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개요2. 전차로 GO! 시리즈
2.1. 전차로 GO! 컨트롤러 (SLPH-00051/DGOC-44/TCPP-20003~4/TC-5175290)
3. 즈이키 마스콘 시리즈4. 음악관 트레인 시뮬레이터2.1.1. 전차로 GO! 컨트롤러 '금' (TCPP-20008)
2.2. 전차로 GO! 컨트롤러 원 핸들 타입 (TCPP-20001/DGC-255)2.3. 전차로 GO! 마메콘 (TCPP-20002)2.4. 전차로 GO! 컨트롤러 타입 2 (TCPP-20009/20012)2.5. 전차로 GO! 신칸센 전용 컨트롤러 (TCPP-20011)2.5.1. 전차로 GO! 신칸센 전용 컨트롤러 - Wii (TCPP-20017)
2.6. 전차로 GO! 여정편 컨트롤러 (TCPP-20014/DRC-184)2.7. 전차로 GO!! 전용 원 핸들 컨트롤러 for Nintendo Switch (ZKNS-001~002)4.1. 트레인마스콘 (COTM-02001)4.2. 멀티 트레인 컨트롤러 (SOTP-031201)4.3. Master Controller for Train Simulator (VOK-00105)4.4. Master Controller II for Train Simulator (VOK-00106)
5. 기타1. 개요
시중에 출시된 마스콘을 시리즈별로 묶어서 나열하였다. 그러나 전차로 GO! 시리즈라고 하여 전차로 GO!만 되는 건 아니고, 음악관 트레인 시뮬레이터 등에서도 일부 사용이 가능하다. 타 게임 구동에 필요한 플러그인은 관련 항목을 참고.이 문서에서 제품코드가 기재된 컨트롤러는 문단에 제품 코드로 앵커가 설정되어 있기 때문에, 타 문서에서 특정 기종을 링크하고자 한다면 '마스콘(게임 컨트롤러)/목록#제품 코드' 형식으로 문단을 링크할 수 있다.
2. 전차로 GO! 시리즈
타이토는 전차로 GO! 시리즈를 제작할 때마다 거의 매번 컨트롤러를 출시하였다.대부분 역행 5단 - 제동 8단의 조작을 지원한다. 그러나 신칸센의 경우 역행 13단 - 제동 7단, 여정편의 경우 역행 4단에 제동은 공기압 직접 조절 방식이기 때문에 컨트롤러도 이에 맞게 구성되어 있다.
타이토에서 발매된 제품의 경우 TCPP-20000 번대의 제품번호를 가지고 있는데, 중간에 몇몇 빠진 번호는 다른 게임의 컨트롤러이다.
- TCPP-20005: 제트로 GO! 컨트롤러
- TCPP-20006: 파워 쇼벨을 타자! 컨트롤러[1]
- TCPP-20007: PlayStation 2용 음성 인식 컨트롤러
- TCPP-20010: 제트로 GO! 컨트롤러 '은'
- TCPP-20013: 결번
매핑은 투 핸들이면 제동 핸들이 X1축, 역행 핸들이 Y1축이다. PS용 컨트롤러의 경우 시스템에게 이 컨트롤러를 구분시키기 위하여 십자키 위와 아래가 동시에 눌린 신호를 송출한다고 한다. 일반 컨트롤러로는 이 조작이 불가능하기 때문이다.
