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6-26 16:31:02

부여설례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0 0;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16b6b, #008080 20%, #008080 80%, #016b6b); color: #fbe673; min-height: 31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rowcolor=#fbe673> 제후왕 및 후작
우현왕 좌현왕 불사후 면중후
부여기 부여곤지 부여례 목간나
도한왕 아착왕 매로왕 불사후
저근 부여고 부여력 부여고
매라왕 벽중왕 불중후
사법명 찬수류 해예곤
섭정 비정통
전지왕 섭정 찬탈 비정통 비정통
부여훈해 부여설례 진이왕 부여태
부흥운동 대방군왕 (멸망이후)
제32대 국왕 대방군왕 대방군왕
풍왕 부여융 부여경
문헌 상 언급
음태귀수왕 덕좌왕 호왕 진왕
추존
태조 도모왕
}}}}}}}}}


<colbgcolor=#00A6A9><colcolor=#fbe673>碟禮王
설례왕
성씨 부여(扶餘)
설례(碟禮)
부왕 침류왕(枕流王)
모후 왕후 진씨(王后 眞氏)
생몰년도 음력 ? ~ 405년 9월
재위 기간 음력 405년

1. 개요2. 생애

[clearfix]

1. 개요

14년에 아신왕이 죽자 왕의 둘째 동생 훈해(訓解)가 정사를 대리하며 태자의 귀국을 기다렸는데, 막내 동생 설례(碟禮)가 훈해를 죽이고 스스로 왕이 되었다.
《삼국사기》 삼국사기 제25권 백제 본기 제3 전지왕
백제의 왕족이자 반란자. 침류왕의 아들이자 아신왕부여훈해의 동생이며 전지왕의 숙부다. 부여첩례(扶餘諜禮) 혹은 부여접례(扶餘褋禮) 라고 쓰인 기록도 있다고 한다. 다르게 표기된 세 글자의 음이 각각 碟(설, ), 諜(, ), 褋()인 걸로 볼 때 에 가까운 어떤 발음을 표기하였던 것 같다.

2. 생애

405년 큰형 아신왕이 죽었을 때, 태자는 당시 일본에 볼모로 가있어서 왕위가 바로 계승되지 못하는 상황에 처했다. 이에 아신왕의 아우이자 설례의 작은형인 부여훈해(扶餘訓解)가 섭정으로서 국사를 대리했다. 405년 부여설례는 진씨 세력의 지원을 받아 친형 부여훈해를 살해하고 스스로 군주의 자리에 올랐다. 그러나 일본군의 무장 호위를 받은 태자 부여전지가 귀국하자 여론이 동요했고, 결국 국인과 귀족들이 군대를 이끌고 궁궐로 진입하여 공격하면서 그들에게 붙잡혀 살해된다.