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의 면요리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8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colcolor=#fff> 온면 | <colcolor=#fff> 국물면 | 가락국수 · 소면(고기국수 · 도미면 · 잔치국수 · 국수장국 · 육국수) · 꼴두국수 · 안동건진국수 · 짬뽕 · 칼국수 (들깨 칼국수 · 바지락 칼국수 · 장칼국수 · 칼짜장 · 팥칼국수 · 모리국수) |
비빔면 | 당면(잡채 · 매운잡채 · 비빔당면) · 짜장면 (간짜장 · 물짜장 · 사천짜장 · 삼선짜장 · 짬짜장) · 우짜 | ||
볶음면 | 볶음짜장 · 볶음짬뽕 | ||
냉면 | 국물면 | 소면(김치말이국수· 농마국수 · 밀면 · 설탕국수 · 열무국수 · 초계국수 · 콩국수) · 메밀냉면 (진주냉면 · 평양냉면) | |
비빔면 | 소면(비빔국수 · 골뱅이소면) · 메밀국수 (함흥냉면 · 막국수) · 쫄면 | ||
떡면 | 국물면 | 녹두나화 · 떡국 · 수제비 · 올챙이국수 · 옹심이 | |
비빔면 | 떡볶이 (마라떡볶이 · 분모자떡볶이 · 짜장떡볶이 · 로제떡볶이 · 카레떡볶이 · 크림떡볶이) · 라볶이 | ||
볶음면 | 궁중떡볶이 · 기름떡볶이 | }}}}}}}}} |
한국의 분식 문화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 떡류 | <colbgcolor=#fff,#1c1d1f>떡볶이 · 떡꼬치 · 라볶이 · 물떡 · 소떡소떡 · 떡국 · 떡만두국 |
튀김류 | 감자튀김 · 계란튀김 · 고구마튀김 · 고추튀김 · 김말이튀김 · 김밥튀김 · 납작만두 · 돈가스 · 식빵튀김 · 새우튀김 · 생선가스 · 오징어튀김 · 야채튀김 · 튀김만두 · 팝콘 치킨(콜팝) | |
순대류 | 순대 · 순대꼬치 | |
오뎅류 | 떡오뎅 · 오뎅 · 빨간오뎅 | |
꼬치류 | 닭꼬치 · 피카츄 돈까스 · 핫도그/콘도그(감자 핫도그) · 핫바 · 회오리 감자 | |
만두류 | 고기만두 · 고추만두 · 군만두 · 김치만두 · 물만두 · 찐만두 · 피자만두 | |
면류 | 가락국수 · 라면 · 우동 · 잔치국수 · 쫄면 · 냉면 · 비빔국수 · 막국수 · 칼국수 · 콩국수 · 수제비 | |
빵류 | 찐빵 · 토스트 | |
밥류 | 김밥 · 덮밥 · 볶음밥 · 컵밥 · 밥버거 · 비빔밥 | |
기타 | 길거리 음식 · 떡튀순 | }}}}}}}}} |
쫄면 |
[clearfix]
1. 개요
굵고 탄성이 강한 면발. 또는 그 면발을 사용하여 채 썬 양배추, 콩나물, 당근, 오이 등의 간단한 채소를 넣고 초고추장을 베이스로 한 소스를 넣은 뒤 차게 해서 먹는 면요리. 전국 어디의 분식집이나 식당에서 흔하게 맛볼 수 있고 어딜 가나 비슷한 맛의 전국구 요리다.2. 유래
기원은 1970년대 인천 중구 경동의 광신제면[1]에서 비롯됐다는 주장이 있다. 광신제면이 냉면 면을 뽑다가 사출구멍을 잘못 써서 굵은 면발이 나왔는데 버리긴 아까워서 인근 이웃 분식집에 공짜로 줬고 분식집 주인이 이걸 고추장 양념에 비빈 뒤 채소를 곁들여 만든 게 쫄면의 시초라는 주장이 흔히 쫄면의 유래로 알려져 있다. 하지만 냉면과 쫄면은 원료가 다르고 색도 다르기에 이 주장은 믿기 어렵다. 냉면을 굵게 뽑는 것만으로는 쫄깃한 특유의 식감이 나지 않는다. 사출구멍을 잘못 썼다는 주장 역시 쫄면의 사출구멍에 맞는 다른 면이 존재하지 않는다는 점에서 믿기 어렵다. 나아가 냉면 제면기를 통해 생산할 때 다른 사출구멍을 사용했더라도 이를 다시 제면기에 넣어서 정상 냉면으로 뽑는 것이 가능[2]하다는 점, 실수로 굵게 면을 뽑더라도 이걸 분식집에 줄 정도로 많이 뽑기 전에 가동을 중단했을 가능성이 높다는 점에서 전반적으로 신뢰성이 떨어진다.