2.1. 전차로 GO! 컨트롤러 (SLPH-00051/DGOC-44/TCPP-20003~4/TC-5175290)
SLPH-00051 (PlayStation 용) | DGOC-44 (Windows 용) | TCPP-20004 (Dreamcast 용) |
제조사 | 타이토 |
출시일 | PS1: 1997년 12월 18일 SS: 1998년 10월 1일 PC(DA): 1999년 3월 18일 N64: 1999년 7월 30일 DC: 2000년 1월 20일 PC(USB):2001년 6월 15일 |
입출력 단자 | 플레이스테이션 컨트롤러 단자(SLPH-00051), 드림캐스트 컨트롤러 단자(TCPP-20004), Nintendo 64 컨트롤러 단자(TCPP-20003), 세가 새턴 컨트롤러 단자(TC-5175290), DA-15(DGOC-44), USB Type-A(DGOC-44U) |
플랫폼 |
[PS2]
|
가격 | 5,800엔 |
PS판과 함께 출시한 투 핸들 컨트롤러이다. 닌텐도 64용을 제외하면 대응 기종마다 외형에 조금씩 차이를 두었다. 아예 색상을 바꿔버리기도 하고, 아니면 마스콘 손잡이의 색상만 바꾸거나 하는 식이다.
대응 기종별로 모델명이 다르니, 혹여 중고품을 찾는다면 모델명으로 비교하면 편하다.
- SLPH-00051: PlayStation 1, 2
- TCPP-20003: Nintendo 64
- TCPP-20004: 드림캐스트
- DGOC-44: Windows PC
- TC-5175290: 세가 새턴[3]
단자는 당연히 각 기종에 맞는 것으로 제공되었으나, Windows용의 경우 초기에는 DA-15 단자로 판매되었으며 사후에 USB Type-A로 변경되었다.
역행 5단, 제동 8단 + 비상제동까지 조작 가능하며, 가운데에 회중시계를 두는 공간까지 확보되어 있다. 하단부 버튼은 대응 기기에 따라 다르게 구성된다.[4] 이러한 골격은 TYPE 2에서 약간의 업그레이드를 거쳐 먼 훗날 PLUG & PLAY로 재발매할 때까지도 유지되었다.
사용 가능 타이틀
- 전차로 GO!
- 전차로 GO! 64 (Nintendo 64)
- 전차로 GO! EX (세가 새턴)
- 전차로 GO! 2 고속편, 고속편 3000번대 (드림캐스트)
- 전차로 GO! 프로페셔널
- 전차로 GO! 나고야 철도편
- 기차로 GO!
- 전차로 GO! 3 통근편
- 전차로 GO! 산요 신칸센편
- 전차로 GO! 여정편[C]
- 전차로 GO! 프로페셔널 2[C]
- 전차로 GO! 파이널[C]
- 전차로 GO!! 달려라 야마노테선[T]
- 철도 닛폰! 노선 여행 시리즈[T]
- openBVE[I]
- BVE Trainsim[I]
- TRAIN CREW
2.1.1. 전차로 GO! 컨트롤러 '금' (TCPP-20008)
기본적인 형태는 전차로 GO! 컨트롤러와 같으나, 겉이 반짝반짝 빛나는 소재로 되어 있다. PS용으로만 나왔다.
2.2. 전차로 GO! 컨트롤러 원 핸들 타입 (TCPP-20001/DGC-255)
| |
TCPP-20001 (PlayStation) | DGC-255 (Windows) |
제조사 | 타이토 |
출시일 | PS: 1999년 3월 18일 PC: 2004년 12월 17일 |
입출력 단자 | 플레이스테이션 컨트롤러 단자(TCPP-20001), USB Type-A(DGC-255) |
플랫폼 |
|
가격 | 5,800엔 |
PlayStation(1세대), PlayStation 2[PS2], Windows PC용 원 핸들 컨트롤러로, 전차로 GO! 2 출시에 맞춰 공개되었다. 조작은 투 핸들과 마찬가지로 역행 5단, 제동 8단 및 비상제동을 지원한다. 사용 가능 타이틀의 경우 초대작이 지원 대상에서 빠져 투 핸들에 비해 적어졌다. Windows용 제품의 버튼 배치가 투 핸들에 비해 많이 달라졌다.
사용 가능 타이틀
- 전차로 GO!
