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wiki style="margin: -10px -10px" | <tablebordercolor=#e20e0e> | 울산 현대모비스 피버스 역대 외국인 선수 | }}}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1997시즌 | 1997-1998시즌 | 1998-1999시즌 | 1999-2000시즌 | 2000-2001시즌 |
| 윌커슨 리드 | 피닉스 리드 | 윌리포드 리드 | 루카스 와센버그 저머니 | 스펜서 로프튼 | |
| 2001-2002시즌 | 2002-2003시즌 | 2003-2004시즌 | 2004-2005시즌 | 2005-2006시즌 | |
| 터너 애브니 | 에드워즈 빅터 헨드릭 | 어빈 호프 맥도웰 바셋 | 셀비 레이저 첩 웰스 | 라일리 그텐 클락 윌리엄스 브렉스 | |
| 2006-2007시즌 | 2007-2008시즌 | 2008-2009시즌 | 2009-2010시즌 | 2010-2011시즌 | |
| 버지스 윌리엄스 | 아이크 산드린 오웬스 영 | 던스톤 토마스 블랭슨 보웬 | 던스톤 쿠소 헤인즈 | 엑페리건 브랜드 그렌스베리 | |
| 2011-2012시즌 | 2012-2013시즌 | 2013-2014시즌 | 2014-2015시즌 | 2015-2016시즌 | |
| 토마스 레더 | 벤슨 라틀리프 맥카스킬 위더스 | 벤슨 라틀리프 | 라틀리프 클라크 | 라이온스 클라크 빅터 | |
| 2016-2017시즌 | 2017-2018시즌 | 2018-2019시즌 | 2019-2020시즌 | 2020-2021시즌 | |
| 밀러 블레이클리 와이즈 로드 힐 | 테리 블레이클리 | 라건아 존슨 클라크 쇼터 | 라건아 윌리엄스 클라크 윌리엄스 오카포 간트 | 숀 롱 맥클린 | |
| 2021-2022시즌 | 2022-2023시즌 | 2023-2024시즌 | 2024-2025시즌 | 2025-2026시즌 | |
| 토마스 클락 버크너 | 녹스 프림 심스 아바리엔토스 | 프림 알루마 옥존 | 프림 숀 롱 옥존 | 해먼즈 로메로 옥존 | |
| (A) 아시아쿼터제 선수 | |||||
| 론 제이 아바리엔토스의 수상 내역 및 역대 등번호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울산 현대모비스 피버스 등번호 0번 | ||||||||||||||||||||||||||||||||||||||||||||||||||||||||||||||||||||||||||||||
| 김형진 (2020~2022) | → | 아바리엔토스 (2022~2023) | → | 이승우 (2024~) | |||||||||||||||||||||||||||||||||||||||||||||||||||||||||||||||||||||||||||
| 필리핀의 농구 선수 | ||
| <nopad> | ||
| 론 제이 아바리엔토스 Rhon Jhay Abarrientos | ||
| <colbgcolor=#192f60> 출생 | 1999년 9월 14일 ([age(1999-09-14)]세) 케손 시티 | |
| 국적 | | |
| 신체 | 신장 181cm|체중 79kg | |
| 포지션 | 포인트 가드 | |
| 학력 | 파 이스턴 대학교 (졸업) | |
| 프로 입단 | 2022년 아시아쿼터 계약 (울산 현대모비스 피버스) | |
| 소속 | 울산 현대모비스 피버스 (2022~2023 / KBL) 신슈 브레이브 워리어즈 (2023~ 2024/ B.리그) 바랑가이 히네브라 (2024~ / PBA) | |
| SNS | ||
1. 개요
바랑가이 히네브라 소속 필리핀 농구 선수.2. 선수 경력
2.1. 울산 현대모비스 피버스
2.1.1. 2022-23 시즌
아바리엔토스의 KBL 무대 첫 시즌이다.KBL 컵대회 한국가스공사와 D조 1차전에서 17점 10어시스트 더블더블 활약을 펼쳤다. 비록 현대모비스는 80대87로 패했지만, SJ 벨란겔(6점)과 필리핀 선수 맞대결에서는 완승을 거뒀다. 이 경기를 시작으로 컵대회 4경기에 출전해 경기당 평균 29분을 뛰며 3점슛 3개 포함 14.5점에 6어시스트를 뿜어내며 현대모비스의 결승행을 이끌었다.
컵대회 활약이 소위 운빨이 아니라는듯이 정규 리그에서도 개막한지 네경기 밖에 되지 않았지만 폭발적인 스피드, 정확한 외곽슛, 창의적인 패스 등 엄청난 기량을 뽐내며 말그대로 리그를 정복하기 시작했다.
단순히 모비스 팬들뿐만아니라 시즌 시작 전 아시아 쿼터제에 대해 부정적인 인식을 가졌던 사람들에게도 긍정적인 인식을 심어주고 있는 것은 덤. 세부 기록으로 들어가면 평균 31분 19초 출전해 17.25득점 7어시스트 4.25리바운드를 기록중이다.
덕분에 지난 시즌 신인왕을 차지했던 동료 이우석이 이번 시즌 신인왕으로 아바리를 추천한다는 인터뷰를 남기기도 했다.#
결국 이러한 활약을 바탕으로 2022-23 시즌 KBL 신인상을 수상했다. 이는 역대 최초의 한국 국적이 아닌 선수의 신인상 수상이기도 하다.
2.2. 신슈 브레이브 워리어즈
2.2.1. 2023-24 시즌
비시즌 아바리엔토스 본인이 타 리그 이적을 원해 울산 모비스 피버스와 상호 해지로 결별했다. 이후 양재민의 전 소속 구단으로 알려져 있는 B.리그 신슈 브레이브 워리어즈로 이적하였다. 참고로 울산 모비스 피버스와 2년 계약을 맺었지만 도중에 해지했기 때문에 나중에 KBL로 복귀할 때 모비스에서 다시 1년을 활동해야 KBL 다른 팀들로 이적할 수 있다고 한다.일본 리그에서 모비스 시절와 달리 다른 선수들와의 경쟁에서 밀려 득점 및 출전 시간이 저조하여 부진했다. 소속팀 신슈는 10승 50패를 기록하면서 B.2리그로 강등되었고 결국 2024년 6월 20일에 신슈와 상호 합의하에 계약을 해지하고 팀을 떠났다.https://www.b-warriors.net/news/detail/id=16364
이후 필리핀 PBA 리그 바랑가이 히네브라에서 영입하여 PBA 리그에서 뛸예정이다.
3. 시즌별 성적
| 역대 성적 | ||||||||||
| 시즌 | 소속팀 | 경기수 | 2점슛 | 3점슛 | 자유투 | 득점 | 리바운드 | 어시스트 | 스틸 | 블록슛 |
| 2022-23 | 현대모비스 | 51 | 235/601 (39.10%) | 140/403 (34.74%) | 82/99 (82.83%) | 692 | 150 | 244 | 73 | 8 |
| KBL 통산 (1시즌) | 51 | 235/601 (39.10%) | 140/403 (34.74%) | 82/99 (82.83%) | 692 | 150 | 244 | 73 | 8 | |
4. 기타
- 현대모비스 선수단 내부에서는 '춘삼이'라는 별명으로도 불렸다고 한다. 이유는 알려지지 않았지만 이 때문에 응원에서도 '춘삼이'라고 콜하고 홈구장 전광판에서도 아바리엔토스의 사진을 띄울때면 '춘삼이'라고 띄우면서 '(아바리엔토스)'라고 설명을 넣는다.
- 이름이 너무 길기도 해서 '아바리'라고만 불리기도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