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9-11 20:23:09

레벨 스틸러

유희왕의 하급 효과 몬스터 카드.

1. 상세2. 악용3. 수록 팩 일람

1. 상세

파일:external/www.ka-nabell.com/card100013346_1.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효과=,
한글판명칭=레벨 스틸러,
일어판명칭=レベル・スティーラー,
영어판명칭=Level Eater,
속성=어둠, 레벨=1, 공격력=600, 수비력=0, 종족=곤충족,
효과1=①: 이 카드는 몬스터 존에 존재하는 한\, 어드밴스 소환을 위해서만 릴리스할 수 있다.,
효과2=②: 이 카드가 묘지에 존재할 경우\, 자신 필드의 레벨 5 이상의 몬스터 1장을 대상으로 하고 발동할 수 있다. 그 몬스터의 레벨을 1개 내리고\, 이 카드를 묘지에서 특수 소환한다.)]

리미트 레귤레이션
OCG'display:nonTCG=e'>[[리미트 레귤레이션/TCG|
TCG
]]파일:유희왕_금지 카드 아이콘.png
금지 카드
[[리미트 레귤레이션/KCG|
KCG
]]KCG'display:non마스터듀얼=e'>[[유희왕 마스터 듀얼/리미트 레귤레이션|
마스터 듀얼
]]
파일:유희왕_금지 카드 아이콘.png
금지 카드
[[유희왕 듀얼링크스/금지 및 제한 카드|
듀얼링크스
]]듀얼링크스'display:non리모트듀얼=e'>[[리미트 레귤레이션/TCG#리모트 듀얼 금지 카드|
리모트 듀얼
]]
파일:유희왕_ 아이콘.png
[[리미트 레귤레이션(유희왕 러시 듀얼)|
러시 듀얼
]]러시듀얼@

유희왕 5D's에서 후도 유세이가 사용한 몬스터. 루드거와의 2차전에서 첫 등장해 퀵 싱크론으로 정크 워리어를 싱크로 소환했다. 이후 가드 로보와의 듀얼에서는 레벨 제한 B구역을 돌파하기 위한 수단으로 일반 소환되었다. 평상 시에는 무늬가 없는 평범한 무당벌레지만, 효과로 묘지에서 특수 소환될 때는 대상 몬스터를 통과하면서 일러스트처럼 겉날개에 별이 생긴다.

자신 필드의 레벨 5 이상의 몬스터의 레벨 1개를 뺏어서 묘지에서 부활하는 효과를 가졌다. 여기서 레벨 스틸러를 릴리스하여 레벨 5 이상의 몬스터를 어드밴스 소환한 후에 어드밴스 소환한 몬스터의 레벨을 뺏어서 또 부활하는 게 가능.

특히 릴리스 없이 그냥 튀어나올 수 있는 사이버 드래곤, 바이스 드래곤, 가변기수 간나드래곤, 신수왕 바르바로스, 킹 미스트, 메탈 리플렉트 슬라임, 데스티니 히어로 디아볼릭 가이, 같은 곤충족인 데블도우저, 레벨 2 싱크로 튜너인 포뮬러 싱크론, 염자룡 퓨라리스, 다들 레벨 5 이상이면서 어드밴스 소환 시에만 효과가 나오는 제왕과 궁합이 좋다. 제왕 하나가 필드에 있는 상황에서 스틸러로 그 제왕을 먹고 다시 그 제왕을 스틸러로 레벨 조정시켜 No.61 볼카사우루스시조의 수호자 티라스 같은 강력한 카드도 뽑을 수 있다. 그러나 제왕 덱은 특성상 엑스트라 덱을 비워두거나 채우더라도 사용이 제한되는 경우가 많아 적극적으로 이용할 만한 콤보는 아니다. 만일을 위해 알아만 놓자.

또한 묘지에 이 카드 2장과 레벨 6 이상의 몬스터만 있으면 아르카나 포스 EX, 삼사신, 삼환신, 길포드 더 라이트닝, 신수왕 바르바로스같은 릴리스 3장 먹는 녀석도 쉽게 어드밴스 소환할 수 있다.

그뿐만이 아니라 레벨을 내려서 싱크로 소환, 엑시즈 소환을 위한 레벨 조정, 싱크로 소재의 숫자 조정의 용도로 사용 가능. 가령 레벨 7 + 2의 조합으로는 불가능한 빙결계의 용 트리슈라는 이 카드가 있으면 쉽게 튀어나온다.