- 전차로 GO! 64 (Nintendo 64)
- 전차로 GO! EX (세가 새턴)
- 전차로 GO! 2 고속편, 고속편 3000번대 (드림캐스트)
- 전차로 GO! 프로페셔널
- 전차로 GO! 나고야 철도편
- 기차로 GO!
- 전차로 GO! 3 통근편
- 전차로 GO! 산요 신칸센편
- 전차로 GO! 여정편[C]
- 전차로 GO! 프로페셔널 2[C]
- 전차로 GO! 파이널[C]
- 전차로 GO!! 달려라 야마노테선[T]
- 철도 닛폰! 노선 여행 시리즈[T]
- openBVE[I]
- BVE Trainsim[I]
- TRAIN CREW
2.3. 전차로 GO! 마메콘 (TCPP-20002)
제조사 | HORI |
출시일 | 1999년 3월 11일 |
입출력 단자 | 플레이스테이션 컨트롤러 단자 |
플랫폼 |
[PS2] |
마찬가지로 좌측이 역행 핸들, 우측이 제동 핸들로 투 핸들 구조를 하고 있다.
사용 가능 타이틀
- 전차로 GO!
- 전차로 GO! 2 고속편
- 전차로 GO! 프로페셔널
- 전차로 GO! 나고야 철도편
- 기차로 GO!
- 전차로 GO! 3 통근편
- 전차로 GO! 산요 신칸센편
- 전차로 GO!! 달려라 야마노테선[T]
- 철도 닛폰! 노선 여행 시리즈[T]
- BVE Trainsim[I]
- openBVE[I]
2.4. 전차로 GO! 컨트롤러 타입 2 (TCPP-20009/20012)
| | |
전기형 | 후기형 | 스켈레톤 퍼플 (TCPP-20012) |
제조사 | 타이토 |
출시일 | 2001년 3월 15일 |
입출력 단자 | USB Type-A |
플랫폼 |
|
열차 주행에 맞추어 진동을 전달하는 기능이 시리즈 최초로 탑재되었다.
외형은 기존 투 핸들 컨트롤러를 발전시킨 형태인데, 역행 및 제동 핸들의 형태를 변경[25]하였다. 2004년 전차로 GO! 파이널 발매와 함께 형태를 개선하여 후기형이 출시되었다. 스켈레톤 퍼플 버전도 존재한다고 한다.
이 기기부터 여정편 전까지는 차내 발차지시등과 경적 페달이 구현되어 있다. 모델이 훗날 전차로 GO! PLUG & PLAY 콘솔로 채택되었는데, 경적 페달은 제외되었다.
사용 가능 타이틀
- 전차로 GO! 3 통근편
- 전차로 GO! 산요 신칸센편
- 전차로 GO! 여정편
- 전차로 GO! 프로페셔널 2
- 전차로 GO! 파이널
- openBVE[I]
- BVE Trainsim[I]
- Train Simulator Real THE 야마노테선
- Railfan 시카고 교통국 브라운 라인
2.5. 전차로 GO! 신칸센 전용 컨트롤러 (TCPP-20011)
제조사 | 타이토 |
출시일 | 2001년 9월 20일 |
입출력 단자 | USB Type-A |
플랫폼 |
|
사용 가능 타이틀
- 전차로 GO! 산요 신칸센편
- 전차로 GO! 여정편
- 전차로 GO! 프로페셔널 2
- 전차로 GO! 파이널
- Train Simulator 케이세이•도에이 아사쿠사선•케이큐
- Train Simulator 큐슈 신칸센
- openBVE[I]
2.5.1. 전차로 GO! 신칸센 전용 컨트롤러 - Wii (TCPP-20017)
제조사 | 타이토 |
출시일 | 2007년 3월 1일 |
입출력 단자 | Wii 컨트롤러 단자 |
플랫폼 |
|
본편 CD와 묶어 세트(TCPS-10185)로도 판매되었다.