당시 광신제면 운영주였던 장신자에 따르면 직원들끼리 식사용으로 먹던 국수가 탄력이 없어서 뚝뚝 끊어지자 '탄력 있는 면은 없을까?'하고 탄생한 것이 최초의 쫄면이라는 주장도 있다. 즉, 실수로 나온 면이 아니라 일부러 쫄깃하게 만들려고 연구한 끝에 나온 결과물이라는 주장. 하지만 이러한 주장 역시 출처가 불분명하다는 점, 국수 면은 쫄면하고는 완전히 다른 종류의 원료 및 제조법에 의해서 생산되는데 국수를 먹다가 쫄면을 개발해야겠다는 생각을 해냈다는 것은 설득력이 없다는 점, 과거 '쫄면은 실수로 뽑은 면'이라는 이야기의 출처가 광신제면일 가능성이 높다는 점[3]을 고려하면, '실수로 뽑은 면'이라고 주장하던 광신제면 측에서 앞에서 본 것과 같은 이유로 면 전문가들에게 '실수로 뽑은 면'이라는 주장이 설득력이 없다고 비판을 받자 뒤늦게 이를 수습하기 위해서 만들어낸 이야기일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결국 위 주장들은 광신제면 사장의 일방적인 주장으로 보이고 신빙성이 떨어진다.
이러한 점을 볼 때 개발 비화를 숨겨야 할만한 어떤 뒷사정이 있거나[4] 인터넷도 없던 시절에 우후죽순 소문이 퍼지다 보니 뭐가 진짜 이야기인지 알 수도 없게 되어버린 경우일 가능성이 있다. 물론 이 또한 추정일 뿐이며 구체적인 근거가 있는 건 아니다.
당시 인천 남구청 면류 제조업 1호로 허가받았던 삼성 식품 공업사 정돈시의 연구개발 결과물이라는 주장[5]이 있고 이 주장이 대체로 신빙성을 인정받는다.[6]
3. 특징
맛은 초고추장의 매운맛과 단맛, 신맛이 주를 이루며, 쫄깃한 면발과 생야채의 아삭한 식감으로 먹는 음식이다. 고명으로는 주로 삶은 달걀, 당근, 오이, 상추, 양배추 등이 주로 쓰이며 경우에 따라 콩나물도 추가된다. 면 자체를 좋아하는 매니아라면 모르겠지만 없는대로 면만 비벼먹으면 질긴 비빔면 정도의 이도저도 아닌 음식이 될 정도로 신선한 야채가 맛과 식감에 중요하다.우동사리, 라면사리처럼 다른 음식에 면만 따로 넣어서 즐기기도 한다. 이 경우 쫄면사리가 아닌 '감자사리' 등으로 통하기도 한다. 주요 사용처는 닭갈비, 떡볶이, 찜닭, 아귀찜, 부대찌개 등. 사리로서의 가능성은 무궁무진하다. 단, 국물이 많은 음식과는 그다지 어울리지 않는 편이다.
냉면과 함께 여름철이 되면 자주 찾는 대표음식으로써 보통 냉쫄면이라고 하는 혼합된 음식을 먹거나 쫄면을 아주 차게 만들어서 먹는 방법도 있다.