고레벨 엑시즈 소환에서는 갤럭시 퀸즈 라이트와 호궁합. 이걸로 유벨, 트라고에디아를 먹고 튀어나와 갤럭시 퀸즈 라이트를 쓰면 No.9 천개성 다이슨 스피어미라지포트리스 엔터프라즈닐이, 2장 먹고 튀어나오면 네오 갤럭시아이즈 포톤 드래곤이나 열혈지도왕 자이언트 트레이너가, 3장 먹고 튀어나오면 No.11 빅 아이, 환상수기 드래고사크 이 2장을 뽑을 수 있다. 레벨 11인 리터에 같은 방법을 사용하면 각각 No.81 초노급포탑열차 슈페리어 도라초노급포탑열차 구스타프 맥스 또는 초거대 공중궁전 강가리다이, No.92 위해신룡 Heart-eartH Dragon 또는 CNo.107 네오 갤럭시아이즈 타키온 드래곤, 소재 2개짜리 랭크 8 엑시즈 몬스터 2장이 나온다! 아예 유벨의 본 사용법을 포기하고 이렇게 엑시즈 소재로 쓰는 유벨 엑시즈 소환 덱도 존재했었을 정도.

묘지에서의 특수 소환이니 당연히 생환의 패와의 궁합은 강력하지만, 불과 두 달도 안 되어 생환의 패가 금지를 당했음은 물론 앞으로도 제재가 완화될 가능성이 없는 영원한 사장을 당했다. 유용한 서치 수단이었던 원 포 원도 제한을 먹은건 덤. 어둠 속성이니 다크 그레퍼종말의 기사로 서치해서 묘지로 보내거나, 지옥의 폭주소환, 무저항의 진상을 사용하자.

허나 강력한 부활 능력에 대한 디메리트로 어드밴스 소환 이외에는 릴리스가 안 된다. 덕분에 캐논 솔저같은 걸로 펑펑 쳐날리거나 데스티니 히어로 블루-D의 릴리스는 불가능. 가장 뼈아픈건 제트 워리어를 자체 소생시킬 때 릴리스할 수 없다는 점. 또한 레벨 5 이상의 몬스터가 없는 상황에서는 사용이 힘들어진다. 참고로 원작에는 릴리스 제한이 없었기에 지박신 Uru로 상대 몬스터를 최대 6회까지 업어올 수도 있었다.

모티브는 무당벌레. 정작 이름에 무당벌레가 들어가지 않아서 무당벌레 카드군에는 해당하지 않는다. 사기적인 효과 덕에 증식의 G를 뛰어넘는 역대 최강의 곤충족으로도 불린다.

2. 악용

옛날 카드답게 턴 제약이 전혀 없는데, 덕분에 조건만 맞으면 무한히 부활하는 특성을 활용하여 정크도플 덱의 핵심 카드 중 하나로 자리잡았다.

유희왕의 모든 소환법들은 소재 조달의 번거로움과 그로 인한 자원 감소가 필연적으로 딸려오는데, 이 카드는 그런 단점을 최소한으로 줄여주면서도 레벨 조정까지 덤으로 시켜줘서 저레벨의 비중이 높은 싱크로 소환과 궁합이 매우 잘 맞았다. 묘지에 묻히는 순간 끊임없는 비튜너 공급과 레벨 조정을 1장으로 바로 할 수 있으니 싱크로 계의 희망이자 빛이나 다름없었다.

대충 사기성이 어느 수준이었냐면, 수많은 유저들이 개발한 선턴 퀘이사 콤보에 다른 카드는 없어도 레벨 스틸러 만큼은 반드시 포함되었을 정도였다. 아예 적은 양의 패로 퀘이사를 뽑아내는 루트 전부가 이 카드를 어떻게든 묘지로 보낼 방법이 존재할 것을 전제 조건으로 두고 있었다. 게다가 굳이 퀘이사에 집착하지 않아도 비튜너 공급은 굉장히 중요한 요소이며, 묘지에 묻히는 순간 진가가 발휘되는 카드이니 매스매티션 같이 이 카드를 확실히 묻을 수 있는 카드의 채용률이 더욱 높아졌다. 공진충봉인의 황금궤를 이용해 봉인의 황금궤를 곤충족 한정 어리석은 매장으로 바꾸는 콤보까지 개발된 걸 보면 말 다한 셈.