2.6. 전차로 GO! 여정편 컨트롤러 (TCPP-20014/DRC-184)
| |
TCPP-20014 (PlayStation 2) | DRC-184 (Windows) |
제조사 | 타이토 |
출시일 | PS: 2002년 7월 25일 PC: 2003년 6월 5일 |
입출력 단자 | USB Type-A |
플랫폼 |
|
사용 가능 타이틀
2.7. 전차로 GO!! 전용 원 핸들 컨트롤러 for Nintendo Switch (ZKNS-001~002)
| |
ZKNS-001 (통상판) | ZKNS-002 (EXCLUSIVE EDITION) |
제조사 | 즈이키 |
출시일 | 2021년 8월 5일 |
입출력 단자 | USB Type-A |
플랫폼 |
|
가격 | 14,850엔 (세금 포함) |
공식 홈페이지
전차로 GO!! 달려라 야마노테선에 대응하기 위해 전차로 GO! 시리즈 컨트롤러로는 18년 만에 출시된 것으로, 통상판과 2022년 9월 23일 1주년 기념으로 출시한 EXCLUSIVE EDITION이 있다.
핸들에 있는 버튼을 누르고 조작하여야 가속이 가능하다.
현재는 판매가 중단되었으며 대신 후속작인 즈이키 마스콘 for Nintendo Switch를 판매 중이다.
닌텐도 스위치용으로 발매되었으나 PC에서도 사용이 가능하다. PS4에서 사용하려는 경우 Titan One/Two를 이용하여야 한다.
사용 가능 타이틀
- 전차로 GO!! 달려라 야마노테선
- 철도 닛폰! 노선 여행 시리즈
- BVE Trainsim[I]
- openBVE[I]
- Hmmsim Metro
- JR EAST Train Simulator
- TRAIN CREW
- TRAMCITY HAKODATE
3. 즈이키 마스콘 시리즈
3.1. 즈이키 마스콘 for Nintendo Switch (ZKNS-011~013)
| |
ZKNS-011~012 | ZKNS-013 |
모델명 | 색상 | 출시일 | 공식 페이지 | 상점 페이지 |
ZKNS-011 | 레드 | 2023년 12월 14일 | | # |
ZKNS-012 | 블루 | 2024년 1월 31일 | # | |
ZKNS-013 | 블랙 | 2024년 7월 25일 | | # |
외형은 전차로 GO!! 전용 원 핸들 컨트롤러와 동일하지만, 전차로 GO!! 로고 대신 즈이키 로고가 들어가 있다.
3.2. 즈이키 마스콘 프로
공식 사이트, 펀딩 사이트 1, 펀딩 사이트 2
- 1차 크라우드 펀딩: 2025년 4월 10일 ~ 5월 28일
- 2차 크라우드 펀딩: 2025년 7월 8일 ~ 8월 29일
전작과 비교했을 때 역전간이 추가되었고, 마스콘 키가 추가되어 열쇠를 꽂고 돌려야만 컨트롤러를 사용할 수 있다.
이번에 또한 추가된 것은 바로 계기 모니터인데, 14인치 8:3 비율이다. HDMI/VGA 입력을 지원한다. 다만 계기판 표시는 일부 게임에서만 지원될 것으로 추정된다.
4. 음악관 트레인 시뮬레이터
실제 차량의 운전방식을 정확하게 구현한 음악관 트레인 시뮬레이터의 특성 상 각양각색의 차량에 맞추어 핸들의 단수를 설정하게끔 만들어둔 장치가 많다.4.1. 트레인마스콘 (COTM-02001)
출시일 | 2002년 10월 31일 |
입출력 단자 | USB Type-A |
플랫폼 |
|
Train Simulator Real THE 게이힌급행에 대응하기 위한 컨트롤러이다. 15km, 45km, ATS 표시등 및 문닫힘 표시등을 갖추고 있다.
