전 밴드 호크윈드의 사인을 받고 싶어 호텔을 서성거렸지만, 유일하게 나와서 팬들을 일일이 상대해주고 사인을 해주었던 건 레미 뿐이었다고 한다. 또한 물심양면으로 여성 밴드들의 데뷔와 활동을 도왔던 인물이기도 하다. 밀어주던 밴드의 공연이 시작되기 전에 잠깐 등장해서는 잘 대해달라는 의미에서 "이 여자들은 내 친구들이야!" 라고 관중들에게 외치고 가곤 했다고.

이러한 모습 덕분에 헤비메탈 뮤지션은 물론이고 수많은 메탈 팬들에게 사랑과 존경을 받았다.[26]
The Hollywood Vampires의 Ace of Spades 커버. 조니 뎁 또한 그의 팬이었다고 한다.

나치 관련 물품을 수집하는 걸 좋아해서 이런 쪽에서 안 좋은 시선을 받기도. 레미 본인은 그냥 멋있어서 모았던 거라고. 자기가 사귀었던 흑인 여자친구들도 그거 보고 뭐라 안그랬는데 애먼 데서 괜히 트집잡는다라는 취지의 인터뷰를 한 적이 있다. 또한 살아생전에 술이나 약을 마음껏 즐기며 살았음에도 나치와 관련된 망언은 일절 한 적이 없다. 그의 정치 성향은 아나키즘이나 리버테리안에 가까웠으며 인터뷰 등에서 정치와 관련된 질문을 받으면 "모든 정치인들은 다 쓰레기들이다. (All politicians are assholes)" 녹색당이건 뭐건 약속을 지키는 모습을 본 적이 없다라는 취지의 입장을 일관되게 유지한다. 참고

또한 이러한 성향에 걸맞게 인종차별주의를 규탄하기도 했다. 도무지 이해를 못하겠다는 입장. 동시에 이를 "심히 멍청한 짓(So fxxxxxg dumb)"이라고 말하기도 했다.참고 영국의 록 음악 역사를 보면 흑인 음악에서 시작된 것을 알 수 있다. 미국에서 인종차별의 이유로 제대로 된 공연도 하기 힘들었던 흑인 블루스 뮤지션들이 영국에서는 대스타 대우를 받기도하는 등 흑인 뮤지션에 대한 입장 자체가 달랐다. 이 흑인 뮤지션들의 영향을 받고 등장한 밴드들이 대표적으로 비틀즈와 롤링스톤즈가 있다.

그야말로 본래 의미로서의 마초이자 모터헤드의 이미지에 걸맞은 Bad Ass, 상남자가 아니었던 적이 한 번도 없는 진솔한 락/메탈 계의 거인이었다.

상단의 사진에서도 알 수 있듯이, 왼쪽 뺨에 큼지막한 사마귀가 두 개 나있었다. 레미 본인은 이것들이 사마귀가 아니라 이라고 했지만. 레미는 이 사마귀들을 제거하지 않고 그냥 놔뒀는데, 그 때문에 이 사마귀들은 레미의 왼쪽 뺨에 붙은 채로 그가 사망할 때 까지 몇십년을 함께하였다. 모자와 걸걸한 목소리, 특징적인 수염과 함께 레미의 상징 중 하나로 몇몇 과격한 팬들은 레미에게 사마귀를 핥게 해달라(...)고 부탁하기도 했다고.[27]