이후 정크도플이 각종 금제와 파워 인플레에 밀려서 몰락했지만, 이번에는 싱크로 다크가 그 출중한 핸드 데스 능력으로 듀얼 환경에 깽판을 쳤고, 이 카드 역시 핵심 파츠로 활용되었다. 결국 2016년 10월 금제에서 금지 카드로 직행하였고, 지금도 계속 금지 상태를 유지하고 있다.

참고로 카디언 덱에 투입할 경우 초코이코이 사용 후 카디언 - 버들에 소야도풍 -이 나오면 랭크 1 엑시즈 소환에 튜너의 레벨도 줄일 수 있다. 굳이 그 경우가 아니더라도 2~3장 묘지로 보내고 소야도풍을 소환하면 랭크 1 엑시즈 소환하고 튜닝은 소야도풍의 효과로 8로 할 수 있다. 덤핑은 위에서 서술한 대로 다크 그레퍼종말의 기사로 할 수 있다. 카디언은 거의 전부 고레벨 어둠 속성이니 다크 그레퍼와의 궁합도 최고였지만 이제는 과거형.

링크 소환이 등장하면서 더더욱 금지에서 풀리기는 쉽지 않아 보인다. 특히 이 카드는 링크리보와의 궁합이 너무나도 좋다.
1. 엑스트라 몬스터 존이나 링크 마커가 확보된 메인 몬스터 존에 소환 조건을 만족하는 링크 몬스터가, 메인 몬스터 존에 충분한 레벨을 가진 몬스터가, 묘지에 레벨 스틸러가 존재.
2. 레벨 스틸러의 효과를 발동하여 레벨을 가진 몬스터의 레벨을 1 내리고 레벨 스틸러를 묘지에서 특수 소환.
3. 링크 몬스터와 레벨 스틸러를 소재로 상위 링크의 링크 몬스터를 소환.
4. 이후 2와 3을 반복하여 원하는 갯수의 링크를 가진 링크 몬스터를 링크 소환.

파이어월 드래곤이 중심인 덱을 예로 들면[1]
1. 필드에 링크 2 효과 몬스터와 레벨 6 이상인 몬스터가, 묘지에 레벨 스틸러가 존재.
2. 레벨 스틸러를 효과로 묘지에서 특수 소환.
3. 레벨 스틸러와 링크 2 몬스터를 소재로 디코드 토커를 소환.
4. 2를 반복.
5. 디코드 토커와 레벨 스틸러를 소재로 파이어월 드래곤을 소환.
때문에 이론상 최대 링크인 링크 8 소환도 불가능하지는 않으며, 이 카드가 제한으로 풀리려면 못해도 카드명 단위의 1턴에 1번 등의 제약이 걸린 에라타가 필수적이다. 특히 인잭터에서 서몬 소서리스로 소환한 뒤, 인잭터 그루프로 왕창 올린 레벨을 깎아 먹으며 계속 전개할 수 있다.[2]

OCG 금제에서 진작에 금지였던 데 비해 TCG 금제에서는 꽤 오랫동안 무제한 카드였으나 식물 링크의 흉악함 때문인지 결국 TCG 18년 2월 금제로 거기서도 금지먹었다.

3. 수록 팩 일람

수록 팩 카드 번호 레어도 발매국가 기타사항
광속의 스타더스트 SOVR-KR005 레어 한국 한국 최초수록
듀얼리스트 팩 -유성 편 2- DP09-KR011 노멀 한국
스트럭처 덱 -푸른 눈의 백룡의 강림- SD25-KR019 노멀 한국
STARDUST OVERDRIVE SOVR-JP005 레어 일본 세계 최초수록
듀얼리스트 팩 -유세이 편 2- DP09-JP011 노멀 일본
STRUCTURE DECK -청안룡 굉림- SD25-JP019 노멀 일본
Stardust Overdrive SOVR-EN005 레어 미국 미국 최초수록
Duelist Pack 9: Yusei Fudo 2 DP09-EN011 노멀 미국
Duelist Pack Collection Tin 2010 DPCT-ENY07 슈퍼 레어 미국

[1] 단 파이어월 드래곤은 금지 후 제재 완화되면서 사이버스족만 특수 소환한 에라타를 당하여 현재는 사이버스족 위주의 덱이 아니면 쓰이지 않게 되었다.[2] 서몬 소서리스 또한 금지 후 에라타를 당해 자체 효과로 덱 특소 후 그 몬스터와 같은 종족만 특소 가능한 너프를 당했지만 인잭터나 곤충GS 등 곤충족 위주의 덱이라면 현 에라타 버전으로도 종족이 일치하는 레벨 스틸러 콤보는 가능하다.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