사용 가능 타이틀
- openBVE[I]
- Train Simulator Real THE 게이힌급행
- Train Simulator 미도스지선
- Train Simulator + 전차로 GO! 도쿄급행편
- Train Simulator 케이세이•도에이 아사쿠사선•케이큐
4.2. 멀티 트레인 컨트롤러 (SOTP-031201)
출시일 | 2003년 12월 18일 |
입출력 단자 | USB Type-A |
플랫폼 |
|
이 컨트롤러의 가장 큰 특징은, '멀티'라는 이름답게 다양한 차량의 주간제어기 조작범위를 구현한 점이다. '노치 기어 카세트'가 P4/B2-B7(B1 없음), P5/B5, P4/B7, P5/B8 이렇게 4종으로 제공되어 플레이하는 타이틀에 맞게 바꿔 끼우면 된다. 이후 큐슈 신칸센편이 나오면서 P5/B7, P13/B7 노치 기어 카세트(SOTP-040501)가 별매품으로 추가 출시되었다.
장착된 노치 기어에 따라 컨트롤러가 다르게 작동하는데, 유사하게 대응하는 타 컨트롤러는 다음과 같다.
- P5/B8: 전차로 GO! 컨트롤러 타입 2 (TCPP-20009/20012)
- 나머지 노치 기어: 트레인마스콘 (COTM-02001)
사용 가능 타이틀 (사용 노치 기어)
- 전차로 GO! 3 통근편 (P5/B8)
- 전차로 GO! 산요 신칸센편 (P5/B8)
- 전차로 GO! 여정편 (P5/B8)
- 전차로 GO! 프로페셔널 2 (P5/B8)
- 전차로 GO! 파이널 (P5/B8)
- Train Simulator Real THE 야마노테선 (P5/B8)
- Train Simulator Real THE 게이힌급행 (P5/B5)
- Train Simulator 미도스지선 (P4/B2-B7, P5/B5)
- Train Simulator + 전차로 GO! 도쿄급행편 (P4/B7, P5/B5)
- Train Simulator 큐슈 신칸센 (P5/B7, P13/B7)
- Train Simulator 케이세이•도에이 아사쿠사선•케이큐 (P5/B5, P13/B7)
- Railfan: 시카고 교통국 브라운 라인 (P5/B8)
- BVE Trainsim[I]
- openBVE[I]
4.3. Master Controller for Train Simulator (VOK-00105)
제조사 | 포니캐년 |
출시일 | 1998년 3월 4일 |
입력 단자 | DC 7V 50mA |
출력 단자 | DE-9 |
플랫폼 |
|
모드 | A | B | C | D | E | F | G | H |
역행 | P4 | P3 | P5 | P4 | P4 | P5 | P5 | P6 |
제동 | B5 | B7 | B5 | B7 | B8 | B8 | B7 | B6 |
사용 가능 타이틀 (작동 모드)
- Hmmsim Metro (D)
- TRAIN CREW[P] (G)
- openBVE[I]
- Train Simulator PLUS
- Train Simulator Real THE 게이힌급행 (C)
- Train Simulator Real THE 야마노테선 (F)
- Train Simulator 미도스지선 (D)
- Train Simulator + 전차로 GO! 도쿄급행편 (D)
- Train Simulator 케이세이•도에이 아사쿠사선•케이큐 (C)
- Train Simulator 큐슈 신칸센 (G)
4.4. Master Controller II for Train Simulator (VOK-00106)
제조사 | 포니캐년 |
출시일 | 1999년 12월 17일 |
입력 단자 | DC 7.5V 300mA |
출력 단자 | DE-9 |
플랫폼 |
|
가격 | 19,800엔 |
기기 좌/우측에 스위치가 달려 있어서, 각각 P3~P6, B5~B8까지 노치의 작동 범위를 조절할 수 있다. 아래 목록을 참고하여 게임에 맞게 조절 후 플레이하면 된다.
