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12-29 21:18:14

물짜장

한국의 면요리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8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color=#fff> 온면 <colcolor=#fff> 국물면 가락국수 · 소면(고기국수 · 도미면 · 잔치국수 · 국수장국 · 육국수) · 꼴두국수 · 안동건진국수 · 짬뽕 · 칼국수 (들깨 칼국수 · 바지락 칼국수 · 장칼국수 · 칼짜장 · 팥칼국수 · 모리국수)
비빔면당면(잡채 · 매운잡채 · 비빔당면) · 짜장면 (간짜장 · 물짜장 · 사천짜장 · 삼선짜장 · 짬짜장) · 우짜
볶음면볶음짜장 · 볶음짬뽕
냉면 국물면 소면(김치말이국수· 농마국수 · 밀면 · 설탕국수 · 열무국수 · 초계국수 · 콩국수) · 메밀냉면 (진주냉면 · 평양냉면)
비빔면소면(비빔국수 · 골뱅이소면) · 메밀국수 (함흥냉면 · 막국수) · 쫄면
떡면 국물면 녹두나화 · 떡국 · 수제비 · 올챙이국수 · 옹심이
비빔면떡볶이 (마라떡볶이 · 분모자떡볶이 · 짜장떡볶이 · 로제떡볶이 · 카레떡볶이 · 크림떡볶이) · 라볶이
볶음면궁중떡볶이 · 기름떡볶이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colbgcolor=#cd313a><colcolor=#fff> 면류 짜장면(간짜장 · 물짜장 · 사천짜장 · 삼선짜장 · 유니짜장 · 짬짜면 · 짬짜장) · 기스면 · 짬뽕(고추짬뽕 · 굴짬뽕 · 볶음짬뽕 · 삼선짬뽕) · 우동(삼선우동) · 울면(삼선울면) · 우짜 · 중국냉면 · 반반 메뉴(볶짜면 · 볶짬면 · 탕짜면 · 탕짬면 · 탕우면)
밥류 볶음밥 · 삼선볶음밥 · 잡채밥 · 짜장밥 · 짬뽕밥 · 중화비빔밥 · 탕볶밥
요리류 탕수육(김치피자탕수육) · 깐풍기 · 양장피 · 유산슬 · 유린기 · 마라탕 · 군만두 · 맛탕 · 물만두 · 깐쇼새우 · 콩국
간식·후식 공갈빵 · 꽈배기 · 호떡 · 찹쌀도넛 · 누룽지탕
}}}}}}}}} ||
파일:external/f.ilwar.com/59443439ktz7142354145051.jpg
물짜장

1. 개요2. 지역3. 맛4. 역사5. 기타

[clearfix]

1. 개요

한국식 중화 요리의 일종.

녹말이 들어간 짬뽕 내지는 매운 울면이라고 묘사할 만한 음식. 이름에서 연상되는 바와 달리 물기가 더 많은 것도 아니고 짜장이 들어가지도 않는다.

정말로 국물이 있는 짜장면에 가까운 음식은 통영 지역의 우동 국물에 짜장을 올려 걸쭉하게 비벼 먹는 우짜라는 면요리다.

2. 지역

겉보기로는 울면과 유사한 음식으로, 본래 전북특별자치도 일대에서만 맛볼 수 있는 지역 음식이라, 외지에는 거의 알려지지 않았었다.

그러나 나 혼자 산다, 1박 2일과 같은 TV 프로그램을 통해서 전국적으로 널리 알려졌었다. 다만 여전히 전북도 이외에서는 맛보기 힘든 음식이다. 반대로 전북도 일대에서는 흔하게 볼 수 있고, 메뉴판에 없는 경우에도 주문하면 어지간하면 만들어 준다.

사실 전북도 토박이들 중에서도 21세기 출생자들은 낯설어하는 경우가 많은 음식이다.

전주 한옥마을에서도 파는 곳들이 꽤 있는데, 맛은 개인에 따라 호불호가 있을 수 있다.

3.

중국집의 일반적인 면에다가 전분을 듬뿍 넣어 걸쭉하게 된 해물잡탕 소스를 얹은 것이라고 보면 된다. 집집마다 다르긴 하겠지만, 보통 갖가지 해물에다가 브로콜리나 양파, 호박, 목이버섯, 양송이 등 해물에 잘 어우러지는 건더기들이 큼직하고 풍성하게 들어가 있다. 한마디로 중국집 해물잡탕밥의 면 버전으로 보아도 무방.