4. 기타
- 인천광역시에서 탄생한 음식답게 인천의 원도심 상권이던 동인천역 인근에[7] 쫄면을 취급하기로 유명한 집들이 있었는데 쫄면의 시초라고 알려져 있는 '맛나당'과 지역에서 가장 큰 규모와 긴 역사를 자랑했던 '만복당' 등이 있었다. 현재는 두 집 다 없어진 상태. 다만 만복당의 경우 주방에서 20년을 근무하던 여직원이 옛 만복당 자리 맞은 편에 같은 이름을 내걸고 영업중이다.
- 사실 양념은 비빔국수에도 쓰이는 양념과 거의 비슷하기 때문에 쫄면 사리+야채+튜브에 담겨져 나오는 비빔국수용 비빔장(혹은 직접 만든 비빔장)만 있어도 간단히 해먹을 수 있다.
- 면발이 굵고 질긴 음식이라 다른 면 요리를 먹듯 잘 안 씹고 후루룩 먹었다간 쫄면이 목에 걸리기 일쑤이다. 특히 쫄면을 먹어보지 못한 아이들이 라면이나 우동을 생각하고 먹다가 목에 걸리는 경우가 많으므로 지도를 잘 하고 먹이도록 하자. 치아나 턱이 약한 경우 기피하는 음식이기도 하다. 마찬가지로, 소화력이 약한 사람들한테도 좋지 않은데, 굵은 것보다도 질기기 때문에 더 잘 체하기 쉬우므로 천천히 꼭꼭 씹어먹어야 한다.
- 일부 지역에는 물쫄면이 존재한다. 물쫄면은 쫄면에 뜨거운 육수를 부은 것으로, 비벼먹지 않기 때문에 생채소보다 유부, 계란, 쑥 같은 재료를 넣는다. 대표적으로 경주시의 명동쫄면이 있다. 충북 옥천군의 풍미당 또한 대전 근교에서 물쫄면으로 유명한 집. 혹은 냉쫄면이라는 이름으로 동치미 육수에 말아서 내놓는 곳도 있다. 부산 영도구에 위치한 백설대학에서는 쫄우동이라는 이름으로 물쫄면을 판매하며 인기가 많다.
- 일부 분식점에서는 순두부찌개에다 쫄면을 넣어 '쫄순이'라는 이름으로 판매한다.
- 전통적으로 전래한 음식이 아니었기에 탄생 초기에는 불량식품으로(…) 지목되어 구청에서 단속을 자주 나와 업종을 변경하거나 장사를 접은 경우가 꽤 많았다고 한다.
- 집에서 짜장면 같은 걸 만들 때 중화면 대용으로 써도 나쁘지 않다. 이 경우 아주 푹 퍼지게 삶아 쓰는 게 좋은데 왜냐하면 쫄면은 중력분으로 만드는 다른 면과 달리 강력분으로 만들기 때문이다. 이는 파스타 면도 동일하다. 그러나 중화면 대용으로 쫄면을 쓰는 사람들은 쫄면만큼 쫄깃한 식감으로 먹기 위해 쓰기 때문에 오래 삶지 않는 경우가 많다.
[1] '쫄면을 최초로 만든 곳'이라는 문구를 내걸고 영업 중이다. 네이버 거리뷰[2] 반죽을 성형한 것일 뿐이므로 다시 뭉치면 반죽이 된다.[3] 광신제면을 인수한 이영조씨는 2012년 인터뷰#에서도 같은 주장을 펼쳤다.[4] 이를테면 원조 분쟁, 최초 아이디어나 개발은 다른 사람이 했지만 최초로 주장하는 가게에서 먼저 상품화하는 바람에 그냥 실수로 만들었다 같은 이야기를 만들었을 가능성이 있다.[5] 한국문화원연합회, 짜장면과 고향이 같은 쫄면[6] 요리된 쫄면이 최초로 등장한 맛나당에 쫄면을 납품한 곳이 이 곳이다.[7] 쫄면에 들어가는 면이 탄생했다는 광신제면 공장도 동인천역 인근에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