구입 시 DC 7.5V 어댑터가 함께 제공되었다.
사용 가능 타이틀 (노치 작동 범위)
- Train Simulator PLUS
- Train Simulator Real THE 야마노테선 (P5/B8)
- Train Simulator Real THE 게이힌급행 (P5/B5)
- Train Simulator 미도스지선 (P4/B6)
- Train Simulator + 전차로 GO! 도쿄급행편 (P4/B7)
- Train Simulator 큐슈 신칸센 (P5/B7)
- Train Simulator 케이세이•도에이 아사쿠사선•케이큐 (P5/B5)
- BVE Trainsim[I]
- openBVE[I]
- Hmmsim Metro (P4/B7)
- TRAIN CREW[P] (P5/B7)
5. 기타
5.1. 산잉중공 BVE 컨트롤러 (OHC-PC01)
제조사 | 산잉중공(三鶯重工) |
출시일 | PS: 2002년 7월 25일 PC: 2003년 6월 5일 |
입출력 단자 | USB Type-A |
플랫폼 |
|
가격 | NT$ 3,500 |
대만 기업인 산잉중공(三鶯重工)에서 만든 BVE용 원 핸들 컨트롤러. 핸들 하나와 역전간, 버튼 3개만 둔 소박한 컨트롤러이지만 가격은 3500 신 대만 달러로, 한화 16만원정도의 높은 가격대를 형성하고 있다. PC 이외의 콘솔 게임기에서 사용하려면 콘솔 튜너가 있어야 하는데, 이 튜너의 가격대도 마스콘과 비슷한 수준이다.
인터넷을 돌아다니면 속도계가 달린 버전도 보이는데 이건 철도 모형 컨트롤러인 RMC-M1Z이다.
사용 가능 타이틀
5.2. JR EAST Train Simulator 공식 마스콘 유닛 (S555-0001)
2025년 2월 27일 JR 동일본에서 판매를 개시한 JR EAST Train Simulator용 컨트롤러이다. 마스콘 유닛 본체, 계기 모니터, 운전대의 구성이며, 본체만 사거나 본체 + 모니터만 구매하는 것도 가능하다.문제는 가격인데, 본체만 구매해도 가격이 250만엔에 달한다. 가정용을 염두에 두고 제작된 것은 아닌 것으로 추정된다.
5.3. RailDriver
공식 홈페이지
미국의 P.I. Engineering사에서 만든 컨트롤러이다.
기본 대응 게임
별도 소프트웨어를 통해 대응되는 게임 (다운로드)
- Microsoft Train Simulator
- 트레인 시뮬레이터
- 트레인 심 월드 2, 3, 4, 5
- ZUSI 3
- Auran Trainz
- Rail Simulator
- TrainMaster 4.3
5.4. TSC-X
공식 홈페이지기본 대응 게임
별도 소프트웨어를 통해 대응되는 게임
[1] 굴착기 컨트롤러이다.[PS2] 전차로 GO! 3 및 산요 신칸센편만 대응[3] 타카라 로고가 붙어 있는 것으로 구분할 수 있다.[4] Windows용의 경우 우측에 버튼 세 개가 있으며, 'DGOC-44'라는 모델명이 스티커로 붙어 있다.[C] PS2판의 경우 ps2rd 등으로 게임을 수정해야 한다.[C] [C] [T] Titan One/Two가 필요하다.[T] [I] 입력 플러그인을 이용해야 한다.[I] [PS2] [C] [C] [C] [T] [T] [I] [I] [PS2] [T] [T] [I] [I] [25] 전기형의 역행 핸들 형상은 787계 전동차의 것을 모티브로 했다고 한다.[I] [I] [I] [I] [I] [I] [I] [33] 여유분까지 총 2개의 키가 기본 지급된다.[I] [I] [I] [P] 플러그인 설치가 필요하다.[I] [I] [I] [P] [T] [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