짜장면이 춘장 베이스의 소스를 얹은 것이라는 그 명확한 형태성과는 달리 춘장이 들어가지도 않고 맛이나 생김새도 보통의 짜장과는 근본적으로 유사성을 찾을 수 없다. 기본 베이스가 짬뽕인 경우가 많고 짬뽕을 취급하지 않는 중국집은 거의 없으므로 만들기 어렵지 않기 때문. 따라서 가격대도 짬뽕과 같거나 따로 만드는 수고비(?)를 더해 +500원 정도.

1세대 스타일의 원조 물짜장은 순하고 부드러운 맛이 일품이지만 취향을 매우 타서 젊은 사람들은 별로 좋아하지 않는 경우가 많다. 2세대의 경우도 좀 덜하기는 하지만 꽤 취향타는 편. 짬뽕국물이 베이스로 쓰이는 경우가 많은 관계로 대체로 짬뽕이 맛있는 집이 물짜장도 맛있다.

물짜장에 대해서는 현지인들이라고 하더라도 사람마다 호불호가 극심하게 갈린다. 좋다는 사람도 있는 반면 '이걸 먹느니 차라리 짜장면이나 짬뽕을 먹는다'는 사람도 드물지 않게 있을 정도. 그리고 거의 다 먹어 갈 무렵에 소스가 물처럼 흥건해져버리는 현상이 심하다. 녹말 때문인데 짜장면을 먹을 때도 사람에 따라서는 생기는 현상이다. 걸쭉하다는 점에서 알 수 있듯 짜장면에 비해 녹말 비중이 상당히 높기 때문에, 짜장면을 먹을 때는 흥건해지지 않는 사람도 물짜장은 흥건해져버리는 경우가 꽤 많다.

4. 역사

유래가 비교적 명확히 알려져 있는 음식으로, 원조는 화교인 윤진성 씨가 전주시 다가동에 1950년대에 개업했던 '홍빈관'이다. 전북 문화의 중심 전주에서 시작된 음식답게 인근의 익산시, 군산시, 완주군 등지로도 퍼져나가서 이들 지역에서도 볼 수 있다.

탄생 배경도 비교적 쉽게 알 수 있는데, 일설에 따르면 기름기가 많은 짜장면을 부담스러워하는 손님들을 위해 해물과 간장을 베이스로 해서 창작한 요리였다고 한다. 이것이 대히트 하면서 전주의 어지간한 중국집에서는 다 취급하게 된 것. 춘장이 들어가지 않았음에도 '짜장'이라는 이름을 쓰는 이유는 간장이 들어갔기 때문이다. 짜장은 한자로 炸醬, 즉 기름에 튀기듯이 볶은 장을 의미한다. 그래서 꼭 춘장일 필요는 없다는 논리지만 간장을 튀기듯이 볶은 것은 아니므로 엄밀히 말하면 짜장은 아니다.

양식의 양식에서 짜장면을 다룰 때 물짜장도 다루었는데, 여기서 차남 윤가빈 씨의 말에 따르면 원래는 파는 음식이 아닌 직원식이었다고 한다. 그냥 남는 재료로 대충 만든 요리였는데, 우연히 직원 점심시간에 가게로 들어온 손님이 보고 '그거 뭐요'라고 묻자 이름도 없는 음식이라 얼떨결에 '물....짜장이요.'라고 답하게 되었고, 이후 손님이 물짜장으로 주문하여 먹어보고는 맛있다고 하여 입소문이 나자 정식메뉴로 만들게 되었다고 한다. 한마디로 요리 명 자체가 별 의미 없다.

원조 그대로의 물짜장을 맛보고 싶다면 중앙동에서 영업하고 있는 '진미'에서 맛볼 수 있다. 현재 진미의 1세대 물짜장과 비슷한 스타일의 하얀 물짜장을 내오는 집은 진미 외에는 진미 가까이에 위치한 극소수의 노포들 뿐이고[1] 대부분은 짬뽕 국물을 베이스로 하거나 해물 베이스의 육수에 고추기름 같은 것을 사용한 붉고 걸죽한 소스를 사용한다. 원체 이 2세대 물짜장이 널리 퍼진 관계로 전북도 사람이라고 하더라도 짬뽕국물 베이스의 붉은 물짜장에만 익숙하고 원조 물짜장은 못먹어 본 사람도 꽤 많으며 이 두 스타일은 이름만 같고 아주 다른 음식이라도 봐도 좋을 정도로 판이하다.

5. 기타

  • 이름만 들으면 비슷한 이름을 가진 울산광역시물라면을 생각하는 사람도 있다. 하지만 처음에 언급한 것처럼 짜장과는 동떨어지는데다 물라면은 유탕면에 물대신 육수를 넣어 만든다는 차이점을 가지고 있다.

[1] 참고로 국제반점도 1세대 물짜장을 내온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