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0 0;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16b6b, #008080 20%, #008080 80%, #016b6b); color: #fbe673; min-height: 31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rowcolor=#fbe673> 제후왕 및 후작 | |||
우현왕 | 좌현왕 | 불사후 | 면중후 | |
부여기 | 부여곤지 | 부여례 | 목간나 | |
도한왕 | 아착왕 | 매로왕 | 불사후 | |
저근 | 부여고 | 부여력 | 부여고 | |
매라왕 | 벽중왕 | 불중후 | ||
사법명 | 찬수류 | 해예곤 | ||
섭정 | 비정통 | |||
전지왕 섭정 | 찬탈 | 비정통 | 비정통 | |
부여훈해 | 부여설례 | 진이왕 | 부여태 | |
부흥운동 | 대방군왕 (멸망이후) | |||
제32대 국왕 | 대방군왕 | 대방군왕 | ||
풍왕 | 부여융 | 부여경 | ||
문헌 상 언급 | ||||
음태귀수왕 | 덕좌왕 | 호왕 | 진왕 | |
추존 | ||||
태조 도모왕 | ||||
}}}}}}}}} |
당 작위 | 대방군왕(帶方郡王) |
당 직위 | 웅진도독(熊津都督) |
성씨 | 부여(扶餘) |
이름 | 경(敬) |
생몰년도 | ? ~ ? |
[clearfix]
1. 개요
백제의 왕족. 31대 의자왕의 증손자로, 부여융의 손자. 부여융의 아들로는 부여문선, 부여태비 묘지명에서 언급된 부여덕장(扶餘德璋)이 확인되지만 이 사람들 외에도 아들이 더 있었을 가능성이 있어 아버지가 정확히 누구인지는 확인되지 않았다.2. 행적
677년 당은 백제 웅진성에 있던 웅진도독부를 요동에 있는 구 고구려 지역의 건안성으로 옮기면서 웅진도독부 소속의 백제 유민들도 함께 이주시키고, 부여융을 '웅진도독 대방군왕(熊津都督 帶方郡王)'으로 삼아 다스리게 했다. 이렇게 한 이유는 백제 전역을 이미 671년 전후로 신라가 차지했기 때문이다. 682년 부여융이 사망한 후, 측천무후가 부여경에게 왕위를 계승하게 했다. 《동국통감》 권9 <신라기>에 따르면 686년 고구려 보장왕의 손자 고보원(高寶元)이 '조선군왕(朝鮮郡王)'을 제수받은 시기와 같다.《구당서》<현종본기>의 기록에 따르면 725년 내신으로 번국의 '고(구)려조선군왕'과 함께 '백제대방왕(백제대방군왕)'이 언급된다. 이 '백제대방군왕'이 부여경과 동일인물인지는 확인된 바가 없다.
3. 기타
677년 건안성으로 옮겨진 웅진도독부에 대한 기록이 전무해서 이들이 어떻게 됐는지 알 수 없다. 2009년 이도학 교수는 발해가 8세기 중반 ~ 9세기 초반에 요동 반도에 진출했을 때 발해에 흡수되어 사라졌을 것이라고 주장했다. 충청남도문화연구원에서 발간한 백제사 시리즈 백제 유민편에서는 그보다도 이전인 7세기 말, 즉 이미 부여경이 즉위했을 때부터 웅진도독부는 진작에 대조영의 공격을 받아 멸망해 발해에 흡수당하고 대방군왕이라는 허울좋은 껍데기만 남은 상태였다고 추정하고 있다.그러나 건안성으로 옮겨진 백제 유민들이 당나라로부터 자립해서 소백제를 형성했을 가능성은 적다. 《구당서》 <현종본기> 725년 기사에서 신라, 말갈,[1] 일본은 조회하러 온 국가로 기술한 반면 '고려조선군왕', '백제대방군왕'은 당나라의 내신으로 외국으로 분류되지 않았기 때문이다. 소고구려설이 아직은 학설 수준에 머무는 것처럼 건안성의 백제 유민들이 '소백제'를 형성했을 것이라고 보기는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