[1] 영화 에어헤드에 나온 명대사. 브랜든 프레이저: 레미랑 신이 레슬링을 하면 누가 이길까? / 경찰: 레미? / 스티브 부세미: 땡! / 경찰: 신? / 스티브 부세미: 틀렸어, 이 멍청아. 이건 함정 퀴즈야. 레미가 바로 신이니까![2] 레미라는 인물에 대한 대표적인 찬사라 할 수 있는 대사이지만, 레미 본인은 조금 쑥스러웠는지 "I'm Not GOD, GOD's Taller. (난 신이 아니야, 신이 더 크거든.)"이라 답했다.[3] 게임 둠 이터널에서도 이스터 에그로 이 대사가 나온다.[4] 호크윈드가 미국 투어를 돌던 중이었는데, 캐나다 온타리오에서 경찰이 레미가 갖고 있던 암페타민코카인으로 오인하여 그를 검거하였고, 때문에 레미는 며칠 동안 투옥되어야 했다. 결국 이 때문에 공연 몇 개가 취소되기도 하는 사태가 벌어지자 밴드는 그를 해고하기로 하였다고...[5] 모터헤드의 매니저 토드 싱어먼(Todd Singerman)은 대외적인 영향을 고려하여 사망 후에 병세를 공개하려 했지만, 레미는 2016년 초 쯤에는 꼭 공개적으로 발표해달라고 부탁했다고 한다. 그러나 해를 넘기지 못하고 세상을 떠났다. 이는 마지막 공연으로부터 불과 2주 후였다.[6] 모터헤드의 마지막 드러머[7] 트리플 H는 레미의 열성 팬이어서 레미에게 곡을 부탁했고, 흔쾌히 수락한 레미는 트리플 H가 레슬매니아에서 경기를 가질 때 2차례 입장곡 라이브를 해 주었다. 정확히는 WWE 담당 작곡가인 짐 존스턴(Jim Johnston)이 기본 코드를 만들어서 그대로 쓰려고했는데 트리플 H가 레미 킬미스터에게 본인의 전용 주제곡 참여를 부탁해 짐 존스턴이 작업한 코드를 기반으로 지금의 The Game를 작곡했고 작업한 김에 짐 존스턴이 작곡한 다른 2곡인 에볼루션의 테마곡 Line In The Sand와 King of King도 모터헤드가 녹음해주었다. 그리고 이 시점부터, 레슬러 트리플 H의 외모나 레슬러로써의 캐릭터도 레미 킬미스터스러운 Bad Ass를 표방하기 시작했다.[8] 소위 80년대 락스타 계열쪽의 밴드들이 이런 경우가 유독 심하다. 초창기 앨범의 히트곡으로 수십년간 울궈먹고, 밴드가 해체 후 재결합하더라도 더이상의 새 앨범 작업을 안하는 경우가 허다하다.[9] 노래의 제목처럼 그는 치명적인 암과 각종 질병으로 사망하기 2주 전까지 라이브 공연을 소화했다.[10] 레미는 시드에게 베이스를 가르쳤던 적이 있는데 그 이후 갑자기 시드가 와서는 '나 섹스 피스톨즈에 가입했어요!' 라고 하자 '너 베이스 못치잖아...?' 라고 한적이 있다. 그래도 친분은 있는듯.[11] 레미가 헤비메탈을 꽤 빠른 로큰롤이라고 정의했는데, 아이러니하게도 로큰롤이 처음 나왔을 때는 꽤 빠르게 연주하는 블루스 음악이라고 정의했었고, 하드 록의 출발선도 로큰롤과 동일했다. 초창기 헤비메탈을 들어보면 딥 퍼플 같은 슈퍼 밴드가 아닌 이상 간단한 코드와 리프를 상당히 빠른 속도로 연주하는 정도였다. 헤비메탈은 거기에 좀더 무겁고 건조한 사운드톤을 실으면서 본격적으로 하드 록과 갈라진 것. 하지만 레미의 성격상 "그냥 자기가 하고 싶은대로 시끄럽게 놀면서 즐기면되지 뭘 그렇게 장르를 복잡하게 나누냐"는 식으로 헤비메탈이던 파워메탈이던간에 그냥 즐기면 장땡식으로 정의했을 수 있다. 실제로 TV 프로그램에 나와 리틀 리처드의 곡을 곧잘 부르기도 했다.[12] 2011년 뉴욕에서 스래시 메탈의 빅4들이 함께 모여 콘서트를 하며 모터헤드의 히트곡 overkill을 다함께 연주하기도 했다.[13] 여담으로 레미는 메탈리카를 세계 최고의 밴드라고 칭찬하기도 했으며 여러 곡을 커버하기도 했다.[14] 영국 태생이면서 미국에 거주하는 몇 안되는, 메탈 계열의 음악을 하는 동포였기에 그렇다. 두 사람 모두 비틀즈 광팬이었다는 것도 친분을 트게 된 요인 중 하나였다.[15] 레미는 오지에게 몇몇 곡을 써준 대가로 개런티를 받았는데, 그 곡들로 얻은 수익이 여태까지 십여년 넘게 자기가 모터헤드 활동을 하면서 벌었던 돈 보다 더 많은 금액이었기에, 오지가 생각보다 돈을 잘버는 락스타라는 것을 실감했다고 한다.[16] 이곡은 본인 앨범에 본인 버전으로도 수록하였다[17] 심지어 이 광고에서는 바이올린을 연주한다![18] 실제로 모터헤드의 공연에 친구인 브라이언 메이와 과거 모터헤드 멤버 에디 클라크, 그리고 스컹크 아난시의 기타리스트 “ACE” 를 불러 총 4명의 기타리스트가 모여(모터헤드의 필 캠벨 포함) <Overkill>을 연주했는데, 사람들의 반응은 하나같이 "기타 소리가 들리지 않는다."였다.[19] 깁슨 선더버드나 B.C Rich 베이스도 연주한 적이 있다![20] 4001, 4003, 4000, 4004 베이스를 연주하였다.[21] 해외에서는 레미를 모창하려면 하루에 술을 한 박스 마시고 담배 한 보루씩을 피면 된다는 농담이 있다.[22] 메탈리카의 전 베이시스트 제이슨 뉴스테드의 백보컬이 레미의 목소리와 비슷하다.[23] 하지만 현명하게도 보통은 도망치는 편을 택했다고.[24] 너무 어릴때 입양을 보냈고 이때문에 그의 인생을 뒤흔들까봐 아버지가 자신임을 비밀로 했다고 한다[25] 폴 킬미스터는 이 순간을 잊을 수 없는 장면이라고 회고한다.[26] 또래 세대인 퀸(밴드)브라이언 메이 역시 그의 추도사에서 레미를 두고 "평화주의자이며 생각이 매우 깊고, 진심으로 친구들을 아낄 줄 알았던 사람(Yet as a person he was a pacifist, a deep thinker, and a man who cared profoundly about his friends)"이라고 말하기도 했다.[27] 레미는 그걸 또 허락해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